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16개
-
임상에서 사용하는 수액2025.05.131. 수액의 정의 수액(fluid)은 흔히 말하는 링거액이나 체액 성분 또는 영양 성분을 보충하기위한 액체를 체내에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링거액은 수액의 한 종류이다. 2. 수액의 종류 수액은 크게 정질용액과 교질용액으로 나눌 수 있다. 정질용액은 혈관 외 공간으로 자유로이 확산될 수 있는 작은 분자들로 이루어진 전해질 용액이며, 교질용액은 혈관벽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므로 혈관 내에 남아 교질삼투압을 형성하여 수분을 잡아둠으로써 혈장량을 증가시킨다. 3. 수혈 수혈(Blood transfusion)은 치료를 목적으로 사람...2025.05.13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혈액확인과 환자확인2025.05.111. 혈액확인과 환자확인 본원 혈액확인과 환자 확인 절차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혈액 수령 시 혈액출고증과 혈액담당 직원의 1차 확인, 환자 주입 전 병동에서 출고증과 동료간호사의 2차 확인, 혈액백 스티커의 서명/확인 등 혈액과 환자 확인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혈 전 간호 사정, 수혈 동의서 확인, 검체 채혈 및 ABO/Rh, cross matching 검사 절차, 혈액제제 확인 절차, 수혈 전 최종 확인 등 안전한 수혈을 위한 다양한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2. 안전한 수혈을 위한 간호 간호사의 수혈 관...2025.05.11
-
성인간호학 실습) 혈액제제에 대한 조사2025.05.151. 전혈(Whole Blood) 전혈은 적혈구, 혈장,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된 Blood로 320~400cc/unit 양이 주입되며, 2~4시간 동안 주입됩니다. 전혈은 산소운반능력, 혈액량 보충이 요구될 때, 급성출혈, 대량출혈(25% 이상), 수술 시 혈액량 및 산소운반 능력이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2. 농축적혈구(Packed Red Blood Cell, PRC) 농축적혈구는 전혈을 원심분리 또는 침전시켜 혈장 성분을 80% 이상 제거한 적혈구로 240cc/unit 양이 주입되며, 2~4시간 동안 주입됩니다. ...2025.05.15
-
면역혈액학 8과 및 9과 정리 보고서2025.01.061. 수혈 적합 검사 수혈 적합 검사는 수혈을 하기 전에 환자의 혈액과 공여자의 혈액을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는 환자 식별, 혈액형 확인, 비예기 항체 검사, 교차 적합 검사 등이 포함됩니다. 교차 적합 검사는 환자의 혈액과 공여자의 혈액을 섞어서 응집이나 용혈 반응이 없는지 확인하는 마지막 단계입니다. 이를 통해 수혈 부작용을 예방하고 수혈된 적혈구가 환자의 몸에서 잘 생존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헌혈자 선별 및 채혈 헌혈자 선별 과정에는 등록, 건강 문진, 신체 검사 등이 포함됩니다. 채혈 금지 기준으로는 체중, 체...2025.01.06
-
수혈 간호2025.01.161. 수혈 목적 수혈의 목적은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고, 부족된 응고인자를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하며, 빈혈 환자의 산소운반 능력을 증가시키고, 수혈 받는 동안에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부작용 발생 시 적절히 대처하기 위함이다. 2. 수혈 과정 및 방법 수혈 과정은 의사의 수혈 의뢰, 혈액 검사, 혈액 불출, 혈액 확인 및 보관, 수혈 준비 및 실시 등으로 이루어진다. 수혈 방법에는 혈액 확인, 환자 확인, 수혈 속도 조절, 부작용 관찰 등이 포함된다. 3. 수혈 관련 합병증 수혈과 관련된 합병증에는 순환기계 부담, 열 반응, 알러...2025.01.16
-
[A+]성인간호학 SBAR 사례 2개2025.04.281. 수혈 부작용 환자가 수혈 중 고열, 어지러움, 나른함 등의 증상을 호소하여 수혈 부작용이 의심됩니다. 수혈을 중단하고 해열제 및 수액 투여, 활력징후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데노간 투여와 혈액배양 검사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2. 항암제 부작용 환자가 항암제(5FU) 투여 후 심한 말초신경통과 혈관이 터지는 느낌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는 항암제 부작용으로 판단됩니다. 라인 변경, 진통제 투여, 항암제 중단 등의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1. 수혈 부작용 수혈은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의료 절차이지만, 때때로 부작...2025.04.28
-
[성인간호학실습A+] 핵심시뮬 자가학습 문제(실습지침서 답)_ 수혈요법, 수술 간호2025.04.291. 수혈요법 수혈요법에 대한 내용으로, 혈액성분의 종류, 수혈 부작용의 종류, 수혈 부작용에 대한 간호중재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수술 간호 수술 전 간호에 대한 내용으로, 수술 전 시행되는 폐운동법의 종류와 수술 후 폐합병증 예방을 위한 강화폐활량계 사용방법 교육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1. 수혈요법 수혈요법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의료 절차입니다. 수혈을 통해 환자의 혈액 성분을 보충하고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혈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과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2025.04.29
-
성인간호학 빈혈 ppt 극찬받았습니다.2025.05.061. 혈액의 구성 및 기능 혈액은 혈장과 혈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소와 영양소 운반, 체액 및 전해질 균형 유지, 감염 방어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은 각각 고유한 특성과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빈혈의 종류와 증상 빈혈은 적혈구 수, 혈색소, 적혈구 용적비가 정상보다 낮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재생불량성, 철결핍성, 거대적아구성, 엽산결핍성, 용혈성, 겸상적혈구성 등 다양한 종류의 빈혈이 있으며, 각각 특징적인 증상을 보입니다. 3. 빈혈 진단 및 간호 계획 CBC, 골수검사, 말초혈액도말검사...2025.05.06
-
수혈2025.05.121. 수혈의 목적 수혈의 목적은 어떤 질환으로 인하여 혈액 및 혈액성분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정맥주입을 통하여 혈액을 공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부족한 순환혈액량을 보충하고,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증가시키며, 혈액응고 인자를 보충하고, 혈액의 결핍된 성분을 보충하는 것이다. 2. 수혈의 기본수칙 수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절차는 환자 곁에서 환자의 검체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다. 혈액 채취 후에 환자와 검체 표지(label)를 확인하고 적절한 서식에 날짜를 기입하고 서명해야 한다. 수혈 시에도 환자 곁에서 적합성...2025.05.12
-
VSIM - Surgical Scenario 5 Lloyd Bennett (간호과정 2개, 문헌고찰, 약물조사, 퀴즈, 시나리오 분석)2025.05.081. 인공(고)관절 치환술 인공(고)관절 치환술은 손상된 고관절을 인공물로 대치하여 고관절의 운동 기능을 보존하고 일상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술 방법이다. 무혈성 골두 괴사,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적응증으로 시행되며, 통증을 없애고 관절운동범위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수술 후 통증, 감염, 탈구, 신경증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간호가 필요하다. 2. 수혈 부작용 관리 수혈 중 발열, 오한, 요통, 메스꺼움, 호흡곤란, 불안 등의 급성 용혈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즉시 수...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