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2개
-
건강보험심사청구 진찰료, 입원료, 의약품관리료 산정기준2025.11.171. 진찰료의 구성요소와 산정기준 진찰료는 기본진찰료와 외래관리료로 구성된다. 기본진찰료 비율은 기본진찰료를 진찰료로 나누어 계산하고, 외래관리료 비율은 100에서 기본진찰료 비율을 뺀다. 예시로 의원의 경우 진찰료 188.11 중 기본진찰료 155.57(82.7%), 외래관리료 32.54(17.3%)로 구성된다. 초진과 재진 환자 모두 동일한 계산식을 적용한다. 초진환자는 해당 상병으로 동일 의료기관의 동일 진료과목 의사에게 진료받은 경험이 없는 환자이고, 재진환자는 계속해서 진료받고 있는 환자이다. 2. 진찰료 산정 제한 및 불...2025.11.17
-
통합간호 보건정책 제안 보고서2025.01.121. 골든 타임 의료 접근성 보고서에서 '골든 타임 내 의료 접근성 확보'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대구 여학생 응급실 뺑뺑이 사망 사건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행 정책으로 필수의료 지원대책의 내용을 살펴보고, 추가로 응급의료체계 개편 및 확충, 충분한 의료인력 확보, 지역·과목 간 인력 격차 최소화 등의 정책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2. 의료비 지출 증가 속도 통제 보고서에서는 GDP 대비 경상 의료비 지출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적정 수준에서 매년 경제성장률에 맞추어 목표 증가율을 설정하여 우리 사...2025.01.12
-
의료기관 내 폭력 예방 및 대응 방안2025.11.131. 의료기관 폭력의 정의 및 유형 의료기관 내 폭력은 의료진, 환자, 보호자 간에 발생하는 신체적, 언어적, 심리적 폭력을 포함합니다. 주요 유형으로는 환자나 보호자로부터의 폭행, 협박, 성희롱, 괴롭힘 등이 있으며, 이는 의료진의 신체적 안전과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2. 의료기관 폭력의 원인 및 위험요인 의료기관 폭력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는 진료 대기시간 증가, 진료 결과에 대한 불만, 의사소통 부족, 환자의 정신질환이나 약물 영향, 과도한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응급실, 정신과, 중환자실 등 특정 부서에서 ...2025.11.13
-
발작 (Seizure) 사례연구2025.01.281. 발작(Seizure) 발작은 뇌의 신경원에서 전기 에너지가 갑자기 불수의적이고 비정상적으로 과다하게 방전되는 현상입니다. 원인으로는 뇌종양, 외상, 뇌의 감염, 대사장애, 급성 알코올 중독, 전해질장애 등이 있습니다. 발작은 몇 초 또는 몇 분 동안 지속되며 전신발작, 부분발작, 비분류성 발작 등의 유형이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EEG, MRI 등의 검사가 필요하며, 치료는 약물요법, 미주신경자극법, 수술요법 등이 있습니다. 간호중재로는 안전한 환경 조성, 기도 유지, 발작 관찰 등이 중요합니다. 2. 응급실 내원 환자 관리 ...2025.01.28
-
응급간호: 1차사정, 2차사정, Triage, 중증도분류2025.11.141. 1차사정(Primary Survey) 응급환자의 생명 위협 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식하고 처치하기 위한 단계별 평가 방법. AVPU를 이용한 의식수준 평가(Alert, Verbal, Pain, Unresponsive), 기도 유지(Airway), 호흡 평가(Breathing), 순환 상태 확인(Circulation), 신경학적 기능장애 평가(Disability), 신체 노출 검진(Expose)의 6단계로 구성. 각 단계에서 생명 위협 징후를 신속히 파악하고 필요한 응급처치를 수행하는 체계적 접근법. 2. 2차사정(Secondary...2025.11.14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 장비관리2025.11.131. Patient Monitor 관리 Patient Monitor는 31w, 32w, 51w 병동의 게시판 앞과 Nr. main station 옆에 위치하며, 정 책임자는 HN 김수경, HN 이정연, HN 김현정이고 부 책임자는 CN 최인송, CN 박용자, CN 한아름이다. 이 장비는 환자의 생체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필수 의료기기이다. 2. NIBP(비침습적 혈압계) 관리 NIBP는 Nr. main station 옆, 앞, 그리고 내부에 위치하며 동일한 책임자 체계로 관리된다. 정 책임자는 HN 김수경, HN 이정연, H...2025.11.13
-
우리나라 간호수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2025.11.121. 간호수가의 정의 및 산정방법 간호수가는 간호사가 제공한 간호행위의 제공 대가로 지불을 청구할 수 있는 금액을 의미한다. 간호수가 산정 방법으로는 상대가치 수가제, 포괄수가제, 환자분류군별 수가제, 방문 당 수가 등이 있다. 간호원가는 간호행위의 수행에 실제로 소요된 투입자원의 비용이며, 표준원가 산정법, 과정원가 산정법, 작업별 원가 산정법 등으로 산정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1977년 의료보험제도 실시 이후 진료비 지불체계가 의사의 진료 중심의 행위별수가제를 채택하고 있다. 2. 간호관리료 차등제의 현황과 문제점 간호관리료 차...2025.11.12
-
성인간호 ER(응급실) 사전학습2025.05.081. 응급실 약물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의 효능/효과와 부작용을 정리하였습니다. Epinephrine, Atropine, Sodium bicarbonate, CaCl2, Cagluconate, dobutamine, Lidocain, Amiodarone, Adenosine, Norepinephrine, Verapamil 등의 약물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응급환자 분류체계 응급실에서 환자를 중증도에 따라 분류하는 Triage 체계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긴급(Immediate), 응급(Delayed), 비응급(Minim...2025.05.08
-
간호단위와 전문분야 간 협력과 조절2025.05.101. 환자 중심 간호 환자의 개별성을 인정하여 개인적 요구에 맞게 환자를 간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제공자는 환자의 욕구와 선호도를 존중하고, 의료정보 제공, 진료과정에서 환자의 의견 반영과 의사결정에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환자에게 어떤 것이 가장 필요한지 사정하고, 환자의 존엄성 보호와 안녕을 도모하며 적극적으로 환자를 돌봐야 한다. 환자 중심 간호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환자의 69%가 환자중심 접근방식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인식했을 뿐만 아니라 의료 질 향상과 안전의 증가, 의료비용 감소와 만족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2025.05.10
-
[지역사회간호학] 학교보건실 운영 [보건실 시설관리, 학교보건실의 위치조건, 보건실 면적 및 구성, 시설 및 기구, 물품관리, 문서관리]2025.05.111. 학교보건실의 위치조건 학교보건실은 1층에 배치하여 응급처치 및 환자이송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조용하고 채광과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 위치해야 한다. 또한 운동시설과 연계되고 학생들의 출입이 편리한 곳에 설치하며,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 출입문도 구급차량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고려해야 한다. 관리실 및 화장실과도 원활하게 연계되도록 배치하고, 보건교육실은 보건실 옆에 공간을 확보하여 개방된 구조로 설치하여 항시 보건실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2. 보건실 면적 및 구성 보건실의 면적은 66m² 이상이 권장되나, 보건...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