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7개
-
한양대학교 계측공학 족보2025.11.131. 계측공학 계측공학은 물리량을 측정하고 정량화하는 기술과 방법을 다루는 공학 분야입니다. 센서, 계측기기, 신호처리 등을 통해 다양한 물리현상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분석하며, 산업 현장에서 품질관리, 자동화, 제어시스템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됩니다. 2. 센서 및 측정기기 센서는 물리량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온도, 압력, 변위, 속도 등 다양한 물리량을 감지합니다. 계측공학에서는 여러 종류의 센서와 측정기기의 원리, 특성, 선택 기준을 학습하며, 정확한 측정을 위한 캘리브레이션과 오차 분석이 중요합니다. 3. 신호처리 및 ...2025.11.13
-
전기회로설계실습 실습6 예비보고서2025.01.201. DMM을 이용한 교류전원 접지 측정 DMM을 사용하여 실험실 교류전원(220V) power outlet의 두 개 접지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였습니다. DMM의 측정단위를 V로 맞추고, DMM의 도입선 하나를 위쪽 교류전원 power outlet의 접지 단자에, 다른 도입선 하나를 아래쪽 교류전원 power outlet의 접지 단자에 연결하여 두 접지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합니다. 2. 계측기 입력 저항 및 출력 전압 특성 Function Generator의 출력 저항은 일반적으로 50Ω이며, DMM의 입력저...2025.01.20
-
전자재료물성 실험 및 설계 2 - BJT 및 MOSFET 특성2025.11.181. BJT(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 BJT는 전류 제어용 소자로 PNP, NPN 구조로 나뉜다. 세 개의 전극(이미터, 베이스, 컬렉터)으로 구성되며, 베이스 전류에 의해 컬렉터 전류가 제어된다. BJT는 차단영역, 활성영역, 포화영역, 역활성영역의 네 가지 동작영역을 가지며, 활성영역에서 증폭 기능을 수행한다. 온도 증가에 따라 캐리어 수가 증가하여 전기전도도가 증가하고 문턱전압이 낮아진다. 2. BJT 증폭기 회로의 종류 및 특성 BJT 증폭기는 접지 위치에 따라 공통 이미터(CE), 공통 베이스(CB), 공통 ...2025.11.18
-
CMOS 정리2025.11.131. CMOS 기술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는 반도체 집적회로 제조 기술로, 상보형 금속산화막 반도체를 의미합니다. 낮은 전력 소비, 높은 집적도, 우수한 노이즈 특성을 특징으로 하며, 현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이미지 센서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핵심 반도체 기술입니다. 2. 반도체 공정 반도체 공정은 실리콘 웨이퍼 위에 회로를 형성하는 일련의 제조 과정입니다. CMOS 공정은 NMOS와 PMOS 트랜지스터를 동시에 제작하여 상보형 구조를 만들며...2025.11.13
-
회로 수동소자: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의 개념과 용도2025.11.161. 저항(Resistor) 저항은 전기 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거나 제한하는 소자로, 전류가 흐를 때 전압 강하를 일으켜 전류의 흐름을 제한한다. 주된 기능은 전류와 전압 간의 관계를 조절하고 원하는 전압이나 전류 값을 얻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저항의 주요 용도는 전류 제어, 전압 분할, 신호 처리, 필터링, 방전 회로, 스위칭 회로 등으로 다양한 전자 회로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2. 인덕터(Inductor) 인덕터는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을 생성하는 전기 소자로, 도체를 나선 또는 원형으로 감아 만든 코일 형태로 제작된...2025.11.16
-
머신러닝에서의 과적합 문제2025.05.101. 과적합(Overfitting) 과적합은 머신러닝에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머신러닝 모델이 훈련 데이터에 너무 특화되어 있어 새로운 입력 데이터에 대한 예측 능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모델의 성능과 일반화(generalization) 능력을 감소시키며, 실제 응용에서 신뢰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과적합의 원인 과적합은 데이터의 특성을 완벽하게 기억하는 것에서 비롯됩니다. 모델은 훈련 데이터에 맞추기 위해 복잡한 패턴과 노이즈까지도 학습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양이 적은 경우,...2025.05.10
-
도립진자 실험 장비 구성 및 제어 시스템2025.11.151. 도립진자 플랜트(ED-4820-1) 도립진자 실험 장비의 주요 구성 요소로, 길이 35cm와 50cm의 진자가 카트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으며 좌우로 기울어진다. 진자의 기울어짐은 축과 각도 포텐셔미터를 통해 측정되며, 오른쪽 기울어짐은 양의 전압, 왼쪽 기울어짐은 음의 전압으로 표시된다. DC 서보 모터가 타이밍벨트를 통해 카트를 800mm 길이의 레일 위에서 이동시키며, 위치 포텐셔미터(10kΩ)가 카트의 위치 전압을 측정한다. 2. 도립진자 구동부(ED-4820-2) 도립진자 제어 시스템의 핵심 구동부로, 메인 전원 스위치...2025.11.15
-
A+ 연세대학교 기초아날로그실험 11주차 예비레포트2025.05.101. ECG (Electrocardiogram, 심전도) ECG, 심전도란 심장이 활동할 때 발생시키는 전기적인 신호를 인체의 체표면에서 측정하여 기록한 것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심장은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근육은 전기적인 신호에 반응하여 이완/수축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ECG는 심장의 전기적인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데이터이므로 심장의 전기적인 활동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심장의 기계적인 활동까지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심장질환을 진단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2. Instrumentation Amplifier ...2025.05.10
-
전자전기컴퓨터설계실험1(전전설1) 멀티미터프로젝트2025.01.091. 저항 측정 본 실험은 Arduino Ohmmeter를 설계하고 이를 빵판에 구현해 실제 정전용량을 측정해보는 실험이다. 이번 실험에서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실험 설계방향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아두이노의 아날로그핀을 통해 커패시터가 시정수에 해당하는 전압까지 충전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저항값으로 나누어 정전용량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실험실에 구비된 멀티미터를 활용하여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본 실험에서 설계한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오차율의 평균이 약 1.70% 정도 되는 매우 ...2025.01.09
-
아두이노 심박수 센서 코드 구현2025.11.181. 심박수 센서 (Pulse Sensor) 아두이노에 연결된 심박수 센서는 아날로그 핀 A0을 통해 신호를 수신합니다. PulseSensorPlayground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센서를 초기화하고, 임계값(THRESHOLD)을 설정하여 심박 신호를 감지합니다. 센서는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심박수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합니다. 2. 심박수(BPM) 계산 및 모니터링 아두이노는 센서로부터 수집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처리하여 분당 심박수(BPM)를 계산합니다. 10개의 심박 간격을 배열에 저장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600...202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