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감염관리지침서_감염관리실2025.01.061. 감염관리 프로그램 및 감염관리위원회 000병원은 감염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환자, 방문객, 직원의 의료기관 내 감염을 예방하고 감염 전파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감염관리 체계, 감염 발생 감시, 감염관리 교육체계, 감염관리위원회 운영 등을 포함한다. 2. 감염관리 일반적 지침 손위생, 무균술, 감염예방 주사실무, 소독과 멸균, 격리 등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를 위한 일반적인 지침을 포함한다. 3. 부위별 감염관리 요로감염, 폐렴, 중심정맥관 관련감염, 수술부위 감염 등 각 부위별 감염관리 지침을 포함한다. 4...2025.01.06
-
TORCH 문헌고찰2025.05.151. Toxoplasmosis 톡소포자충증은 조류나 포유류에 감염을 일으키는 세포내 기생 구충류의 일종인 Toxoplasma gondii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경구로 전파되며 태반, 수혈이나 장기 이식을 통한 직접 전파도 감염을 일으킨다. 모체에서는 자연유산, 산후 주산기 사망률 증가 등의 영향이 있으며, 태아에서는 사산, 조산, 소두증, 뇌수종, 정신지체, 근긴장 저하, 발작, 혼수, 맹목, 망막염 등의 영향이 있다. 조기발견을 위한 고위험 임부의 조기평가, 고기를 완전히 익혀먹도록 하는 등의 예방법이 있다. 2....2025.05.15
-
미생물학2_경북대2025.05.031. 미생물 생태계 미생물군집과 미생물 길드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미생물 군집에서 종 풍부도와 종 수도의 의미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생물막이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장점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2. 미생물의 산화환원 순환 지구생태계에서 탄소, 질소, 황, 수은의 산화환원 순환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이 되는 기체들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3. 미생물을 이용한 기술 구리광석으로부터 금속 구리 회수, 생물정화, 플라스틱 분해 등 미생물을 이용한 기술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폐수처리에 적용되는 혐기적 처...2025.05.03
-
[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Case Study (간호진단3개)(간호과정3개)2025.01.111.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는 인간 면역 결핍바이러스로 주로 AIDS로 알려져 있다. 이는 인체의 면역세포인 CD4 양성 T-림프구를 감염시켜 파괴하므로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고, 각종 감염성 질환과 종양이 발생하여 사망에 이르게 된다. HIV 감염은 성접촉, 감염된 혈액 주사기 공유, 감염된 모체로부터 태아 감염 등의 방법으로 전파된다. HIV 감염의 단계는 급성감염, 무증상 HIV, 증상 HIV, 진행된 질병 단계로 나뉘며, 진단은 혈액 검사로 이루어진다. 치료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 ...2025.01.11
-
영작 ) A Policy Analyst for the government of South African has claimed that the COV2025.01.171. South Africa's Trade During COVID-19 The claim by the Policy Analyst that the COVID-19 pandemic has not affected South Africa's trade is contradicted by multiple sources which report significant disruptions and negative impacts on the country's trade due to the pandemic. For instance, exports of ...2025.01.17
-
주사바늘 자상과 혈액매개성 감염질환2025.01.241. 혈액매개성 감염질환의 정의와 종류 혈액매개성 감염질환은 오염된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이 의료진의 경피나 점막을 통해 전파되어 감염되는 질환을 말한다. 이에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 20여 종의 질병이 포함되며, 특히 B형 간염, C형 간염, 매독 등이 주요 대상이 된다. 2. 주사바늘 자상에 의한 감염 경로 주사바늘 자상이 가장 일반적이고 흔한 혈액매개성 감염 경로로, 의료진의 82%가 이를 통해 노출된다. 그 외에도 점막 노출(14%), 손상된 피부 노출(3%), 환자에게 물리는 경우(1%) 등이 있다. 3. 주사바늘...2025.01.24
-
에이즈 보건교육계획안(내용 자세함)2025.01.131. 에이즈(AIDS: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바로 알기 에이즈는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영어 머리글자인 AIDS를 영자로 발음한 소리이며, 우리말의 정식명칭은 후천성면역결핍증이다. '면역결핍증'은 인체 내의 방어기능을 담당하는 면역 세포를 파괴하여 면역기능이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다시 말해 에이즈란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건강한 인체 내에서는 활동이 억제되어 병을 유발하지 못하던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 병원체로 재활하거나 새로운 ...2025.01.13
-
에이즈 바로 알자!2025.01.151. 에이즈와 HIV의 차이 HIV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로 에이즈의 원인 병원체입니다. HIV는 인체 내에 들어와 면역체계를 파괴시키는데 면역기능이 저하되면 정상상태에서는 거의 발병하지 않는 각종 감염병이나 암 등이 생겨나게 됩니다. 즉, 치료하지 않을 경우 사망할 수도 있는 질병이 바로 에이즈 입니다. 2. 에이즈의 전파경로 에이즈는 일반적인 전염병과는 달리 공기, 물, 악수, 포옹, 공중목욕탕, 기침, 재채기, 음식물 같이 먹기 등 일상적인 생활접촉뿐만 아니라 모기 등 곤충에 의해서는 감염이 되지 않습니다. 에이즈의 감염경로는 ...2025.01.15
-
실습 A+ 보장 교수님 피드백 X ( 만점! ) HIV Case Study ( 성인간호학실습 ) 간호진단 5개 / 과정 3개2025.01.211. HIV/AIDS HIV는 인간 면역 결핍바이러스로 주로 AIDS로 알려져 있다. 이는 진행성 증후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1985년에 처음으로 발생한 이래, 2019년 신규 감염인 수는 1,222명이고, 전체 감염인 수는 13,857명이다. 감염경로는 성접촉이 가장 많았고, 수직감염 또는 마약주사 바늘 공동 사용, 수혈/혈액제제 접촉인 경우는 거의 없었다. HIV는 CD4+ 수용체가 표면에 존재하는 T세포,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등의 면역세포를 감염시켜 면역력이 저하되어 기회성 감염과 종양에 취약해진다. 따라서 HIV 감염인은 C...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