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가시광선 분광기를 이용한 약산의 해리상수의 결정2025.01.221. 산 해리 상수(acid dissociation constant) 어느 산 HA가 존재한다고 할 때, HA는 H2O에 양성자를 주며 반응한다. 이를 산이 해리되었다고 하고, 이때 생성되는 H3O+와 A-의 농도비를 나타내는 것이 산 해리 상수이다. 산 해리 상수는 산의 세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2. 완충 용액(Buffer) 완충 용액(Buffer)는 산 또는 염기가 첨가되거나 묽혀도 pH 변화를 견디는 용액이다. 완충 용액은 보통 약산과 그 짝염기로 구성되어 있다. 산 HA의 짝염기는 A인데, 이로 구성된 완충 용액이 ...2025.01.22
-
[건국대 분석화학실험 A+]결과_실험4.산염기적정곡선의분석2025.05.031. 산-염기 적정 곡선 분석 실험을 통해 얻은 산-염기 적정 곡선 데이터를 분석하여 pH, 이온세기, 해리상수 등을 계산하고 해석하였습니다. 적정 곡선의 형태와 pH 변화를 통해 산-염기 반응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2. 프탈산 수소 이온과 프탈산 음이온의 활동도 계수 계산 프탈산 수소 이온과 프탈산 음이온의 활동도 계수를 계산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용액 내 이온의 실제 농도와 활동도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3. 적정 종말점 결정 적정 곡선의 변곡점을 찾아 적정 종말점을 결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산-염기 반응의...2025.05.03
-
약산의 해리상수 결정2025.05.031. 약산의 해리상수 결정 이 실험에서는 가시광선 분광기를 이용하여 약산성을 띠는 지시약인 티몰블루의 해리상수를 측정하였다. 티몰블루는 수용액에서 부분적으로 해리되며, 이온화된 성분과 이온화되지 않은 성분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서로 다른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이를 이용하여 티몰블루의 해리상수 Ka와 pKa를 계산할 수 있다. 실험 결과, 평균 pKa 값은 8.88로 나타났으며, 오차율은 1.33%로 작은 편이었다. 이번 실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요인으로는 온도 차이, 큐벳 취급 부주의 등이 있다. 1. 약산의 해리상수 결정...2025.05.03
-
지시약의 작용 원리 예비&결과 레포트2025.05.041. 지시약의 작용 원리 지시약은 화학 반응에서 일정한 상태 또는 변화를 나타내는 시약으로 주로 용액의 색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종말점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다. pH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는 산-염기 지시약, 산화형과 환원형의 색깔이 다른 점을 이용하는 산화-환원 지시약 등이 있다. 산-염기 지시약의 경우, 외부 pH가 변하면 지시약 분자가 산성형 또는 염기성형으로 바뀌게 되고, 이에 따라 나타나는 색이 달라 종말점을 결정할 수 있다. 지시약의 해리 상수 값을 측정하면 지시약의 색 변화를 알아낼 수 있다. 2. BPB 지시약...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