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7개
-
수술실 실습 보고서2025.01.121. Gauze Count 거즈 count는 수술 환자의 체내에 거즈가 남겨지는 것을 막기 위해 필요하다. 수술 전, 복강/흉강 닫힐 때, 피부봉합 시 3번 이상 count를 시행하며,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가 함께 double counting을 한다. 수술 중 거즈뿐만 아니라 needle count도 여러 번 반복하여 거즈가 체내에 남는 실수를 막는다. 2. Time Out 수술 전 수술팀 모두가 참여하여 환자, 수술명, 수술부위를 확인하는 Time Out 제도는 수술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중요하다. 그러...2025.01.12
-
성인간호 실습 소감문2025.04.251. 수술실 실습 실습생으로서 수술실 실습을 하면서 수술 장면을 잘 견딜 수 있을지 걱정했지만, 수술실이라는 특수 파트를 경험해볼 수 있어 기대되기도 했다. 병원에서 제공한 OT 교육과 수술실 교육으로 첫날부터 큰 어려움 없이 수술실에 적응할 수 있었다. 또한 매일 실습 전 수술 스케줄과 간략한 수술 정보를 제공받아 수술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숙지할 수 있었다. Scrub nurse 선생님의 시범과 실습으로 외과적 손 씻기, 멸균 가운과 장갑 착용을 익힐 수 있었고, 수술 도구와 마취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으로 수술 과정을 이해...2025.04.25
-
수술실(OR)- 성인간호학 케이스, 비디오 흉강경 수술(VATs,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2025.01.141. 폐암 폐암은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하며, 폐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다른 장기에서 생긴 암이 폐로 전이되어 발생하기도 합니다. 원발성 폐암의 종류는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를 기준으로 비소세포 폐암과 소세포 폐암으로 구분합니다. 폐암 가운데 80~85%는 비소세포폐암인데, 이것은 다시 선암, 편평상피세포암, 대세포암 등으로 나뉩니다. 2. 폐암의 발생 부위와 구조 폐는 심장과 함께 우리의 가슴 속 공간인 흉강을 채우고 있는 장기입니다. 흉강의 중심에서 약간 왼쪽 앞부분에 심장이 있고, 나머지 공간의 대부분을 좌우 두 개의 폐가 차...2025.01.14
-
수술실, 회복실 실습 사례보고서2025.01.121. Stomach cancer 위암은 위 점막상피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위의 가장 안쪽을 싸고 있는 점막에서 발생하여 혹의 형태로 커지면서 주로 위벽을 관통하고 위 주위의 림프절로 옮겨가서 성장한다. 위암의 발생은 헬리코박터균 감염, 식이 습관 등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경미하지만 진행되면 입맛 저하, 체중 감소, 상복부 통증 등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위내시경 검사와 영상 검사가 시행되며, 치료는 수술을 통한 근치적 절제가 가장 중요하다. 2. TLDG with...2025.01.12
-
수술실 실습 사전과제2025.05.151. 수술실 기본조직과 구조 수술실에는 감독실, 갱의실, 손소독실, 소독물품실, 오물처리실, 기계실, 공급실, 마취실, 창고, 석회 붕대실, 검사실, 방광경 검사실, 간호사실, 마취사실, 회복실 등 다양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각 공간의 역할과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모자, 마스크, 수술가운, 장갑 착용법 수술실에 들어가기 전 착용해야 하는 모자, 마스크, 수술가운, 장갑의 착용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멸균 유지를 위한 주의사항과 절차를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3. 손씻기 수술실에서 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손씻...2025.05.15
-
수술실 실습-케이스 스터디2025.01.121. Nissen's fundoplication-laparoscopic Nissen's fundoplication은 식도 열공 탈장 치료를 위한 수술 방법으로, 복강경을 이용하여 최소 침습적으로 수술을 진행합니다. 수술 과정에서 trocar 삽입, 식도와 위저부 박리, 횡격막 봉합, 위저부 360도 회전 봉합 등의 단계를 거치며, 수술 중 환자 상태 모니터링과 안전 확인을 위한 타임아웃 등의 절차가 포함됩니다. 2. BCS (Breast conserving surgery) 유방 보존 수술(BCS)은 유방암 치료를 위한 수술 방법으로...2025.01.12
-
[성인간호학 실습] 수술실 실습 중간 과제2025.01.171. 수술 전 간호 활동 수술 전 간호 활동에는 위험요인 최소화, 위장관계 준비, 투약 상태 확인, 피부 준비, 심리적 준비, 법적 준비, 수술 전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수술 전 환자의 상태를 최적화하고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수술실 환경, 물품, 기구 수술실은 감염 예방을 위해 구역이 구분되어 있으며, 적정 온도와 습도, 공기 환기 등이 관리됩니다. 수술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구와 장비들은 절개, 지혈, 소작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수술실 환경과 물품들은 수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2025.01.17
-
수술실 실습 담낭절제술입니다 수술과정2025.05.071. 담낭절제술 담석이란 담즙이 비정상적으로 응결되어 생긴 결정체의 구조로서 생성 원인에 따라 크게 콜레스테롤 담석 및 혼합석, 그리고 색소 담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담석의 위치에 따라 간내 담도, 간외 담도 및 담낭 결석으로도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담석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흔하며, 나이가 많을수록 종족과 성별에 관계없이 빈도가 증가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적지만 대략 2-3%의 유병율을 가지고 있어 그리 드문 질환은 아닙니다. 또한 초음파 등 담석을 쉽고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장비가 널리 보급되면서 담석증의 진...2025.05.07
-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케이스2025.05.011. Acute calculous cholecystitis, with adenomyomatosis Acute calculous cholecystitis는 GB stone 등으로 인해 cystic duct가 좁아지면서 GB 내부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RUQ 통증, fever, nausea, vomiting 등이 있으며, 복부 초음파 검사나 GB 동위원소 촬영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금식, 수액 공급, 약물 투여 등의 보존적 치료와 함께 cholecystectomy 수술이 필요합니다. 2. Umbilic...2025.05.01
-
수술실 실습 OS case (IM nailing) A++2025.05.061. 당뇨병 당뇨병은 종류에 따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제1형)과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제2형)으로 구분된다.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 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며,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능력은 있지만 충분히 만들지 못하거나 인슐린 저항성이 있어 발생한다. 당뇨병의 합병증으로는 대혈관병증, 미세혈관병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등이 있으며, 치료는 인슐린 요법, 경구 혈당강하제 등이 사용된다. 2. 고혈압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