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50개
-
A+ 여성간호학실습 CPD c/s, 아두골반불균형 제왕절개 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3개 (관련 논문 포함)2025.01.231. 아두골반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 아두(태아의 머리)가 분만 과정에서 골반에 진입할 때 양두정골면이 골반 입구를 통과하는데, 이때 아두와 골반 사이의 크기에 불균형이 생기는 것이다. 태아의 머리가 너무 클 때, 산모의 골반이 태아의 머리에 비해 좁을 때, 좌골가시가 돌출되었을 때, 태아의 머리가 이례적으로 변형되었을 때, 산류가 과도하게 형성되었을 때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다. 분만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비정상적인 선진부나 태향이 많고, 하강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태아 외상을 입기 쉽고,...2025.01.23
-
담낭절제술 수술실 케이스스터디 및 간호과정2025.11.141. 급성담낭염(Acute Cholecystitis) 담낭염은 담석, 종양, 수술 후 협착 등으로 인해 담관 내 기계적, 화학적 또는 세균성 염증이 발생한 질환이다. 급성담낭염의 90% 이상이 담석에 의해 발생하며, 담석이 담낭관의 입구를 막으면 담낭벽에 염증이 시작되고 담즙이 정체되며 세균감염이 발생한다. 주요 증상은 우상복부 통증, Murphy's sign, 오심, 구토, 발열 등이며, 진단은 복부초음파, CT, 혈액검사 등으로 확진한다. 치료는 금식, 항생제 투여, 수액 보충 등의 보존적 치료와 담낭절제술 같은 외과적 치료로 ...2025.11.14
-
복강경 담낭절제술 수술실 사례 보고서2025.11.161. 담낭의 구조와 기능 담낭은 간의 오른엽 바로 아래에 위치한 작은 주머니로 한 번에 20~60mL의 담즙을 보유하며 하루에 약 900mL의 담즙을 배출한다. 담낭은 간에서 분비한 담즙을 저장하고 농축하다가 cholecystokinin 분비 시 담낭관으로 배출하여 총담관을 통과해 십이지장으로 흐르게 된다. 담낭의 혈관은 우측 간동맥에서 분지하는 담낭동맥과 담낭정맥으로 이루어지며, 신경분포는 복강층과 미주신경, 우측 횡격막 신경으로 구성된다. 2. 담석증(Cholelithiasis) 담석은 담낭 안에 형성되는 결석으로 담즙의 고형 ...2025.11.16
-
기흉 수술 환자의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2025.11.141. 기흉(Pneumothorax) 및 VATS 수술 기흉은 폐와 흉벽 사이의 흉강에 공기가 차서 폐가 허탈되는 질환이다. 본 사례의 환자는 우측 기흉과 수포성 폐기종 진단을 받았으며, VATS(비디오흉강경수술) 쐐기 절제술을 통해 폐 기포를 제거하였다. VATS는 2-4개의 작은 절개 구멍을 통해 카메라로 시야를 확보하면서 수술을 진행하는 최소침습 수술 방법으로, 최근 흉부 수술의 50% 이상이 이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2. 전신마취 후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진단 전신마취는 신경계를 가역억제하여 의식과 근육이완을 유발하는데, ...2025.11.14
-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스터디 - 갑상선 유두암2025.11.181. 갑상선 유두암(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 갑상선 유두암은 갑상선암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흔한 암으로, 20~60대 여성에서 주로 발생한다. 핵의 형태가 유두상을 보이는 특징적인 종양이며, 대부분 천천히 자라고 예후가 좋다. 5년 상대생존율이 99% 이상으로 우수하며, 림프절을 통한 전이를 주로 한다. 다중심성이 흔해서 약 20%는 갑상선전절제술 후 반대쪽 엽에서도 암이 발견될 수 있다. 2. 갑상선 절제술(Thyroidectomy) 갑상선암의 가장 중요한 치료법으로 갑상선과 주변 림프...2025.11.18
-
arthro shoulder 병태생리 정보2025.01.171. 어깨 뼈 (shoulder bones) 어깨는 3개의 뼈(쇄골 clavicle, 견갑골 scapula, 상완골 humerus), 3개의 관절(흉쇄관절 sternoclavicular joint, 견봉쇄골관절 acromioclavicular joint, 견관절 shoulder joint), 12개의 인대 및 15개 이상의 근육을 포함하는 복합관절로 이루어져 있다. 견갑골, 쇄골, 상완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제공되어 있다. 2. 어깨 관절 (shoulder joint) 어깨 관절에는 흉쇄관절, 견봉쇄골관절, 견관절이 있으며 각 관...2025.01.17
-
자궁내막증 환자의 전복강경하자궁절제술 후 간호2025.11.131.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자궁 내에 있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외 부위에 존재하는 질환으로, 75%가 25~40세 가임기 여성에게 나타난다. 호발부위는 골반장기와 복막이며 난소에 가장 흔히 발생한다. 만성 골반통, 월경통, 성교통, 불임증 등의 증상을 보이며, 정확한 진단이 어렵고 재발을 잘하는 특성이 있다. 진단적 복강경 수술이 가장 보편적이며, 약물요법과 수술적 치료법으로 관리된다. 2. 전복강경하자궁절제술(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배꼽 부위에 1cm 정도를 절개하여 복강...2025.11.13
-
자궁근종 환자의 복강경 자궁절제술 간호 사례2025.11.161. 자궁근종(Myoma Uteri) 자궁근종은 자궁의 평활근에 생기는 양성종양으로, 35세 이상 여성의 20~40%가 보유하고 있다. 30~45세에 호발하며 폐경 후 크기가 감소한다. 원인은 평활근 세포의 비정상적 증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위험요인으로는 연령, 미경산, 비만, 인종 등이 있다. 증상은 월경과다, 부정자궁출혈, 하복부 통증, 빈뇨, 변비 등이 있으며, 약 25%의 환자만 증상을 보인다. 진단은 초음파검사와 자궁경검사로 이루어진다. 2. 복강경 자궁절제술(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TL...2025.11.16
-
급성지주막하출혈 간호과정2024.12.311. 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 대상자는 급성 동맥류성 지주막하 출혈로 인해 두통, 구역, 의식저하가 있었으며,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후 신경계 일반 병실로 입원하였습니다. 수술 후 ICP가 25mmHg로 측정되어 두개내압 하강과 관련된 간호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간호 목표는 대상자의 뇌조직 관류를 정상화하는 것이며, 단기 목표로는 2시간 내 ICP를 15mmHg로 감소시키고 3일 내 GCS 점수를 13점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의식 수준과 활력징후, ICP, 소변량 등을 모니터링하고, 두개내...2024.12.31
-
전자궁적출술 산부인과 케이스스터디2025.11.181. 전자궁적출술(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47세 여성 환자가 자궁내막의 낭성 증식증(Hyperplasia of endometrium NOS) 진단으로 전자궁적출술 및 양측 난소난관절제술을 시행받았다. 수술은 복강경을 이용한 최소침습 수술로 진행되었으며, 수술 시간은 약 1시간이었다. 수술 후 배액관과 도뇨관을 유지하였고, 환자는 수술 후 3일 이내에 통증이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 없이 회복되었으며 퇴원 시 일반식 섭취...202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