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2개
-
성인간호학 심혈관계 3도방실차단에 대한 문헌고찰, 그에 따른 대처방법과 중재2025.05.061. 3도 방실차단 3도 방실차단이란 심방에서 전기적 자극이 심실로 전혀 전달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즉 심방과 심실은 전기적으로 완전히 해리되어 심방과 심실이 독립적으로 수축하는 상태이다. 비정상적으로 심실에서 자극을 만들어 수축하기전까지는 심실수축이 지연되어 심박출량이 나가지 않는다. 이로 인해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되어 심한 현기증과 경련을 일으키고 의식을 잃게 되는 것을 Adams Stokes 증후군이라 한다. 제 3도 방실블록에서 일어나는 가장 큰 위험으로는 심실정지 또는 심장 수축부전으로 인한 돌연사의 위험성이 있으므...2025.05.06
-
성인간호학 감각계 건강문제와 임상적 추론2025.11.181. 시각장애자 안점적약 투약 교육 시력이 손상된 환자는 다른 감각에 의존하므로 약물을 손에 쥐어주고 만져보도록 한다. 약물에 볼록한 숫자, 알파벳, 자음 스티커를 부착하여 촉각으로 구분하게 하고, 보호자도 함께 교육하여 투약오류를 방지한다. 콜벨을 환자 손 가까이에 위치시켜 필요 시 간호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2. 녹내장 환자의 안점적약 거절 시 간호 접근 환자가 하루 4회 점안을 거절하는 이유를 먼저 청취한다. 녹내장은 방수 유출이 저하되어 안압이 상승하는 질환이므로 약물 투약으로 방수 흐름을 증가시켜 안압을 조절하...2025.11.18
-
해부학A+ / 심혈관계 & 림프계 / 요약집 / 핵심정리 / 인체해부학2025.05.061. 동맥(artery) 동맥은 심장을 나와 몸의 말단을 향해 나가는 혈관(원심성)이다. 벽이 두껍고 튼튼하여 혈압이 높으며, 중간막에 민무늬근육과 탄력섬유가 풍부해 신축성과 신전성이 좋다. 동맥은 대동맥, 중동맥, 소동맥, 세동맥으로 분류된다. 2. 정맥(vein) 정맥은 몸의 말단으로부터 심장을 향해 돌아오는 혈관(구심성)으로, 혈압이 낮아 벽이 얇다. 정맥은 혈액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판막이 있어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다. 3. 모세혈관(capillary) 모세혈관은 세동맥과 세정맥 사이의 매우 가는 혈관으로, 편평상피 한 ...2025.05.06
-
인체해부학 기말고사 정리 및 문제풀이2025.11.131. 심장 자극전도계 심장의 전기신호 전달 경로는 동방결절(SA node)에서 시작되어 방실결절(AV node), 히스다발(AV bundle), 심장전도근육섬유(Purkinje fiber) 순서로 진행된다. 동방결절은 분당 60~100회의 흥분을 만들어 심박동수를 결정하며, 방실결절은 심방에서 심실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유일한 통로이다. 히스다발은 심실 중격을 통해 이어지는 특수 근육섬유이고, 심장전도근육섬유는 좌우심실의 동시 수축을 담당한다. 2. 혈액 구성 및 혈장 단백 혈액은 혈구와 혈장으로 구성되며, 혈장 단백에는 글로불린(...2025.11.13
-
신경손상의 분류2025.05.081. 신경차단(neurapraxia) 신경차단은 신경타박상이나 압박, 가벼운 견인 등으로 인하여 축삭의 차단이 없는 상태에서 일시적 전도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wallerian 변성은 나타나지 않으며, 운동마비가 주로 나타나고 감각마비는 상대적으로 약하다. 신경전도가 국소적으로 차단된 경우 원인 제거 시 회복이 빠르다. 2. 축삭절단(axonotmesis) 축삭절단은 신경내막 결합조직이나 schwann 세포의 손상없이 신경세포 축삭이 차단된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손상부위에서 완전한 축삭전도 장애가 발생하며 wal...2025.05.08
-
뇌내출혈(ICH) 케이스스터디 및 간호과정2025.11.121. 뇌내출혈(ICH)의 정의 및 임상적 특성 뇌내출혈은 출혈성 뇌졸중의 일종으로 뇌실질 내 출혈을 의미하며, 전체 뇌졸중의 약 10%를 차지한다. 첫 48시간 이내 사망률이 50%에 육박하며 허혈성 뇌졸중보다 더 치명적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뇌졸중 진단 환자 수가 2015년 53만 8443명에서 2019년 61만 3824명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뇌내출혈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과 주요 장애 원인 중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2. 신경계의 구조 및 기능 신경계는 생각, 기억, ...2025.11.12
-
신경언어장애 실어증2025.05.101. 실어증의 정의 실어증은 정상적인 언어습득 이후, 후천적으로 뇌손상으로 인해 언어 수행에 어려움을 보이는 언어장애를 말한다. 치매와 같은 퇴행성 질환, 마비말장애 등의 말운동장애 증상들은 실어증의 정의에서 제외된다. 2. 실어증의 원인 실어증의 원인은 크게 혈관성 원인과 비혈관성 원인으로 나뉜다. 혈관성 원인은 뇌혈관 질환과 뇌졸중으로 인한 것이며, 비혈관성 원인은 뇌종양, 뇌염 등이 해당된다. 3. 실어증의 평가 실어증 평가의 목적은 실어증 유무 판별 및 진단, 실어증 유형 분류 및 중증도 판단, 예후 파악 및 치료여부 결정 ...2025.05.10
-
심전도 이해2025.01.121. 심전도의 이해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 것으로, 심장주기 중 심장근육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활동의 크기와 방향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심전도에는 P파, QRS파, T파 등의 기본 파형이 있으며, 이를 통해 심장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2. 심전도 유도 심전도 유도에는 표준유도, 사지유도, 흉부유도 등이 있습니다. 표준유도는 심장 전면의 심전도를 기록하고, 사지유도는 사지 간의 전위차를 기록하며, 흉부유도는 심장 전면의 심전도를 보다 자세히 기록합니다. 3. 부정맥의 이해 부정맥은 심장 맥박이 고르...2025.01.12
-
급성 의식장애와 실신의 임상 진단 및 분류2025.11.121. 급성 의식장애의 분류 의식은 자신과 주변을 지속적으로 인식하는 상태로, 각성과 인식으로 구성됩니다. 급성 의식장애는 명료, 혼동, 기면, 혼미, 반혼수, 혼수 등으로 분류됩니다. 명료는 정상 상태이고, 혼동은 주의력 산만, 기면은 자극 없이 각성 유지 불가, 혼미는 강한 자극 필요, 반혼수는 자발적 운동 없음, 혼수는 강한 자극으로도 깨울 수 없는 상태입니다. GCS 8점 이하는 혼수로 분류됩니다. 2. 특수한 의식장애 상태 식물인간 상태는 뇌손상으로 인한 심한 무반응 상태로 대뇌피질 기능정지를 특징으로 합니다. 잠김 증후군은...2025.11.12
-
PSVT 케이스2025.01.221. PSVT 환자 케이스 PSVT 환자 케이스에 대한 정보, 주호소, 과거력, 활력징후, P.I, ROS, IMP, Plan, 심전도 판독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PSVT 정의 PSVT(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은 갑자기 맥박이 빨라졌다가 돌연 정상적인 맥박으로 돌아오는 발작성 빈맥을 의미합니다. 3. PSVT 원인 PSVT의 원인은 정상적인 전기 전도 과정에서의 문제, 방실결절 내 전도로의 문제, 불현성 우회로를 이용한 방실회귀성 빈맥 등이 있습니다. 4. PSVT 증상 PSVT 환자는 두근거림, 가슴 답답함, 식은땀, 어지...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