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83개
-
중환자의 진단적 검사 학습 확인, 중환자실의 장비와 기구 학습2025.01.161. 중환자의 진단적 검사 중환자의 진단적 검사로는 흉부 X-선, CT, MRI, 혈관조영술, 심전도, 심도자술, 동맥혈가스분석검사 등이 있다. 각 검사의 목적, 검사 전후 간호 등을 학습하였다. 2. 중환자실 장비와 기구 중환자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장비와 기구로는 중앙 및 침상 종합 모니터, 심박출량 측정기, 맥박 산소 계측기, ICP 모니터, 산소공급기, Intubation set, 제세동기, Ventilator, Emergency cart, 일시적 경정맥박동기, EVD set, 특수 치료 침대, 체온조절 침대, Infusion...2025.01.16
-
성인간호학실습: 중환자실 및 수술실 사전과제2025.11.131. 인공호흡기(벤티레이터) 관리 인공호흡기는 임상적 평가와 동맥혈 가스분석을 통해 적용되며, 환자의 호흡능력 회복 후 PaO2, PaCO2, SaO2, 산염기 평형이 정상범위 내에 도달하고 심혈관계가 안정되면 이탈을 시도한다. 이탈 전 산염기 불균형, 전해질 불균형, 감염 등을 교정해야 한다. CMV, ACMV, SIMV, PSV, PEEP, CPAP 등 다양한 모드가 있으며, 각 모드는 환자의 호흡 상태에 따라 선택된다. 합병증으로는 저혈압, 기흉, 폐포 과환기 및 저환기 등이 있으며, 간호사는 경보장치 관리, 분비물 제거, 체...2025.11.13
-
당뇨케톤산증 및 고삼투성고혈당비케톤증 중환자 사례연구2025.11.121. 당뇨병성 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DKA) 인슐린 부족으로 발생하는 급성 합병증으로,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대사 이상을 초래한다. 주요 특징은 탈수, 전해질 손실, 산증이며, 고혈당으로 인한 삼투성 이뇨 발생 시 순환혈액량 저하와 대사산증이 유발된다. 감염증이 가장 흔한 원인이며, 폐렴과 요로감염이 전체 감염의 30~50%를 차지한다. 증상으로는 다뇨, 갈증, 식욕부진, 구토, Kussmaul 호흡 양상이 나타나며, 치료는 수액·전해질 교정, 인슐린 투여, 유발인자 치료로 구성된다. 2. 고삼투고혈당 ...2025.11.12
-
급성호흡부전 중환자실 간호사례 연구2025.11.171. 급성호흡부전(Acute Respiratory Failure) 급성호흡부전은 저산소혈증과 과탄산혈증이 빠르게 진행되는 증후군으로 산소 결핍으로 인하여 중요 장기의 기능부전을 초래한다. 진단은 흉부 X-ray, 심전도, 심초음파, 혈액검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원인은 패혈증, 심한 외상, 대량 수혈, 췌장염, 폐의 직접적 손상 등 60가지 이상이 알려져 있다. 치료는 적절한 산소화와 환기 유지를 목표로 의학적 치료, 약물요법, 산소요법, 분비물 제거, 양압호흡법 및 영양요법을 시행한다. 2. 기계적 환기(Mechanical Vent...2025.11.17
-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RDS) 사례 연구2025.01.231.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RDS)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DS)은 폐의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미숙아에서 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폐 표면활성제의 생성 또는 분비 부족으로 인해 가스교환을 담당하는 폐포가 펴지지 않아 호흡곤란이 발생한다. 이 질환은 장기적인 폐와 신경계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사망률도 높은 편이다. 본 사례 연구에서는 RDS 진단을 받은 환아의 증상, 발병 기전, 치료 및 간호 중재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2. 미숙아 관리 이 사례 연구의 대상자는 재태 연령 26주 4일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로, 폐 표면활성...2025.01.23
-
심인성 폐부종, 폐렴 중환자 간호과정 사례연구2025.11.151. 심박출량 감소 74세 남성 환자의 심실 수축 능력 저하로 인한 심박출량 감소. 심방세동,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 박출률 40% 감소 등으로 인해 발생. 혈압 조절, 이뇨제 투여, 강심제 사용 등의 치료를 통해 관리. 목표 혈압 160mmHg 이하, 심박동수 60~100회/분 유지를 위한 약물 치료 및 모니터링 수행. 2. 비효과적 기도청결 좌심방 압력 증가로 인한 폐의 수분축적으로 발생한 비효과적 기도청결. 폐부종, 흉막삼출, 다량의 분비물 축적으로 인한 호흡곤란 증상. 기관내삽관, 인공호흡기 적용, 흡인, 거담제 투여 등으로...2025.11.15
-
경막하출혈 환자의 간호과정 및 임상사례2025.11.141. 비외상성 급성 경막하출혈(Non-Traumatic Acute Subdural Hemorrhage) 경막하 공간의 혈관 파열로 인한 출혈로, 대뇌 동맥의 작은 혈관 파열, 뇌의 타박상 또는 열상 부위로부터의 출혈, 뇌내 혈종의 확장 등이 원인이 된다. 본 사례의 38세 남성 환자는 투석 중 경련 발작을 보여 응급실로 이송되었으며, 뇌 CT 검사에서 양측 대뇌 궁륭부, 대뇌겸, 뇌막, 후절정부 영역에 급성 경막하출혈이 확인되었다. 뇌중격의 왼쪽 편위와 오른쪽 구상회탈출이 동반되어 있으며, 1주일 후 추적 CT에서 혈종량이 증가하고...2025.11.14
-
신경계 중환자실 체크리스트2025.01.161. 중환자실의 기능과 구조 중환자실은 심각한 질환으로 생명이 위독한 환자들의 생명을 유지시키고 중요한 장기들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집중치료가 시행되는 곳이다. 중앙보훈병원의 중환자실은 SICU, NCU, CCU, MICU로 나누어져 있으며 NUC는 12bed + 격리실 2실로 구성되어 있다. 2. 기도관리 청진의 순서, 정상 및 비정상 호흡음의 특징과 원인, 폐 물리요법의 목적과 종류, 호흡부전과 부적절한 기도유지 환자 관리를 위한 ABG 검사 등을 설명하고 있다. 3. 기관절개관 관리 기관절개관 관리 절차, 커프 관리, 말하...2025.01.16
-
기본간호학 - 산소화 문헌고찰2025.04.281. 산소화 요구 순환계와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산소화에 영향을 주는 생리적, 발달적, 행동 및 환경적 요인, 산소화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순환계는 심장펌프 기능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조직에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며, 호흡기계는 환기, 관류, 가스교환 기능을 담당한다. 산소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심장기능 변화, 호흡기계 기능변화, 다른 신체적 변화, 발달적 요인, 영양, 운동, 흡연, 약물남용, 스트레스, 환경 등이 있다. 산소화의 변화로는 과다환기, 과소환기, 저산소증이 있다. 2. 간호과정 간호사정에서는 심...2025.04.28
-
ICU 폐렴 환자의 산소화 증진 간호과정2025.11.181. 폐렴(Pneumonia)의 정의 및 분류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지역사회 획득폐렴, 병원감염성 폐렴, 진균성 폐렴, 흡인성 폐렴으로 분류된다. 본 사례는 CURB-65 점수 3점으로 입원치료 대상이자 사망 고위험군이며 PSI 기준 제4군(중환자실 입원)에 속한다. 고령, 의식수준 변화, 장기간 부동, 면역억제 약물, 흡연, 영양실조 등이 위험요인이다. 2. 폐렴의 병태생리 및 임상증상 폐렴은 폐의 분절 또는 폐엽에서 경화가 발생하는 대엽성 폐렴이나 기관지 주위에 반...202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