총 1,355개
-
체외순환 심장수술2025.01.151. 체외순환 체외순환(extracorporeal circulation; ECG)은 혈관내에 삽입한 튜브를 통하여 혈액을 일단체외로 내보내서, 펌프에 의하여 연속하여 재차 체내에 되돌리는 순환을 말한다. 체외순환은 개심수술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방법으로 이를 위해 심폐우회술이 사용된다. 2. 심폐우회술 심폐우회술 (cardiopulmonary bypass; CPB)은 심장으로 돌아오는 정맥 귀환 혈류를 심장 대신 심폐기로 보내어 산화과정과 이산화탄소 제거과정을 거친 후 다시 동맥으로 직접 되돌려 보내는 방법을 말한다. 저체온술은 ...2025.01.15
-
성인간호학_기흉 - 1. 질환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간호계획 8개) 2. 폐허탈과 관련된 급성 통증(간호계획 7개) 3.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간호계획9개) /간호진단3개 /2025.01.221. 질환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대상자가 나타내는 증상으로는 갑작스런 호흡곤란과 흉통, RR: 27회/min, BP: 100/60mmHg, 왼쪽 가슴의 호흡음 소실이 있다. 기흉 대상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는 갑작스럽고 날카로운 통증, 기침, 힘이 많이 드는 가쁜 숨, 혈압 하강, 약하고 빠른 맥박, 병터 흉부의 과공명음, 불안, 초조, 불안정, 발한, 창백함 또는 청색증, 의식소실, 흉부 압박감 등이 있다. 그 외 기흉 대상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증상과 관련요인으로는 자연기흉(밀폐 기흉), 긴장성 기흉, 개방성 기흉...2025.01.22
-
Bimalleolar fracture, ankle, closed (양측 복사 골절, 발목, 페쇄성) [진단 2개]2025.01.141. 복사뼈골절(malleolar fracture) 복사뼈 골절은 족부골절에 속하는 골절로 가쪽 복사뼈의 몸 쪽 2~6cm정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골절과 동시에 발목인대가 찢어지기 쉽다. 대부분 뼈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외상 후에 발생하게 되며, 직접적인 외상과 간접적인 외상으로 구분이 된다. 직접적인 외상은 교통사고, 총상, 넘어지거나, 무거운 물건 등이 발등에 떨어져서 발생하며, 간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은 뼈에 붙은 근육이나 인대가 갑작스럽게 힘이 가해지면서 뼈를 잡아당겨 골절이 생기거나 뼈에 회전력 등이 가해져 골절이...2025.01.14
-
성인간호학 기관지 확장증(bronchiectasis)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폐 이식 관련 간호진단 2 간호중재 22025.01.121. 기관지 확장증 기관지 확장증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한 유형으로, 기관지가 비정상적으로 확장되어 분비물이 쌓이고 감염이 반복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호흡 곤란, 만성 기침, 객담 배출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호흡 상태, 영양 상태, 감염 위험 등을 사정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폐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2.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은 기류 제한이 지속되는 폐 질환으로, 기관지 확장증과 함께 ...2025.01.12
-
간이식 수술 전후 간호 및 폐합병증 관리2025.11.171. 간이식 수술 간이식은 기능을 못하거나 파손된 간을 공여자의 간으로 대체하는 수술입니다. 뇌사자 간이식(전간이식, 축소간이식, 분할간이식)과 생체 간이식(우엽이식, 좌엽이식, 2:1이식)의 종류가 있습니다. 수술 방법은 전신마취 후 인공기도, 중심정맥관, 동맥관 등을 삽입하고 피부를 절개하여 손상된 간을 적출한 후 기증자의 간을 이식하며 복강 내 배액관을 삽입하고 피부를 봉합합니다. 2. 수술 전 간호 수술 전 간호는 환자 사정, 환자 준비, 회복 교육으로 구성됩니다. 간호사정에서는 수술 후 사망에 대한 불안과 수술위험을 증가시...2025.11.17
-
폐부종 환자의 성인간호학 실습 간호과정2025.11.161. 폐부종(Pulmonary Edema)의 정의 및 병태생리 폐부종은 폐정맥 및 모세혈관 내에서 폐의 간질조직과 폐포로 체액이 빠져나가면서 폐포와 기도에 울혈되어 가스교환을 악화시키는 상태이다. 혈류량 증가나 혈관 저항 증가로 인해 폐울혈이 발생하고, 혈액의 장액성 성분이 혈관에서 폐 사이질로 누출되어 사이질 부종이 생긴다. 폐포내압이 혈관내압보다 상승하면 혈장 성분이 폐포 안으로 누출되어 저산소혈증을 초래한다. 심인성 폐부종은 심장질환이 동반되고, 비심인성 폐부종은 그 외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2. 폐부종의 임상증상 및 진단 ...2025.11.16
-
폐렴 (Pneumonia) 사례 연구2025.05.071. 폐의 구조와 기능 폐는 흉곽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장기로, 대기 중의 산소를 체내로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폐는 탄력성 있는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외부의 힘에 의해 늘어날 수 있다. 정상 성인의 오른폐는 왼폐보다 크고 무겁다. 2. 폐렴의 정의와 종류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폐렴에는 바이러스성 폐렴, 세균성 폐렴,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흡인성 폐렴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각 종류마다 발생 원인, 증상, 치료법이 다르다. 3. 바이러스성 폐렴 바이러스성...2025.05.07
-
급성호흡부전 중환자실 간호사례 연구2025.11.171. 급성호흡부전(Acute Respiratory Failure) 급성호흡부전은 저산소혈증과 과탄산혈증이 빠르게 진행되는 증후군으로 산소 결핍으로 인하여 중요 장기의 기능부전을 초래한다. 진단은 흉부 X-ray, 심전도, 심초음파, 혈액검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원인은 패혈증, 심한 외상, 대량 수혈, 췌장염, 폐의 직접적 손상 등 60가지 이상이 알려져 있다. 치료는 적절한 산소화와 환기 유지를 목표로 의학적 치료, 약물요법, 산소요법, 분비물 제거, 양압호흡법 및 영양요법을 시행한다. 2. 기계적 환기(Mechanical Vent...2025.11.17
-
중환자실 주요 환자군 의학용어_외상중환자실 필수 질환 의학용어2025.01.161. 폐 부종 폐 부종은 폐 조직 내에 액체가 과도하게 축적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폐 기능이 저하되고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심부전, 신부전, 폐 질환 등이 있습니다. 2. 심정지 심정지는 심장이 더 이상 효과적으로 혈액을 펌프질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뇌와 다른 장기에 산소 공급이 중단되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신속한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사용이 중요한 응급 처치입니다. 3. 뇌경색 뇌경색은 뇌로 가는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뇌 조직이 손상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2025.01.16
-
폐렴 환자 간호사례 연구2025.11.171. 폐렴의 병태생리 및 임상증상 폐렴은 폐 사이질공간과 허파꽈리, 세기관지에서 발생하는 염증질환이다. 폐의 방어기전이 손상되어 원인균이 하부기도에 침입하면서 발생한다. 전형적 폐렴의 병리학적 변화는 폐울혈기, 적색간변기, 회색간변기, 용해기의 4단계를 거친다. 임상증상으로는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의 폐 증상과 두통, 피로감, 근육통 등의 전신증상이 나타난다. 고열이 동반되며 흉막까지 염증이 침범하면 흉통이 발생한다. 2. 폐렴의 진단검사 및 치료 폐렴의 진단은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ESR, CRP 등 염증수치 상승으로 확인되며...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