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240개
-
응급환자 분류체계 및 간호사정2025.01.021. 응급환자 분류체계 (Triage) 응급환자 분류체계인 트리아제(triage)는 응급 센터에 도착한 환자의 중증도를 신속하게 판단하여 치료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체계입니다. 이를 통해 응급환자의 정확하고 빠른 사정, 치료 흐름 관리, 대기 환자의 지속적인 재사정 등이 가능합니다. 환자는 색상 표시에 따라 긴급(적색), 응급(황색), 비응급(녹색), 지연(흑색)으로 분류됩니다. 2.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 KTAS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는 캐나다의 CTAS를 우리나라 의료 상황에 맞게 변...2025.01.02
-
KTAS 레포트2025.05.041.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는 환자를 평가할 때 증상을 중심으로(symptom-oriented) 분류하는 도구입니다. 환자의 첫인상을 평가한 후에 감염 여부에 대한 기본적인 문진과 진찰을 시행하고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에 따라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1차 고려사항과 증상에 따라 특별히 적용해야 할 2차 고려사항으로 환자의 중증, 긴급도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분류된 병원 단계와 병원 전 단계의 KTAS 결과에 따라 환자는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되며, 병원에 도착한...2025.05.04
-
병원 내 갈등 해결 및 소통, 협력 방안2025.04.291. 병원 내 다양한 직종 간 협력 병원은 의사 혹은 의료인으로만 이루어진 집단이 아니라, 다양한 직종이 어우러져 협력하며 운영하는 조직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의사, 간호사, 약사를 비롯하여 별정직, 의료기사, 보건직, 행정직, 고용직, 관리 운영직, 도급직 등 정말 다양한 직종이 근무하고 있는 공간이다. 2. 병원 내 갈등 해소 및 집단 응집력 강화 갈등의 심화는 조직 몰입에 매우 부정적이기 때문에 갈등을 해소하고 집단 응집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직원 간의 인화를 위해서는 우선 상대방을 존중해 주며 정중하게 표현한다. ...2025.04.29
-
낙상, 욕창, 통증 사정도구2025.11.121. 낙상 사정도구 낙상은 환자 안전의 주요 위험 요소로, 임상 환경에서 환자의 낙상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화된 사정도구입니다. 이러한 도구들은 환자의 신체 기능, 인지 상태, 환경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낙상 위험 수준을 분류하고 예방 중재를 계획하는 데 활용됩니다. 2. 욕창 사정도구 욕창은 장기간 같은 부위에 압력이 가해져 발생하는 피부 손상으로, 특히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합니다. 욕창 사정도구는 환자의 위험 요인을 조기에 파악하고 예방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상 평가 도구입니다. ...2025.11.12
-
인지신경계 환자간호 탐구 보고서2025.01.221. 아로마 용액을 이용한 구강간호 아로마 용액을 이용한 구강 간호가 요양병원에 입원한 치매 노인환자의 구강상태, 타액의 pH, 구취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아로마 용액을 이용한 구강간호는 치매 노인환자의 구강상태 개선과 타액의 pH의 정상화, 구취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2. 치매 노인환자 구강간호 요양병원에 입원한 치매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아로마 용액을 적용한 구강간호를 실시하였다. 구강질환 발생의 고위험군인 요양병원 치매 노인환자에게 아로마 오일 혼합용액을 이용한 구강간호가 구강상태 개선과 구강감염 예방에 효과적이었다. 3...2025.01.22
-
통증 사정 방법 및 평가 척도2025.11.131. 통증의 PQRSTP 사정 통증 사정의 기본 틀인 PQRSTP는 Position(위치), Quality(양상), Relieving or aggravating factor(완화/악화요인), Severity(강도), Timing(시기)을 포함합니다. 통증의 위치, 양상, 강도는 입원 시 반드시 사정해야 하며, 시작 및 지속시간, 완화/악화요인, 영향, 약물 및 비약물적 중재 효과는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집합니다. 2. 숫자 통증 등급(Numeric Rating Scale) 12세 이상 의사소통이 가능한 환자에게 사용되는 1-10점 ...2025.11.13
-
진정치료시 간호, sedation care2025.01.291. 진정(sedation) 진정(sedation)은 약물에 의해 의식수준이 저하된 상태를 말하며, 수면을 유도하고 긴장을 완화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검사, 시술 및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사용한다.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GABA 활성을 증가시켜 수면을 유도하지만, 활성정도가 지나치면 호흡, 심박동 억제가 일어나 사망위험이 있을 수 있다. 2. 진정의 단계 진정의 단계는 각성, 최소진정, 중등도진정, 깊은진정, 전신마취로 구분된다. 각 단계에 따라 목적, 반응, 호흡, 심혈관계 상태가 다르다. 3. 진정의 목적 진정은 영상 검사에...2025.01.29
-
낙상환자 사정도구2025.01.221. 낙상 위험군 평가 도구 낙상예방의 일차적인 단계는 낙상위험이 높은 환자의 선별이라 할 수 있는데, 국내?외 의료기관에서 낙상위험 환자를 선별하기 위한 도구로 주로 MFS, STRATIFY, HFRM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관의 특성에 따라 낙상 위험군 평가도구의 타당도는 서로 다른 결과를 가지게 되므로, 임상 실무현장에 평가도구를 적용할 때에는 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사용하도록 제안되고 있다. 2. 낙상 위험군 평가 및 선정 모든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MFS를 이용하여 입원 시와 매일 1회 이상 낙상 위험군을 평가하...2025.01.22
-
환자분류체계2025.05.101. 환자분류체계의 개념과 목적 환자분류체계는 환자의 간호요구와 이에 따라 필요한 간호시간이 비슷한 환자들을 범주화하여 환자분류군을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스스로 자가간호를 할 수 있는 정도와 간호사에게 의존하는 정도에 따라 경환자(minimal care), 중등환자(moderate care), 중환자(intensive care), 위독환자(maximal care) 군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분류군에 따라 간호 시간 측정 → 간호인력 산정이 가능하며, 초기에는 필요한 간호인력 수준을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2025.05.10
-
환자분류체계 적용 사례 분석2025.11.171. 환자분류체계의 개념 및 목적 환자분류체계는 각 환자에게 요구되는 간호의존도에 따른 간호시간, 양, 복잡성에 따라 환자를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목적은 환자들의 다양한 간호요구를 합리적으로 결정하여 간호인력 산정 및 배치, 병원 표준화 실현을 도모하고, 각 환자의 간호요구를 만족시키면서 효과적인 할당 및 효율적인 간호사 근무시간 배치를 실현하며, 간호수가의 차등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2. 원형평가체계와 요인평가체계 환자분류체계의 접근방법은 원형평가체계와 요인평가체계로 나뉩니다. 원형평가체계는 전형적인 환자의 특성을 문장형식...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