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46개
-
전자회로실험 과탑 A+ 예비 보고서 (실험 3 정전압 회로와 리미터)2025.01.291. PN 접합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 PN 접합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는 부하 저항과 병렬로 다이오드를 연결하여, 입력 전압이나 부하 전류의 변화에도 출력 전압이 크게 변화하지 않도록 설계된 회로입니다. 입력 전압이 변하더라도 다이오드의 특성에 의해 출력 전압의 변화가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PSpice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의 변화와 부하 전류의 변화에 따른 출력의 변화를 모의실험하였습니다. 2.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는 PN 접합 다이오드와 유사한 동작 ...2025.01.29
-
BJT 에미터 바이어스 및 콜렉터 궤환 바이어스 회로 실험2025.11.161. BJT 에미터 바이어스 회로 에미터 바이어스는 전기적으로 안정적이며 소자 사용이 적어 설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온도 변화에 따라 전류와 전압 값이 변한다는 단점이 있다. 실험에서 2N3904와 2N4401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동작점을 측정하였으며, 에미터 전압이 증가하면 베이스 전류가 감소하여 안정성을 유지하는 특성을 확인했다. 2. BJT 콜렉터 궤환 바이어스 회로 콜렉터 궤환 바이어스는 높은 안정성으로 많은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소자가 많이 사용되어 회로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2025.11.16
-
BJT 이미터 및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실험2025.11.171. 이미터 바이어스 회로 이미터 바이어스 회로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전원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고정 바이어스보다 향상된 안정도를 제공한다. βRE≫RB 조건에서 이미터 전류는 BJT의 β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트랜지스터 교환 시 IC와 VCE의 변화가 거의 없다. 실험에서 2N3904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β값 162.3105를 결정하고, 측정된 VB=5.7902V, VRC=5.0742V로부터 IB=14.2098uA, IC=2.3065mA를 계산했다. 2. 컬렉터 피드백 회로 컬렉터 피드백 회로는 베이스 저항이 BJT의 컬렉터...2025.11.17
-
[A+] 중앙대학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 4. 신호발생기2025.04.291. Wien bridge RC 발진기 Wien bridge RC 발진기를 이용하여 신호 발생기를 설계, 제작, 측정하며 그 동작을 확인하는 실습을 수행했습니다. 실습에서는 Wien bridge 회로의 전압 분배 관계식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1.63 kHz에서 발진하는 회로를 설계했습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출력 파형과 FFT 분석 결과를 확인하여 목표 주파수와의 오차율을 확인했습니다. 2. 신호 발생기 안정화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Wien bridge oscillator를 안정화하는 회로를 설계했습니다. 다이오드는 Op amp의...2025.04.29
-
BJT의 고정 바이어스 및 전압 분배기 바이어스 회로2025.01.121. BJT 바이어스 회로 이번 실험에서는 BJT의 고정 바이어스 회로와 전압 분배기 바이어스 회로를 구성하여 각 소자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고 전류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고정 바이어스 회로에서는 트랜지스터를 바꾸어가며 측정했을 때 V_C와 I_C에 큰 차이가 발생했지만, 전압 분배기 바이어스 회로에서는 대부분의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를 통해 전압 분배기 바이어스 회로가 고정 바이어스 회로에 비해 더 안정적인 회로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트랜지스터 특성 측정 실험에서는 트랜지스터의 β 값을 측정하고 이론값과 비교하였다...2025.01.12
-
전기회로실험 A+ 결과보고서(직류전압의 측정)2025.05.071. 직류 전압 측정 이 실험에서는 회로의 직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익히고, 직류 전원 공급기의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목적입니다. VOM과 DMM을 사용하여 직류 전압을 측정하고,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압 범위를 확인합니다. 또한 가변 전압 안정 전원 장치의 동작을 이해하기 위해 스위치 개폐에 따른 출력 전압 변화를 측정합니다. 2. VOM과 DMM VOM은 직류 및 교류 전압, 전류, 저항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계기이며, DMM은 VOM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측정 범위가 더 넓습니다. DMM은 트랜지스터와 다이오드 시험에도...2025.05.07
-
전기공학에서의 오일러 항등식 응용2025.11.151. 오일러 항등식의 정의 및 기본 개념 오일러 항등식은 수학자 레오나르도 오일러에 의해 발견된 중요한 수학 공식으로, 지수 함수, 삼각 함수, 로그 함수 등 다양한 수학적 함수들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항등식은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특히 전기공학 분야에서 전기회로의 해석과 설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복소수 전압과 전류 관계식 유도 오일러 항등식을 전기회로에 적용하여 복소수 전압과 전류의 관계식을 유도할 수 있다. 이 관계식을 이용하면 다양한 전기회로의 해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잡한 전기회로를 간...2025.11.15
-
실험 9. CE 회로의 특성 실험2025.05.111.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는 베이스 전류가 일정하게 고정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컬렉터 전류값이 β값에 의존성이 크고 베이스 저항으로 값이 정해지므로 보통 스위칭 회로로써 사용됩니다. 2. 이미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 이미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는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에 이미터 저항을 추가하여 안정도를 높인 회로입니다. 컬렉터 전류값에 이미터저항의 값이 크면 클수록 β값을 무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3.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는 컬렉터의 전류값이 컬렉터 저항에 의...2025.05.11
-
아주대 전자회로실험 설계1 결과보고서2025.05.091.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는 두 개의 출력이 모두 동작 상태가 불안정하여 논리 1(SET)과 논리0(RESET) 상태를 일정 주기로 번갈아 하는 회로로서 주로 클록 신호로 사용된다. 작동 원리는 R1이 R4보다 작으므로, 초기 상태는 Q1 ON, Q2 OFF, C1 충전, C2 방전인 상태이다. Q1 on, Q2 off일 때 Q1이 ON이면 베이스 전류가 흘러 C2가 충전된다. 동시에 Q1의 컬렉터 전위가 대략 0.2V로 떨어진다. C1에는 대략 4.3V만큼 충전돼있고, 커패시터는 양쪽 극판 사이의 전위...2025.05.09
-
전기전자공학실험-발광 및 제너 다이오드2025.04.301. 발광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는 이름이 함축하는 바와 같이 충분한 에너지를 받았을 때 가시광선을 내는 다이오드이다. 순방향으로 바이어스된 p-n 접합에 있어서, 접합부에서는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이 일어난다. 재결합은 구속되지 않은 자유전자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다른 상태로 전달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GaAsP나 GaP와 같은 LED 재료에서 빛 에너지의 광자가 눈에 보이는 가시광원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수로 방출된다. 이것이 소위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과정이다. 모든 LED에 대하여 밝고, 선명하고, 또...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