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238개
-
신경계 중환자실 체크리스트2025.01.161. 중환자실의 기능과 구조 중환자실은 심각한 질환으로 생명이 위독한 환자들의 생명을 유지시키고 중요한 장기들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집중치료가 시행되는 곳이다. 중앙보훈병원의 중환자실은 SICU, NCU, CCU, MICU로 나누어져 있으며 NUC는 12bed + 격리실 2실로 구성되어 있다. 2. 기도관리 청진의 순서, 정상 및 비정상 호흡음의 특징과 원인, 폐 물리요법의 목적과 종류, 호흡부전과 부적절한 기도유지 환자 관리를 위한 ABG 검사 등을 설명하고 있다. 3. 기관절개관 관리 기관절개관 관리 절차, 커프 관리, 말하...2025.01.16
-
CVP & EKG 모니터링 체크리스트2025.11.141. 중심정맥압(CVP) 모니터링 중심정맥카테터 삽입 및 압력 모니터링을 위한 물품 준비, 적응증, 합병증 관리를 포함한다. 적응증은 체액량 상태 평가, 우심실 전부하 사정, 혈역학 변화 관찰, 정맥 샘플 채취 등이다. 합병증으로는 출혈, 부정맥, 감염, 혈전, 색전형성, 기흉, 혈흉, 유미흉, 혈관손상, 공기색전증, 수액과다주입이 있다. 삽입부위는 성인의 경우 쇄골하정맥, 경정맥, 대퇴정맥이며, 체위에 따른 정확한 모니터링과 영점 조정이 필수적이다. 2. CVP 파형 분석 및 정상 범위 정상 파형은 A파(심방수축), B파(삼첨판 ...2025.11.14
-
2021년 약리학 최종보고서 - 심근경색 환자 간호2025.11.181. 심근경색 환자 간호 중재 심근경색 환자의 간호 수행에는 4시간마다 활력징후 확인, 8시간마다 식이와 섭취량 모니터링, 위관영양 제공, 절대 침상 안정 유지가 포함된다. 산소 치료는 비강캐뉼라를 통해 분당 2L를 필요시 제공하며, NIPB, SPO2, 심전도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환자 교육은 치료 계획 이행의 중요성과 이상 증상 발생 시 즉시 보고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2. 항혈소판제 및 지질저하제 약물 관리 프리그렐정(75mg)은 허혈뇌졸중과 심근경색 예방에 사용되며 출혈 위험이 증가한다. 크레젯정(10/5mg)은 ...2025.11.18
-
모나 헤르난데스 폐렴 환자 간호 사례2025.11.171. 폐렴의 임상 증상 및 진단 72세 히스패닉계 여성 모나 헤르난데스는 인플루엔자 진단 10일 후 마른 기침, 발열, 권태감을 보였으며, 우하엽 침윤으로 폐렴 진단을 받았습니다. 체온 38.4도, 녹슨 색 가래, 떨림,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났으며 항생제 치료를 시작했습니다. 활력징후는 체온 38.1도, 맥박 분당 104회, 호흡 분당 24회, 혈압 112/72mmHg이며, 산소포화도는 3L/min 비강 캐뉼러에서 95%였습니다. 2. 산소 요법 및 호흡 관리 폐렴 환자의 호흡 곤란 완화를 위해 산소 마스크를 착용하고 2L/min...2025.11.17
-
DC Cardioversion 전기적 동율동 전환술2025.11.171. DC Cardioversion의 목적 및 적응증 DC cardioversion은 불안정한 빈맥성 부정맥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적 동율동 전환술입니다. 주요 적응증으로는 심방세동(A-fib), 심방조동(Atrial flutter), 발작성상심실성빈맥(PSVT), 맥박이 있는 심실빈맥(V-tach) 등이 있습니다. 이는 환자의 불규칙한 심장 리듬을 정상 리듬으로 복구하기 위해 전기 충격을 이용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2. Defibrillation과의 차이점 Cardioversion과 defibrillation의 주요 차이점은...2025.11.17
-
도리스 보우먼 VSim 시뮬레이션 성인간호학 실습2025.11.121. 수술 후 합병증 관리 심부정맥혈전증, 방광기능장애, 출혈, 감염 등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압 저하, 헤모글로빈 감소 등의 징후를 모니터링하고, 항색전 스타킹 적용, 조기 보행 권장, 무릎 아래 베개 제거 등의 중재를 시행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활력징후와 임상 증상을 지속적으로 사정하여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2. 통증 관리 및 약물 투여 수술 후 통증 관리는 환자의 회복과 안위에 필수적입니다. 간호사는 진통제 투여 후 30분 이내에 약물의 효과를 사정해야 합니...2025.11.12
-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과정2025.01.221. 고체온 간호사정 대상자의 체온, 혈압, 맥박, 호흡 등의 활력징후를 매 4시간마다 측정하고 피부색과 발열 증상을 사정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WBC, CRP, ANC 수치를 확인하여 감염 상태를 파악하였다. 2. 고체온 간호계획 대상자의 V/S가 정상 범위를 유지하고 발열 증상이 없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활력징후 모니터링, 피부색과 발열 증상 사정, 미온수 목욕, 해열제 투여 등의 중재를 계획하였다. 3. 고체온 간호수행 계획한 대로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매 4시간마다 측정하고 피부색과 발열 증상을 사정하였다....2025.01.22
-
ICU 실습 Nursing Narratives2025.01.131. 중환자실 구조와 물품 및 기구 실습 첫날에 먼저 중환자실에 적응하기 위해 전반적인 구성과 환자 현황 등을 관찰하였다. 중환자실은 환자 수가 대략 10명 정도로 대부분 접촉주의 환자들이 있었고 격리실 룸 1개, 나머지 베드 14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듀티당 3명의 간호사 선생님이 차팅 담당, 차팅과 액팅 담당, 액팅 담당으로 나누어서 팀 간호제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모든 침상에 활력징후 모니터(EKG)가 있어 환자의 생체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환자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손소독제가 달려있는 것을...2025.01.13
-
진정제 간호 및 관리2025.11.161. 진정(Sedation)의 정의 및 목적 진정은 의식수준을 낮추기 위해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기법입니다. 안정과 평안을 유지하고, 신체적 불편·통증·불안을 최소화하며, 부적절한 반응과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수면내시경, 뇌파검사, 자기공명촬영, 소아 전산화단층촬영 등 환자의 안전과 원활한 진행을 위해 필요한 모든 시술 및 검사에 적용됩니다. 과진정이 되지 않도록 호흡억제와 심박동억제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2. 진정제의 종류 및 작용 주요 진정제는 Midazolam, Lorazepam, Propof...2025.11.16
-
SICU 외과계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1개, 간호중재 4개)2025.04.281. 뇌경색 대상자는 뇌경색으로 인해 SICU에 입원하였습니다.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질환으로, 증상으로는 현기증, 호흡곤란, 의식저하 등이 나타납니다. 이를 위해 혈전용해술, 항혈소판제 등의 약물치료가 필요하며, 간호중재로는 신경학적 증상 모니터링, 두개내압 관리, 약물투여 등이 중요합니다. 2. 호흡관리 대상자는 폐렴으로 인해 기계환기요법을 받고 있습니다. 호흡곤란, 객담 배출 등의 증상이 있어 이를 관리하기 위해 기계환기, 흡인, 산소공급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활력징후 모니터링, 자세변경 등을 통해 호흡...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