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96개
-
정형외과 드레싱 물품 및 보조기2025.01.291. 거즈 드레싱 거즈 드레싱은 창상이 쉽게 건조해지고 회복 속도가 더딘 단점이 있습니다. 거즈 드레싱은 외부로부터의 세균, 수분, 이물질로부터 창상을 보호하지만 내부의 공기와 습기는 밖으로 투과되어 나갑니다. 2. 필름 드레싱 필름 드레싱은 반투과성으로 외부로부터의 세균, 수분, 이물질로부터 창상을 보호하고 내부의 공기와 습기는 밖으로 투과시켜 줍니다. 3. 하이드로겔 드레싱 하이드로겔 드레싱은 물과 글리세린을 기본으로 하는 친수성 물질로, 건조한 창상에 습윤 환경을 제공하여 자가분해(autolysis)를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4...2025.01.29
-
간호실습일지 모음(성인간호학실습,지역간호학실습,노인간호학실습,여성간호학실습,수술실실습,임상실습)2025.01.291. 간호활동 관찰 및 수행 V/S 측정, 체위변경 및 back care 시행 관찰 및 보조, L-tube feeding 관찰 및 feeding 완료 후 영양액 제거 시행, Spoon feeding 보조, BST 시행, 잔뇨 측정 관찰, 기관절개관을 통한 흡인 관찰 2. 요양병원과 요양원의 차이 요양원은 65세 이상 노인 또는 노인성질환을 가진 65세 미만의 환자 중 장기요양등급 판정을 거쳐 입소자격을 얻어야 하며, 의료기관이 아니므로 상근하는 의사는 없어도 상근 간호사는 있어야 한다. 요양병원은 의료기관으로 상근하는 의료진이 있어...2025.01.29
-
욕창 간호, 욕창 관리 (감염전담간호사 교육자료, 교육전담간호사 교육자료)2025.01.281. 욕창의 정의 및 발생 원인 욕창은 신체의 일정한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이나 마찰과 전단력이 결합된 압력이 가해져 모세혈관 순환장애로 인한 피부 및 피하 심부조직의 괴사가 발생한 것을 말한다. 주요 발생 원인으로는 압력, 전단력 및 마찰, 부족한 영양, 실금, 감각저하, 고령 등이 있다. 2. 욕창 호발 부위, 욕창의 분류 욕창은 주로 뼈가 돌출된 부위인 천골, 미골, 좌골결절, 대전자, 발꿈치 등에 호발한다. 욕창은 단계별로 1단계(비창백성 홍반), 2단계(표피와 진피 일부 손상), 3단계(근막 이하 조직 손상), 4단계(근막,...2025.01.28
-
갑상선 엽절제술 후 감염 위험 간호진단 사례연구2025.11.181. 수술 후 감염 위험 간호진단 일측 갑상선 엽절제술(로봇 수술)을 받은 환자의 감염 위험 간호진단. 양측 겨드랑이와 유륜 절개, JP drain 적용, IV 적용 중인 상태에서 감염 징후를 사정하고 모니터링함. 발열, 발적, 수술 부위 배액량 증가 등의 감염 징후를 관찰하고 활력징후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감염 예방 및 조기 발견에 중점을 둔 간호중재를 수행함. 2. 수술부위 상처관리 및 드레싱 수술 부위의 양쪽 유방과 겨드랑이 절개 부위에 대한 상처관리 방법 교육. 상처가 완전히 아물 때까지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고, 수술...2025.11.18
-
욕창예방교육(QI활동)2025.05.071. 욕창의 정의 욕창은 신체의 일정한 부위(주로 뼈 돌출부)에 압력, 혹은 마찰과 응전력이 결합한 압력이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써, 모세혈관의 순환장애로 인한 허혈성 조직괴사로 생기는 피부나 하부 조직의 손상상태를 말한다. 2. 욕창 발생 위험요인 움직임이나 활동의 제한, 전신 영양상태, 습기 정도, 감각 및 의식 장애, 동반 질환 등이 욕창 발생의 주요 위험요인이다. 3. 욕창의 분류 단계 욕창은 1단계부터 4단계까지 단계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별로 특징적인 증상과 치료방법이 있다. 또한 미분류 욕창이라는 단계도 있다...2025.05.07
-
화상간호 응급·재난 간호 실습 보고서2025.11.131. 화상의 분류 및 중증도 화상은 손상 깊이에 따라 1도(표재성), 2도(부분층), 3도(전층), 심부 전층 화상으로 분류된다. 1도 화상은 표피만 손상되어 2~3일 내 치유되며, 2도 화상은 표피와 진피 손상으로 10~14일 또는 3~6주 내 치유된다. 3도 화상은 표피, 진피, 피하조직, 근육, 신경이 손상되어 신경말단이 파괴되어 통증이 없으며 수주~수개월 치유 기간이 필요하다. 화상 범위는 9분의 법칙으로 계산하며 1도 화상을 제외한 범위를 총체표면적(TBSA)으로 평가한다. 2. 응급기 화상 간호술 화상 환자의 응급 간호는...2025.11.13
-
수술실 파이널퀴즈 공부2025.05.081. 복강경 담낭절제술 복강경 담낭절제술 시 주의사항으로는 비만, 장기유착, 복부탈장, 저혈량성 쇼크, 복막염에 의한 장천송 등이 있다. 복강경 시 mild 트렌델렌버그 체위를 취하며, 복강경 카메라 케이블은 senisleeve로 씌운다. CO2를 3~4L 주입하여 복압을 12~14mmhg로 유지한다. 복강경 포트는 12mm 트로카로 구멍을 뚫는다. 2. 복강경 기구 사용 복강경 기구 중 응고 및 지혈에는 monopolar, bipolar를 사용하며, 조직결찰 시에는 Endo clip을 사용한다. 출혈 잡을 때는 Unipolar, ...2025.05.08
-
혈관육종 환자의 수술 후 간호 사례연구2025.11.181. 혈관육종(Vascular Angiosarcoma) 혈관육종은 혈관 내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본 사례의 74세 환자는 1년 전 두피에 작은 결절이 발생했으며 3월부터 자주색(purpuric)으로 퍼져 생검과 MRI 검사를 시행했다. 결과적으로 모세혈관종과 다양한 결절이 양쪽에 보였으며 혈관육종의 침범으로 진단되었다. 이마에서 두피까지 피부 병변이 확대되어 광범위 절제술 및 피부이식술을 시행하게 되었다. 2. 수술 후 급성 통증 관리 광범위 절제술 및 두께 피부이식술 후 환자는 NRS 4점의 급성 통증을 호소했다. 간호...2025.11.18
-
지방종 케이스 간호진단3 간호과정12025.01.121. 지방종 지방종은 양성 지방종성 신생물로, 성숙된 지방세포로 구성된 양성 종양이며 얇은 피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주로 몸통, 허벅지, 팔 등의 피하 조직에 발생하며, 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다. 지방종의 치료는 외과적 절제이며, 수술 후 간호중재로는 통증 관리, 상처 관리, 합병증 예방 등이 필요하다. 2. 통증 관리 지방종 수술 후 발생하는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 진통제 투여, 냉찜질, 심호흡 등의 비약물적 방법을 활용한다. 통증 정도를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대상자의 통증 호소에 맞춰 적절한 중재를 제공한다. 3. 상처 관리 지방...2025.01.12
-
화상 환자의 관절가동범위 제한과 통증 관리2025.01.161. 관절가동범위 제한으로 인한 활동지속성장애 화상으로 인한 구축 및 드레싱으로 인해 관절가동범위가 감소하여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이 있었다. 간호사는 CMS 사정, ROM 평가, 체위 변경, 독립적 운동 격려, 통증 관리 등의 중재를 통해 관절가동범위를 개선하고 활동 능력을 향상시켰다. 2. 수술 및 상처치료과 관련된 급성통증 피부이식 수술 및 화상 부위 드레싱으로 인해 환자가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다. 간호사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통증 사정, PCA 적용, 진통제 투여, 비약물적 중재 등을 통해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였다. 3.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