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85개
-
강의 2개와 불평등한 사회를 정의의 관점2025.01.241. 정의의 개념 다람쥐 소녀는 정의의 여신 디케를 찾아가지만, 디케는 눈가리개를 쓰고 있어 정의를 명확히 정의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정의가 무엇인지 규정하기 어려운 개념임을 보여준다. 정의를 논할 때는 정의를 가리고 있는 요인들을 먼저 인식해야 한다. 2. 플라톤의 정의론 플라톤은 정의를 각자의 역할을 다하는 조화로운 사회로 보았다. 하지만 이는 계급 간 차이를 인정하는 것으로, 오늘날 관점에서는 정의롭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정의에 대한 플라톤의 관점은 강자의 이익을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3. 영화 <기생충>...2025.01.24
-
아리스토텔레스2025.05.041.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 아리스토텔레스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B.C. 384년에 태어나 B.C. 322년에 사망했습니다. 그는 윤리학, 물리학, 정치학, 동물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와 업적을 남겼습니다. 그의 대표적인 윤리 철학서로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이 있습니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환경관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중심주의적 환경관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식물은 동물을 위해, 동물은 인간의 생존을 위해 존재한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인간만이 이성과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다른 존재들은 인간과 ...2025.05.04
-
매트릭스로 철학하기: 현실, 자유, 그리고 자기해방2025.11.141. 플라톤의 동굴의 알레고리와 매트릭스 영화 매트릭스는 플라톤의 동굴의 알레고리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빨간약과 파란약의 선택은 동굴 속 그림자의 세계와 실제 빛의 세계를 구분하는 것과 같다. 레지스탕스는 진실의 빛을 알리려 하고, 매트릭스 요원은 사람들이 그림자만 바라보게 한다. 매트릭스 시스템 안의 인간들은 동굴 속에서 그림자를 진실로 믿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반영한다. 2. 현실과 가상현실의 구분 문제 영화는 현실과 가상현실의 경계를 철학적으로 탐구한다. 뇌의 감각 신호를 에뮬레이팅하면 가상현실과 현실의 구분이 무의...2025.11.14
-
허구성이 지니는 의미와 문학적 가치2025.11.161. 허구성의 본질과 인류 발전 허구성은 거짓, 상상, 사기, 망상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눈앞의 진실 범위 밖에서 일어나는 일이라는 본질을 가진다. 인간이 보고 겪지 않은 일을 떠올리는 능력이 있어서 거짓말도 하고 상상도 하지만 가정도 한다. 이 능력을 통해 인류는 과학, 예술, 문자, 정치, 사회 등 모든 것을 고안했다. 거짓말이 없었다면 인류는 현재보다 훨씬 느린 속도로 발전했을 것이며, 개미 수준의 사회를 이루었을 것이다. 2. 문학에서의 거리감과 감정이입 허구는 사실에서 벗어난 만큼 자신의 모태와 거리감을 가진다. 모...2025.11.16
-
플로티노스 좋음의 빛 요약문2025.05.091. 플로티노스의 철학 플로티노스는 플라톤의 중요한 정신적 계승자로, 플라톤이 생각해내지 못한 새로운 전통을 정초한 인물이다. 그의 저작 <엔네아데스>는 서양 형이상학과 미학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플로티노스는 감각적 아름다움의 원인을 형상으로 보았으며, 영혼의 아름다움은 정신에 도달한 순수한 영혼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예술작품의 아름다움과 자연물의 아름다움이 동일한 근원을 갖는다고 보았다. 2. 플로티노스의 존재론 플로티노스는 하나를 존재와 사유의 절대적 원리로 보았다. 하나는 복합적 사물을 구성하지만 그 자체는 존...2025.05.09
-
예술과 도덕의 관계2025.01.021. 예술과 도덕의 관계 플라톤은 예술이 도덕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했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이 도덕적으로 긍정적인 가치를 지닐 수 있다고 주장했다. 플라톤은 예술이 현상의 모방에 불과하며 인간의 영혼에 해롭다고 보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이 인간의 행위와 성격에 대한 보편적인 모방이며 카타르시스를 통해 지성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미적 가치와 도덕적 가치의 관계에 대해서는 도덕주의, 심미주의, 자율성주의 등 다양한 입장이 있다. 1. 예술과 도덕의 관계 예술과 도덕의 관계는 복잡하고 미묘한 주제입니다. ...2025.01.02
-
한국사회에서 범속의 에로스가 천상의 에로스보다 합당하다2025.11.161. 플라톤의 『향연』에서 천상과 범속의 에로스 플라톤의 『향연』에서 파우사니아스는 에로스를 천상의 에로스와 범속의 에로스로 구분했다. 천상의 에로스는 지성을 갖춘 성인 남성이 소년을 사랑하는 동성애로, 지혜와 교육을 추구하는 확고부동한 사랑이다. 반면 범속의 에로스는 육체와 쾌락을 추구하는 세속적 사랑으로, 돈과 권력 같은 영원하지 않은 것들을 추구한다. 파우사니아스는 법적 규제를 통해 천상의 에로스를 장려하고 범속의 에로스를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 현대 한국사회에서 천상적 에로스의 한계 천상적 에로스는 현대 한국사회의 ...2025.11.16
-
서양철학의 인식론 발전: 고대에서 현대까지2025.11.131. 고대 그리스의 초월적 이성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는 신을 지식의 근원으로 봤으며, 플라톤은 감각으로 진리를 포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플라톤은 이데아 개념을 통해 불변의 진리와 현상을 구분했고, 시인들은 진리의 모방자일 뿐이므로 이상적 국가에서 추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의 지혜가 인간보다 탁월하며 지식의 근원이 신적인 것에 있다는 점에서 플라톤도 신적 관점을 공유했다. 2. 데카르트의 이성적 주체와 이분법적 사유 근대철학의 아버지 데카르트는 회의적 방법을 통해 플라톤식 이분법을 체계화했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2025.11.13
-
인문학의 이해 레포트2025.01.291.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의 비교 헬레니즘은 인간 중심적 사고를 바탕으로 하고 전체와 개체의 이원론적 사고를 하며, 헤브라이즘은 신과 인간, 세상의 관계를 강조하고 신과 인간, 세상의 상원론적 구조를 가집니다. 2. 어거스틴과 헤겔의 사상이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 어거스틴은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이 통합된 사고구조를 제시하며, 신이 역사와 우주를 주관한다고 주장하며, 인간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였습니다. 헤겔은 역사와 자연을 정반합의 원리에 따라 이해하며, 역사적 발전이 우연이 아니라 절대정신의 결과라고 주장했습니다. 3. 인문학과 사...2025.01.29
-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2025.01.261.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은 인간이 감각에 속지 않으며, 지식을 통해 참된 본성을 파악할 수 있는 존재라고 보았다. 그는 영혼불멸을 설명하였으나 육체가 가진 본성을 부정하지 않았으며, 참된 인간은 이성이 욕망과 기개를 잘 조율함으로써 조화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관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이성을 잘 발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다. 인간은 자연이 부여한 이성, 지성, 사고능력을 잘 사용하여 자연의 뜻을 실천해야 하는 존재이며, 이를 위해 덕을 기르는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3. 칸트의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