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6개
-
DC Cardioversion 전기적 동율동 전환술2025.11.171. DC Cardioversion의 목적 및 적응증 DC cardioversion은 불안정한 빈맥성 부정맥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적 동율동 전환술입니다. 주요 적응증으로는 심방세동(A-fib), 심방조동(Atrial flutter), 발작성상심실성빈맥(PSVT), 맥박이 있는 심실빈맥(V-tach) 등이 있습니다. 이는 환자의 불규칙한 심장 리듬을 정상 리듬으로 복구하기 위해 전기 충격을 이용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2. Defibrillation과의 차이점 Cardioversion과 defibrillation의 주요 차이점은...2025.11.17
-
COVID-19 아동 간호 사례 연구2025.11.141. COVID-19의 병태생리 및 임상증상 COVID-19는 SARS-CoV-2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질환으로 ACE2 수용체를 통해 세포에 침입하여 증식한다. 주요 증상은 발열(37.5℃ 이상), 기침, 호흡곤란, 인후통, 후각·미각소실 등이며, 피로, 식욕감소, 가래, 소화기증상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오미크론 변이는 평균 잠복기 4.2일로 델타 변이보다 짧고 전파력이 높으나 중증화율은 낮다. 호흡기 침방울을 통한 비말 전파가 주된 경로이며, 특정 환경에서 공기 전파도 가능하다. 2. 비효과적 기도청결에 대한 간호중재 과다...2025.11.14
-
갑상선 전절제술 케이스 스터디2025.11.181. 갑상선암의 분류 및 특성 갑상선암은 조직학적 모양과 분화 정도에 따라 유두암(60%), 여포암(17%), 수질암(5%), 미분화암(18%)으로 분류된다. 유두암은 림프절 전이에도 치료 성공률이 높으며, 여포암은 대부분 완치 가능하다. 수질암은 성장이 느리지만 치료가 어렵고 전이가 쉬우며, 미분화암은 성장이 가장 빠르고 60세 이상에서 주로 발견된다. 갑상선암은 초음파 촬영에서 결절로 관찰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별한 증상 없이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2. 갑상선 전절제술의 정의 및 적응증 갑상선 전절제술은 갑상선 병변의 완전한 제...2025.11.18
-
지주막하출혈 간호과정 (개념지도)2025.01.171. 지주막하출혈의 정의와 분류 지주막하출혈은 뇌동맥류 파열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가장 많으며, 진성동맥류와 가성동맥류로 분류된다. 진성동맥류는 혈관 구조물을 일부라도 가지고 있는 동맥류이며, 가성동맥류는 혈관 구조물을 가지지 않는 동맥류이다. 2. 지주막하출혈의 발생기전 과거에는 선천적 중막 간격 결손으로 생각했으나, 현재는 동맥분지에 가해지는 혈역학적 부담과 죽상경화성 변성에 기인한 내탄력층의 손상과 중막의 결손이 주된 원인으로 여겨진다. 3. 지주막하출혈의 역학 및 통계 뇌동맥류의 유병률은 전 인구의 약 2~4%이며, 연간 1...2025.01.17
-
두부외상(뇌손상)의 원인, 병태생리, 손상 및 치료2025.11.161. 두부외상의 원인 및 분류 두부외상(외상성 뇌손상, TBI)의 가장 흔한 원인은 자동차와 오토바이 사고로 전체 TBI의 약 50%를 차지한다. 그 외 낙상, 폭행, 스포츠 관련 외상, 알코올 등이 원인이며 남성의 사망률이 더 높다. 두부외상은 두피, 두개골, 뇌조직에 단일 또는 복합적 손상을 일으키며, 손상 범위는 충격 시 머리의 상태, 충격의 위치와 방향, 에너지 이동의 속도, 에너지 전달 표면적에 영향을 받는다. 2. 두부외상의 병태생리 및 손상 기전 두부외상의 3가지 기전은 가속도, 감속도, 변형이다. 가속도 손상은 움직이...2025.11.16
-
아동간호학 가와사키병 Kawasaki Disease MCLS 케이스 스터디 사례연구보고서2025.01.131. 가와사키병의 정의 가와사키 병이란 전신의 혈관이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 불명의 질환으로, 점액피부림프절증후군(MCLS)라고도 한다. 주로 2세 이하에서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보이며 80%는 5세 이하의 아동에게서 나타난다. 2. 가와사키병의 원인 지금까지 특별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역학자료는 감염원인이 다음과 같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가와사키병은 3개월 미만의 영아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드문데, 이는 모체로부터 받은 후천적 면역의 보호를 나타낸다. 12세 이상 아동에서 가와사키질환은 거의 없으며, 이는 무증상 감염을 통...2025.01.13
-
성인간호학 ventilation 보고서(호흡기 모드 다있음)2025.01.241. 기계환기(mechanical ventilation) 기계환기(mechanical ventilation)란 산소가 풍부한 공기를 기계적으로 환자의 폐 내로 이동시키는 과정으로 환자가 독립적으로 자발호흡을 시작하는 능력이 생길 때 까지 그에 대한 지지간호가 필요하다. 적응증으로는 FIO2 60% 이상 제공 시 SaO2가 90% 이상 넘지 않을 때, ABGA상의 PCO2 농도가 50mmHg 이상이면서 pH가 7.30 이하일 때, 그리고 self respiration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등이 있다. 2. 산소전달체계 산소전달체계는 ...2025.01.24
-
PICU 아동간호학 실습 케이스 스터디2025.11.141. 심실중격결손(VSD) 및 난원공개존(PFO) 환자는 심실중격결손(Perimembranous VSD)과 난원공개존(PFO)으로 진단받아 VSD patch closure with GA-fixed autopericardium과 PFO primary closure 수술을 받았다. 수술 전 심초음파 검사에서 큰 심실중격결손, 작은 심방중격결손 또는 난원공개존이 확인되었으며, 현저한 좌심실확대와 동성빈맥이 관찰되었다. 수술 후 심초음파에서 작은 VSD leak과 PFO flow가 남아있으나 삼첨판역류는 경미하고 정상 관상동맥 패턴을 보였...2025.11.14
-
급성신부전(ARF) 간호과정 및 임상관리2025.11.141. 급성신부전의 정의 및 특징 급성신부전(ARF)은 신장기능이 급속히 감소하여 체내에 BUN, Creatinine과 같은 대사성 노폐물이 축적되는 상태입니다. 사구체여과율의 저하가 특징이며, 급격하게 발생하고 각 네프론의 사구체여과율이 저하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신부전은 신장기능이 부분 또는 완전히 손상된 상태를 의미하며, 급성신부전은 회복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만성신부전과 구별됩니다. 2. 급성신부전의 원인 분류 급성신부전의 원인은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신전성은 심한 혈액손실이나 탈수로 신혈류가 저하되어 허혈상태가 되는 경우...2025.11.14
-
심근경색 간호과정 및 간호진단 케이스 스터디2025.11.151. 심근경색(MI)의 병태생리 및 임상증상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인한 심근 허혈 및 괴사를 특징으로 한다. 환자는 가슴을 짓누르는 듯한 흉통(NRS 8점), 호흡곤란, 불안감을 호소했다. ECG에서 ST분절 상승이 관찰되었으며, 위험인자로는 고혈압(5년 전 진단), 이상지질혈증(1년 전 진단), 가족력(어머니 MI로 사망)이 있었다. NTG 투여 후에도 통증이 감소하지 않아 급성 심근경색으로 진단되었다. 2. 비효과적인 조직 관류 간호진단 및 중재 혈전경색과 관련된 비효과적인 조직 관류 문제에 대해 진단적, 치료적, 교육...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