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1개
-
A+과제아동간호학 신생아 case study2025.01.131. 심방중격결손증 (ASD;Atrial Septal Defect) 심방 중격 결손이란 좌우 양 심방 사이의 중격(중간 벽)에 구멍(결손)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심방 중격 결손에는 위치에 따라 3가지 형태가 있는데, 1차공 결손(primum ASD), 2차공 결손(secundum ASD), 정맥굴 결손(sinus venosus defect)이 있다. 대개는 증상이 없어 1~2세 경에 심잡음으로 진단되거나, 혹은 무증상으로 있다가 20대 이후에 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심장 초음파 검사로 결손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증상이 있...2025.01.13
-
아동 신증후군 케이스 진단3 과정32025.05.071. 체액 과다 간호진단 #1. 조직 및 신체의 수분축적과 관련된 체액 과다 사정. 대상자의 주관적 자료로는 '몸이 계속 불어나는 거 같아요', '눈 두덩이가 어제보다 더 부은 거 같아요'가 있었고, 객관적 자료로는 콩팥증후군 진단, 안와주위 부종, 팔과 다리의 약간 팽윤, 혈압 100/70 mmHg, 맥박 80회/분, 호흡 24회/분, 체온 37.1°C, 혈액검사상 알부민 2.4 g/dL, 단백뇨 4+, 섭취량이 배설량보다 많은 양상 등이 있었다. 간호목표는 단기적으로 부종 완화, 체중 감소, 부종 감소를 목표로 하였고, 장기적으...2025.05.07
-
성인 시나리오 분석 및 간호과정 적용_Total gastrectomy(위절제술)2025.05.131. 위장관운동 기능장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식사 중 수분섭취를 제한하도록 교육하고, 저탄수화물, 고지방, 고단백 식이를 하루 5~6회 소량씩 자주 섭취하도록 교육합니다. 또한 너무 뜨겁거나 찬 음식과 위에 부담을 주는 음식을 제한하도록 교육하며, 식후 30분 동안 측위로 안정을 취해주고, 의사의 처방에 따라 세로토닌 길항제와 항콜린제를 투여합니다. 2. 지식부족 Total gastrectomy의 합병증(덤핑증후군, 철분결핍성빈혈)에 대해 교육하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초기 덤핑증후군 예방법과 철분결핍성빈혈 예방을 위한 비타민 B1...2025.05.13
-
A+ 받은 성인 중환자실 실습 case 뇌내출혈 간호진단 12개, 간호과정 2개2025.05.131. 뇌내출혈 뇌내출혈은 뇌조직 안이나 뇌를 싸고 있는 공간에서 출혈이 발생한 것으로,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입니다. 출혈 부위에 따라 기저핵출혈, 시상출혈, 대뇌출혈, 소뇌출혈, 뇌교 및 연수 출혈 등이 있으며, 기저핵출혈이 가장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증상은 출혈의 양과 위치, 기간에 따라 다양하며, 두통, 오심, 구토, 의식저하, 혈압상승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뇌전산화단층촬영(Brain-CT), MRI 등의 검사가 필요하며, 치료는 약물요법과 수술요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중재로는 뇌조직 관류 증진, 운동기능...2025.05.13
-
만성신부전(CRF)간호과정2025.01.241. 만성신부전(CRF) 만성신부전은 수개월 혹은 수년에 걸쳐 진행되며, 서서히 점차적으로 신기능이 상실되어 사구체여과율이 비가역적으로 감소하는 불가역적인 장애이다. 주원인은 당뇨성신증, 고혈압성질환, 사구체신염이며, 투석이나 신장이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말기신질환 대상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만성신부전의 증상으로는 전해질 불균형, 대사 변화, 혈액계 변화, 위장관계 변화, 면역계 변화, 약물대사 변화, 심혈관계 변화, 호흡기계 변화, 근골격계 변화, 피부계 변화, 신경계 변화, 생식기계 변화, 내분비계 변화, 심리사회적...2025.01.24
-
장폐색 환자의 간호과정 및 사례연구2025.11.151. 장폐색(Bowel Obstruction) 장 내용물의 흐름이 부분적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 기계적 요인(유착, 탈장, 장염전, 장중첩증, 종양), 신경성 요인(마비성 폐색), 혈관성 요인(장간막 경색)으로 분류. 주요 증상은 복통, 구토, 팽만, 장음 변화. 진단은 X-선, 바륨 조영술, 혈액검사로 확인. 치료는 약물 투여, 비위관 감압, 필요시 수술 시행. 2. 전해질 불균형(Fluid and Electrolyte Imbalance) 세포외/내액량 결핍, 과다 또는 이동으로 인한...2025.11.15
-
급성 췌장염 환자의 간호 관리2025.01.061. 급성 췌장염의 병태생리와 증상 급성 췌장염은 급성 간질성과 급성 출혈성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췌장에 손상을 일으키는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췌장의 단백질 분해 효소와 지방 분해 효소의 조기 활성화로 인해 유발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주된 임상 증상은 명치나 배꼽부위의 격심한 통증이며, 출혈성 췌장염인 경우 터너징후와 쿨렌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을 위해 혈청 아밀라아제와 리파아제 검사, 복부 CT 등이 활용된다. 2. 급성 췌장염의 치료 및 간호 급성 췌장염의 치료는 통증 조절, 금식, 약물요법, 전해질 균형...2025.01.06
-
A+ 성인 심부전HF 케이스 스터디2025.01.091. 심부전(Heart Failure)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와 채움 기능이 손상된 비정상 상태로, 심장이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심부전은 주로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당뇨병, 고연령, 흡연, 비만 등의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심부전의 주요 증상으로는 피로, 호흡곤란, 부종, 야뇨증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 영상검사 등이 필요하다. 치료는 약물요법, 영양요법, 활동 프로그램 등으로 이루어지며, 합병증으로는 흉막삼출, 부정맥, 좌심실 혈전 등이 있다. 2. 심부전 환자의 간호 심부...2025.01.09
-
다발성 골절 환자의 중환자 간호과정2025.11.171. 외상성 출혈 관리 간 열상 및 다발성 골절로 인한 혈흉과 활동성 출혈 환자의 간호. 개복술 후 JP drain과 흉강 배액관(CTD)을 통한 배액 관리, 혈액검사(RBC, Hb, HCT) 모니터링, FFP 및 적혈구 농축액 수혈, 지혈제(Tranexamic acid) 투여 등을 포함한 출혈 예방 및 관리 중재. 배액양 감소 및 혈액 수치 정상화를 통한 출혈 위험성 감소를 목표로 함. 2. 낙상 위험 관리 의식저하 및 진정제 투여로 인한 심한 움직임과 관련된 낙상 위험 환자의 간호. Morse fall scale을 이용한 낙상 ...2025.11.17
-
성인간호학 사례보고서_AKI(급성신손상)케이스 (배뇨장애, 체액과다, 영양결핍, 비효과적 건강관리)+잉론적근거 포함2025.05.081. 요로계 감염과 관련된 배뇨장애 대상자는 급성신부전 진단을 받았으며 핍뇨 증상이 있어 월, 수, 금 혈액투석을 받고 있다. 혈액검사 결과 WBC, CRP, 요중 protein, 요중 WBC가 증가되어 있어 요로계 감염이 의심된다. 대상자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모니터링하고 항생제, 이뇨제 등을 투여하여 배뇨장애를 개선하고자 한다. 2. 사구체 염증반응에 의한 체액조절기전장애와 관련된 체액과다 대상자는 사구체신염으로 인한 급성신부전 진단을 받았다. I/O 체크 결과 섭취량이 배설량보다 많아 체액과다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혈압, 맥...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