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38개
-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2025.01.261. 플라톤의 인간관 철학자 플라톤은 사람이 지금 맞닥뜨리고 있는 모든 것이 그대로 다 보이는 대로 관철되어서는 안 된다고 제안한다. 왜냐하면, 인간이 체감하는 것들이 인간이라는 존재에 맞춰져서 내보여지기 때문이다. 플라톤이 생각한 인간다운 인간은 내면의 아름다움을 잘 발산해 내는 인간이다. 눈에 보이는 것만이 다가 아니라 내면의 성숙과 안정을 꾀하고 이타심, 도리를 고취해야 한다고 여기는 것이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관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본성에 의거하여 덕을 추구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덕을 도...2025.01.26
-
논어와 인성 수업 군자의 삶은 오늘날에도 실현 가능한가2025.05.071. 군자의 삶 군자의 삶은 오늘날에도 실현 가능한가. 군자가 가야 하는 길은 과거 중국 역사에서 필요한 지식이 대부분이지만, 현대에서는 그렇게 살기 힘들다. 공자가 말하는 군자의 삶은 자기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들을 포기하고 욕심부리기보다 없이 살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인 우리나라에서 당장 먹을 것이 없어도 군자로 살아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기 힘들다. 하지만 공자가 말하는 군자의 삶에 대해서 무조건 부정할 수는 없다. 2. 군자와 소인의 차이 군자와 소인의 차이점은 군자는 덕을 중요시하며, 재물에 대한 욕심을 가...2025.05.07
-
왕이 직접 지은 시, 어제시의 의미와 사례2025.11.121. 어제시의 정의 및 의의 어제시(御製詩)는 왕이 직접 지은 시를 의미하며, 한자로 표기됩니다. 영어로는 imperial poetry라고 합니다. 어제시는 국왕의 통치 신념과 국가 및 백성을 향한 마음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역사 자료이며, 동시에 왕의 문장력과 문학적 소양을 보여주는 본보기가 됩니다. 이를 통해 당대 왕실의 정치 철학과 문화 수준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영조의 어제시와 통치 철학 조선의 중흥을 이룩한 영조는 다양한 어제시를 남겼습니다. 그의 시들은 하늘에 정성을 바치는 경건함, 왕으로서의 책임감, 백성의 ...2025.11.12
-
동서양고전의 이해2025.01.251. 맹자 맹자(孟子, 기원전 372년?~기원전 289년?)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 발전시킨 유학자로,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에 활동했다. 그가 저술한 것으로 알려진 책 '맹자(孟子)'는 정치와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를 폭넓게 아우르는 책으로,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맹자는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도덕적 본성인 '인(仁)'과 '의(義)'를 근거로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교육과 수양을 통한 인간의 도덕적 발전 가능성을 강조했다. 2. 다윈의 『종의 기원』 비글호를 타고 남아메리카를 여행하던 중 다윈은 ...2025.01.25
-
유토피아에서의 자살과 안락사의 윤리성 고찰2025.11.161. 자살의 윤리성 자살을 자신의 신체에 치명상을 가하여 생명을 끊는 행위로 정의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권리와 의무를 중심으로 윤리성을 논한다. 타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존재하는 경우를 구분하여, 자신을 자살로 몰고 가는 고통이 타인이 받을 정신적 고통보다 크거나 자신의 욕구 좌절을 감당할 수 있는 경우 자살이 비윤리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주장한다. 2. 안락사의 윤리성 자발적 안락사를 타인에게 자신을 죽여 줄 것을 요청하는 살인으로 정의하며, 자살과 달리 타인의 동의가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환자의 특정 의...2025.11.16
-
사회복지현장의 윤리적 딜레마와 해결방안2025.11.181. 윤리적 딜레마의 개념 윤리적 딜레마는 2가지 이상의 도덕적 원칙 또는 의무가 동등하고 유용하다고 여겨지면서도 동시에 서로 모순되는 상황을 말한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비밀보장, 동료와의 정보공유 등에서 윤리적 갈등을 경험한다. 윤리강령이 있어도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상황과 문제에 따라 완벽하게 실천하기는 어렵다. 2. 윤리적 딜레마의 유형 가치상충은 2가지 이상의 가치가 직면했을 때 발생하는 갈등이다. 체계의 다중성은 누가 클라이언트인지 우선순위 결정의 어려움이다. 의무상충은 기관의 의무와 클라이언트의 의무 사이의 갈등이다...2025.11.18
-
공자의 생애와 사상2025.11.141. 공자의 생애 공자는 2500년 전 노나라에서 출생했으며, 이름은 구, 자는 중니이다. 아버지 숙량흘이 노년에 안징재를 맞아 공자를 낳았고, 3살에 아버지가 돌아가셔 어머니 홀로 공자를 키웠다. 불우한 소년시절을 보냈으나 글과 지식으로 인정받으려 노력했다. 30대에 노나라 가장 박식한 사람이 되어 관리로서 지위를 얻었다. 청년시절 명망이 높아져 노나라 왕 가까이했으나 정치 고문이 되지 못했다. 학문적 이상 실현이 불가능함을 깨닫고 후학 양성에 전념했다. 73세에 제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승하했다. 2. 공자의 사상과 이상 공자의...2025.11.14
-
맹자에 대한 조사2025.05.061. 맹자의 생애 맹자(孟子)는 성은 맹(孟)이며 이름은 가(軻)이다. 출생은 BC 372년 ~ BC 289년 추정되며 산둥성 추현 지방에서 출생했다. 맹모삼천지교로 유명하다. 2. 맹자의 시대적 상황 맹자가 살았던 전국시대는 세상이 쇠퇴하고 도가 희미해진 혼란의 시대였다. 맹자는 무력에 의한 패도를 버리고 인의왕도의 덕치로 천하가 하나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다. 유학의 수호자를 자임하며 공자의 사상을 계승하여 유학사상의 이론화 작업을 전개했다. 3. 맹자의 사상 - 천인합일 맹자에게 있어 하늘이란 천리이자 만물의 근원이며 우주의 주...2025.05.06
-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2025.01.261.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 플라톤은 인간이 자신이 본 것을 탐구하는 것이 가능한 존재라고 설명하며, 인간이 가진 이성은 사물이 갖고 있는 참된 본성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이라고 보았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자연이 지향하는 것에 맞추어 행동할 필요가 있으며, 인간의 내면 속에 존재하는 최선의 것인 자연의 목적이나 사물이 가지고 있는 참된 본성을 찾아나가는 것이 인간의 과제라고 보았습니다. 칸트는 인간이 이성을 가지고 행동하는 존재이지만 동시에 자연적 경향성도 가지고 있다고 보았으며, 인간이...2025.01.26
-
『맹자』의 '기본 내용 및 해제', '의의와 영향'2025.01.241. 맹자의 왕도정치 사상 맹자는 춘추전국시대의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 도덕적 질서에 기반한 왕도정치를 주장했다. 그는 정치의 핵심은 이익이 아닌 인의라고 보았으며, 백성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맹자는 정전제 등 실천적 정치제도를 제안하며 공자의 정치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2. 맹자의 성선설 맹자는 인간이 기본적으로 선한 마음(사단지심)을 가지고 있다는 성선설을 주장했다. 그는 개인이 도덕적 의지를 발현하여 행동하느냐에 따라 대인과 소인으로 구분된다고 보았다. 맹자의 성선설은 인간의 도덕적 가능성과 성장에 대한...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