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8개
-
중환자실 인수인계보고서(대상자 사정, 발표대본포함)_진단명(aortic dissection)2025.01.221. 대동맥 박리 이 환자는 3일 전부터 가슴 답답함과 당김 증상이 있다가 18일 오전 8시경 극심한 복통과 옆구리 통증이 발생하여 119를 이용해 본원 ER에 내원했습니다. CBC 검사 결과 CK, D-dimer, WBC 수치가 높게 나타났고 CT 검사 결과 상행 대동맥은 침범되지 않았지만 하행 대동맥 내막이 파열된 type b 대동맥 박리로 진단되었습니다. 수술적 치료 없이 내과적 치료를 받고 있으며 MCCU에 입원하여 상태를 모니터링 중입니다. 2. 고혈압 이 환자는 2014년부터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진단받고 약물 치료를 받고...2025.01.22
-
중환자실 사전학습2025.01.161. 기도삽관 기관 내 삽관은 기도유지가 필요하거나 인공 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 기관 내로 튜브를 넣어 기도를 확보하는 시술입니다. 기도를 확실히 유지하여 환기와 산소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기도를 통한 효과적인 흡인 및 응급 약물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목을 움직일 수 없는 환자에게는 시행이 불가능하며, 호흡기도로 튜브가 삽입되므로 불편함과 불안정함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1. 기도삽관 기도삽관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고 인공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의료 절차입니다. 이 과정에서 의료진은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최우선으...2025.01.16
-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 - 폐렴 사례 A+2025.01.121. 폐렴의 병태생리 폐렴은 기관지 및 폐로 이물질이나 병원균이 들어가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병원 내 감염이 주요 원인이다. 발병 기전은 환자의 입 안에 있는 세균이 기관지로 흡인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정상인의 경우 폐의 방어 능력이 잘 유지되어 폐렴이 잘 발생하지 않지만, 면역 기능이 떨어진 환자의 경우 심각한 폐렴이 나타날 수 있다. 2. 폐렴의 발생 빈도 노인, 요양시설 거주자, 입원 환자, 기계적 환기 대상자에게 흔히 발생한다.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폐렴이 병원에서 감염된 폐렴보다 더 흔하며 항생제 치료에 효과적으...2025.01.12
-
다발성 장기부전관련 논문 정리2025.01.241. 다발성 장기 기능부전(Multiple Organ Dysfunction, MOD)과 다발성 장기부전(Multiple Organ Failure, MOF) 중환자실(ICU)에 있는 환자들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SIRS) 상태에 있으며, 이 상태가 지속되면 MOD나 MOF로 진행될 위험이 크다. MOD와 MOF는 중환자실 환자의 유병률과 사망률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과거에는 MOF로 진행된 환자가 대부분 사망에 이르렀으나, 중환자 관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망률이 점차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MOD의 병...2025.01.24
-
ICU 중환자실 성인간호 케이스 스터디 - 패혈증(Septic Shock)2025.01.041. 패혈증(Septic Shock) 76세 남성 환자로, 담석증, 말기신부전(ESRD), 다낭성 신질환(ADPKD) 등의 과거력이 있습니다. 내원 당시 호흡곤란과 의식저하 증상이 있어 119를 통해 응급실로 내원하였고, 중환자실에 입원하였습니다. 혈액검사 결과 감염 소견이 있었고, 간 CT 검사에서 간경화와 비장비대가 확인되었습니다. 패혈증성 쇼크가 의심되어 승압제, 항생제 치료와 산소 공급 등의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환자의 의식 수준과 감염 지표가 호전되지 않아 중환자실 입원 치료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1. 패혈증(Septic...2025.01.04
-
A+ [성인간호학실습] CSICU 흉부외과중환자실 승모판협착증 Case study(케이스스터디) 사례보고서2025.05.071. 승모판 협착증 승모판 협착증은 대게 류마티스성 심내막염에 의해 발생되는데, 섬유화와 석회화에 의해 판막이 두꺼워지는 것이다. 류머티스열은 승모판 협착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공업국가에서는 승모판 협착증 환자의 대부분이 선천성 기형으로 발생한다. 승모판 협착증에서 판막의 첨판은 융합되고 딱딱해지고 건삭은 수축하여 짧아진다. 판막이 좁게 열리면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정상혈류가 방해를 받는다. 이러한 변화로 좌심방압이 증가하고 좌심방이 확장되며, 폐동맥압은 상승하고 우심실비대가 나타나게 된다. 2. 심방세동 심방세동은 심방의 ...2025.05.07
-
중환자실, NCU 실습 사전과제 - 호흡기치료에 대한 이해2025.01.221. 기도삽관 기도 유지가 필요하거나 인공 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 기관 내로 튜브를 넣어 기도를 확보하는 시술입니다. 기도를 확실히 유지하여 환기와 산소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기도를 통한 효과적인 흡인 및 응급 약물 투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목을 움직일 수 없는 환자에게는 시행이 불가능하며, 불편함과 불안정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기관 내 삽관은 주로 심정지, 호흡 부전, 상부 기도 폐쇄, 두경부 손상, 안면 화상, 위 내용물 흡인 등의 응급 상황에서 시행됩니다. 시술 과정 중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2025.01.22
-
성인간호 A+ Case Study (중환자실-Cardiac Aresst)2025.05.031. 기도 개방 유지 불능 진단명은 지속적인 기도 내 이물질과 관련된 기도 개방 유지 불능입니다. 주로 호흡 곤란과 함께 마른 기침, 분홍빛의 거품 낀 객담이 동반됩니다. 짧고 잦은 호흡과 함께 그로 인한 불안감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누우면 숨이 더 가빠지는 기좌호흡이 생깁니다. 심해지면 청색증, 말초 부종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2. 객담 증상 환자는 캑캑, 콜록콜록 하며 가래가 흘러나오는 증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CT 검사 결과 폐부종이 확인되었고 누런색 가래가 관찰되었습니다. 3. 간호 중재 간호 중재로는 하루에 몇 시간 간...2025.05.03
-
성인 ICU 흉막삼출(Pleural effusion) 케이스2025.05.051. 흉막 삼출 흉막 삼출은 흉막강 내 정상 이상으로 고인 액체를 말한다. 흉막 삼출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무증상이거나 흉막성 흉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삼출액의 양이 많은 경우 호흡곤란을 초래할 수 있다. 흉막 삼출은 다양한 질환에 의한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누출성 흉막 삼출과 삼출성 흉막 삼출로 구분된다. 진단을 위해 병력, 신체검진, 영상검사, 흉막 천자 등이 필요하며, 치료는 원인 질환을 치료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간호중재로는 호흡곤란 증상 관찰, 산소요법, 흉막 천자, 흡인, 폐 물리요법 등이 있다. 1. 흉막 ...2025.05.05
-
성인간호학실습 외상중환자실 골절케이스 A+ 간호진단 11개 간호과정 2개2025.01.181. 통증 및 근골격계 장애와 관련된 신체기동성장애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좌측 다리의 motor grade를 3단계 이상 유지하도록 하였다. 1일 이내에 NRS 점수가 6점에서 3점 이하로 감소하였고, 2일 이내에 하루 2번 가능한 범위 내에 수동 관절운동을 시행하였다. 5일 이내에 양측 motor grade가 2단계 이상을 유지하였다. 2.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대상자는 2시간 이내에 체온이 37.5도 이하로 감소하였고, 2시간 이내에 더운 기운이 사라졌다고 표현하였다. 3일 이내에 정상적인 WBC 수치를 유지하였으며, 전동 ...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