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6개
-
모발특성학2025.04.261. 모발의 구성 모발은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핵산 등의 유기물과 물, 무기염류 등의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단백질은 모발의 주요 성분으로 약 45%를 차지하며, 탄소, 수소, 산소, 질소, 황 등의 원소로 이루어져 있다. 모발의 단백질은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폴리펩타이드 사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사슬이 다양한 2차, 3차 구조를 형성하여 모발의 특성을 결정한다. 2. 단백질의 구조 단백질의 기본 구조는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1차 구조이다. 이 1차 구조가 수소 결합, 이온 결합, 시스틴 결합...2025.04.26
-
전기영동을 이용한 단백질의 관찰(생화학실험)2025.01.161. 전기영동 전기영동은 전극 사이의 전기장 하에서 용액 속의 전하가 반대 전하의 전극을 향하여 이동하는 화학현상이다. 겔 전기영동법은 전기영동 현상을 단백질 분석에 응용한 초기 형태로, 단백질 크기에 따라 분리가 가능하다. 전기영동 실험에서는 SDS 처리를 통해 단백질의 전하를 균일하게 만들어 오직 크기에 따른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isoelectric focusing과 2D 전기영동법 등 다양한 전기영동 기법이 있다. 2. 겔 제조 겔은 acrylamide와 bisacrylamide를 혼합하여 중합 반응을 통해 만든다...2025.01.16
-
세포 용해를 통한 단백질 추출2025.01.021. 세포 용해 방법 세포 용해(또는 세포 파괴)에 사용되는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살펴보고, RIPA 용해 완충액을 사용하여 세포를 파괴하고 세포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 RIPA 용해 완충액은 세포막, 핵막, 단백질 결합을 모두 분해할 수 있는 강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어 세포질, 핵 단백질 등 다양한 단백질을 추출할 수 있다. 2. 단백질 추출 과정 배양 중인 MCF-7 세포를 DPBS로 세척하고 세포 긁개로 세포를 모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릿을 얻었다. 이 세포 펠릿에 RIPA 용해 완충액을 처리하여 세포를 용해하...2025.01.02
-
실험조리-농도와 첨가물에 따른 달걀찜의 품질비교2025.01.121. 달걀의 열응고성 달걀 단백질이 열에 의해 단백질 분자 내의 폴리펩티드 사슬이 결합, 재배열되어 졸의 상태에서 겔의 상태로 변하는 과정이다. 열에 의한 응고는 넓은 범위에서 일어나므로 가열 시점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띠며, 가열이 진행될수록 상태는 더 단단해진다. 2. 열응고성에 미치는 요인 단백질의 농도, 가열온도, 염 첨가, 설탕 첨가 등이 달걀의 열응고성에 영향을 미친다. 단백질 농도가 낮을수록,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염이나 설탕을 첨가할수록 열응고성이 증가하여 응고 온도가 낮아진다. 또한 염은 단백질을 전기적으로 중화시켜...2025.01.12
-
SDS-PAGE를 이용한 AP 단백질 분석 및 Coomassie Blue Staining2025.01.171. SDS-PAGE를 이용한 단백질 분석 SDS-PAGE 실험을 통해 AP 단백질의 크기와 순도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SDS-PAGE 과정에서 단백질의 3차 구조를 제거하고 크기에 따라 분리되도록 하여, 목표 단백질인 AP 단백질을 선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Coomassie Blue 염색을 통해 단백질 밴드를 시각화하여 분석할 수 있었습니다. 2. 단백질 정제 과정 단백질 정제 과정에서 target 단백질 이외의 비특이적으로 결합한 단백질들이 씻겨나가면서 target 단백질의 순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2025.01.17
-
Plasmid DNA 분리 예비레포트2025.04.261. 플라스미드 DNA 플라스미드는 생장에 필수적인 염색체이며 DNA에서 물리적으로 분리 돼 있는 대표적인 에피솜 DNA분자입니다. 플라스미드는 유전자 클로닝, 유전자 전달, 외래 유전자 또는 재조합 유전자 발현, 유용 단백질 생산, 백신 상산 등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플라스미드 DNA는 염색체 DNA와 달리 작은 환형 DNA이기 때문에 변성 후 회복이 상대적으로 빨리 이루어집니다.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미드 DNA를 분리하고 정제할 수 있습니다. 2. 플라스미드 DNA 분리 원리 플라스미드 DNA 분리의 핵심 원리는 변성된 DN...2025.04.26
-
박테리아에서 DNA 분리 (생화학 실험)2025.01.161. Alkaline lysis mini prep Alkaline lysis mini prep은 박테리아로부터 플라스미드 DNA를 분리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세포벽과 세포막을 부수고 DNA만을 분리해낸 후, 크로모좀 DNA와 플라스미드 DNA를 구분하여 순수한 플라스미드 DNA만을 회수하는 것이 핵심이다. 알칼리 조건에서 크로모좀 DNA는 변성되어 침전되지만, 플라스미드 DNA는 supercoiled 상태를 유지하여 회수할 수 있다. 2. 플라스미드 DNA 분리 과정 플라스미드 DNA 분리 과정은 크게 3단계로 이...2025.01.16
-
SDS-PAGE and Protein Analysis2025.01.211. SDS의 역할 및 SDS-PAGE 원리 SDS(Sodium Dodecyl Sulfate)는 계면활성제로서 친수성과 소수성 부분을 모두 지니고 있으며, 단백질을 변성할 수 있는 물질이다. SDS-PAGE는 이러한 SDS의 특성을 토대로 하여 단백질을 분자량에 따라 band 형태로 분리하는 실험이다. 단백질은 그 구조와 전하, 분자량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SDS를 통해 단백질의 구조와 전하를 모두 일정하게 한 뒤 분자량에 의해서만 분석을 진행한다. 2. Gel에 들어가는 시료의 역할 Acrylamide와 N,N'-Methylene...2025.01.21
-
대장균에서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과 Western blot에 관한 실험2025.01.131. IPTG IPTG는 대장균 lactose operon의 효소합성을 유도하는 강력한 유도물질이다. 보통 유도물질은 operon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지는 β-D-galactosidase에 의해 대사 이용하는 것이 많지만, IPTG는 분해되지 않아 비대사성 유도물질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고농도로 사용시 galactoside permease가 없는 세포에도 투과할 수 있기 때문에 permease가 없는 균주에서의 유도실험에도 사용된다. 2. Buffer condition Tank buffer에는 glycine과 Cl-(Tris-ba...2025.01.13
-
실험조리-가열에 의한 우유의 변화와 산에 의한 우유 응고특성 비교2025.01.111. 우유 단백질 조성 우유의 단백질은 카세인과 유청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카세인은 우유 단백질의 약 80%를 차지하며, 산과 레닌에 의해 응고된다. 유청단백질은 우유 단백질의 약 20%를 차지하며, 락토알부민과 락토글로불린으로 구성되어 있다. 65도 이상 가열 시 피막을 형성하며 응고되지만, 산과 레닌에 의해 응고되지 않는다. 2. 가열에 의한 우유의 변화 가열에 의해 유청단백질의 열변성으로 α-락토알부민, β-락토글로불린이 막의 형태로 모여 지방구와 혼합되어 응고되어 피막을 형성한다. 또한 락토알부민이 냄비 바닥에서 응고되어 ...2025.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