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30개
-
수술실과 회복실 간호사의 역할 및 마취2025.11.16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수술실 간호사는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로 분류된다. 소독간호사는 외과의의 옆에서 수술에 직접 관여하며 멸균물품 준비, 무균술 엄수, 기구 제공 등을 담당한다. 순환간호사는 수술 준비를 돕고 전체 수술 과정을 기록하며 환자를 지지하는 책임을 진다. 두 역할 모두 환자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고 수술팀과 협력하여 각자의 직무를 수행한다. 2. 회복실 간호사의 역할 회복실 간호사는 마취 회복 및 활력징후 안정, 출혈 징후 소멸까지 환자를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마취 회복기 간호는 3단계로 나뉘며, 안전한 마취회복,...2025.11.16
-
기본간호학-수술2025.05.011. 수술의 분류 수술은 목적, 위험 정도, 긴급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됩니다. 목적에 따라 진단적 수술, 탐색적 수술, 치료적 수술, 완화적 수술, 예방적 수술, 성형수술 등으로 나뉩니다. 위험 정도에 따라 대수술과 소수술로 구분되며, 긴급 정도에 따라 응급 수술, 긴급 수술, 계획된 수술, 선택적 수술, 임의적 수술 등으로 나뉩니다. 2. 마취의 유형 마취에는 전신마취, 부분마취, 국소마취, 의식하 진정 등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 전신마취는 중추신경계를 억압하여 전신을 마취시키는 방법이며, 부분마취는 수술 부위의 신경에 마...2025.05.01
-
A+받은 마취 환자 간호(수술실 실습 컨퍼런스 자료)2025.01.291. 마취 마취약물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무감각 또는 통증에 대한 인지능력 상실을 유도하는 처치법이다. 전신마취와 국소마취로 나뉘며, 전신마취는 중추신경계를 차단하여 의식, 감각, 기억이 모두 상실되고 호흡순환기를 억제하는 특징이 있다. 국소마취는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신체 한 부분의 통증에 대한 감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마취 중 모니터링으로는 심전도, 혈압, 체온, 산소포화도, 호흡 등을 확인한다. 2. 전신마취 전신마취는 중추신경계를 차단하여 의식, 감각, 기억이 모두 상실되는 마취 방법이다. 마취 유도기, 흥분기, 외과적 ...2025.01.29
-
간호학과 약리학 국소마취제 및 전신마취제 중간고사 기말고사 대비 족보 객관식 20문제 풀이 포함 퀼리티 높음2025.01.231. 국소마취제의 작용 기전 국소마취제는 나트륨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작용한다. 나트륨 경로의 차단은 비선택적 과정이기 때문에, 감각 신경과 운동신경 모두 영향을 받는다. 이로 인해 감각 및 근육 활동이 일시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뉴런이 흥분하는 데에는 나트륨 이온이 신경세포로 급속하게 유입되는 것이 필요하므로, 국소마취제는 이 과정을 차단하여 마취 효과를 발휘한다. 2. 국소마취제의 투여 방법 국소마취제는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다. 경막외마취, 척수마취, 침윤마취, 신경차단마취, 외용 마취 등이 있다. 이 중 경막외마취는 척...2025.01.23
-
간호학과 성인 수술실 실습 전 개념정리2025.01.17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소독 간호사(Scrub nurse)는 멸균된 수술 가운을 입고 멸균 영역에서 수술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활동한다. 수술 과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집도자의 요구를 예측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순환 간호사(Circulating nurse)는 비멸균 영역에서 수술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돕는 간호활동을 한다. 수술 과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집도자의 요구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2. 마취의 종류와 마취제 전신마취제에는 흡입마취제와 정맥마취제가 있다. 흡입마취제에는 아산화질소, ...2025.01.17
-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사전학습 보고서2025.11.141. 수술실 환경 및 물리적 설비 수술실은 비제한, 준제한, 제한, 이행 구역으로 나뉜다. 비제한 구역은 수술복, 마스크, 실내화, 모자를 착용하고 출입하며 스크럽 지역 등이 있다. 준제한 구역은 회복실, 장비창고, 간호사 휴게실 등이 있다. 제한 구역은 수술실 내부이다. 수술실의 물리적 설비는 세균 성장 억제와 정전기 방지를 위해 20-24℃의 온도와 최소 50% 습도를 유지한다. 공기 여과, 환기, 냉난방시설을 완벽하게 하여 세균 감염을 감소시킨다. 수술실은 통행이 적고 중환자실과 가까우며 2-3층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2. ...2025.11.14
-
[A++] 중추신경계에 직접적으로 약물을 전달하는 stereotaxic injection 방법 이해2025.04.301. Stereotaxic injection 방법 Stereotaxic injection 방법은 살아있는 상태의 실험체의 뇌의 특정 부위에 3D좌표를 활용하여 직접 주사를 통해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 중 하나이다. 이 과정은 약물을 투여했을 때, 해당 환자의 특정 뇌 부위에서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고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Stereotaxic injection은 종마다 일반적으로 정해져 있는 뇌의 지도와 같은 Stereotaxic coordinates를 이용하여 좌표설정을 통해 뇌의 특정...2025.04.30
-
성인간호실습 수술실 마취 수술 회복 간호2025.01.171. 마취의 정의와 개념 마취제를 투여하여 중추신경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의식이나 전신적인 감각, 운동 및 반사를 소실시키는 방법. 마취통증의학과 의사가 환자가 수술을 받는 동안 통증, 의식, 움직임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호흡, 혈압 및 전신상태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일련의 진료 과정. 2. 마취 방법 1. 대상자의 활력징후 측정 후 장비 부착 2. 산소마스크 착용 및 수면제 투여 3. 흡입마취제 또는 정맥마취제 지속 투여, 근육기관제 투여, 기계환기 4. 기관내삽관 및 마취기 연결 5. 마취과 의사의 지속적 활력징후 감시 및 마취깊...2025.01.17
-
수술실 사례연구: 척추궁절제술과 V-Y 피판술2025.11.141. 척추궁절제술 및 추간판절제술(Laminectomy & Discectomy) 요추 척추관협착증(T12-L1) 환자에 대한 신경외과 수술로, 척추궁을 제거하고 탈출된 추간판을 절제하는 시술이다. 복위(prone position) 자세에서 시행되며, C-arm 투시를 이용하여 수술 부위를 확인한다. 수술 과정은 절개, 근육박리, 척추궁절제, 황색인대 절개, 추간판 제거 등의 단계로 진행되며, 신경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신경근견인기와 현미경을 사용한다. 지혈 및 감염 예방을 위해 겔폼과 가디스를 사용하고, 봉합은 층별로 다른 재료를...2025.11.14
-
손목터널증후군 마취회복실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3개2025.01.051. 손목터널증후군 손목 앞쪽의 뼈와 인대들로 인해 형성된 통로인 수근관이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서 이곳을 통과하는 정중신경이 눌려 손바닥과 손가락에 이상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대표적인 원인은 인대가 두꺼워져 정중신경을 압박하여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손목의 통증, 엄지·검지·중지 및 손바닥 부위의 저림 증상이 있으며, 밤에 증상이 악화되고 손목을 굽히는 자세를 1~2분 정도 했을 때 저린 느낌이 나기도 한다. 진단을 위해 수근굴곡검사, 신경타진검사, CTS-6 등의 검사를 시행한다. 치료로는 보존적 치료, 약물치료, 물...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