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요양병원 신규직원 교육(신체보호대 관리)2025.01.121. 신체보호대의 정의 상해로부터 본인이나 다른 사람을 보호하기 위하여 환자의 전신 혹은 일부분의 움직임을 제한할 때 사용되는 수동적 방법이나 물리적 장치 및 기구를 의미합니다. 신체보호대를 적용해야 하는 이유로는 환자의 몸에 중심정맥관, 유치도뇨관, 비위관, 기관삽관, 인공호흡기 등 각종 배액관이 있을 때 이것이 환자에 의해 제거되었을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고, 환자의 의식상태가 치료에 협조 불가능한 상태일 경우, 낙상, bed out, 의료진 폭행을 방지하며, 혼돈, 지남력 상실 증상이 있어 자신이나 타인에게 위해를 가할 위험이 ...2025.01.12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매뉴얼 QPS 환자안전관리2025.01.171.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 안전관리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 안전관리를 위해 병원은 환자파악 및 모니터링 방안을 마련한다. 병동팀장은 전체 환자를 파악하고 라운딩을 통해 환경을 점검하면서, 환자 안전 위해요소를 사정하고 환자의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간호사는 담당환자를 수시로 순회하여 환자를 모니터링 하며, 환자-의료진 호출벨 시스템을 통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한다. 집중관찰이 필요한 환자는 환자용 모니터를 적용해 응급상황에 즉시 대응한다. 2. 낙상 예방 및 대처 모든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낙상 위험 평...2025.01.17
-
억제대 적용 사례교육 및 주의사항2025.01.161. 신체보호대 프로토콜의 목적 노인입원 환자에게 불필요한 신체보호대의 사용을 줄이고 올바른 신체보호대 사용을 통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신체보호대 프로토콜의 목적이다. 2. 신체보호대의 정의 치료, 검사 또는 환자 자신이나 타인을 보호하기 위해 환자 신체의 일부나 전체를 제한하는 물리적, 기계적 장치가 신체보호대이다. 3. 신체보호대의 종류 신체보호대의 종류에는 휠체어 신체보호대, 침대난간 등이 있다. 침대난간이 신체보호대로 간주되지 않는 경우는 침대난간이 대상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침대 내에서 노인의 이동이나 체위...2025.01.16
-
[Nursing skills 2024 ver.] 2학년 기본간호학,실습 17챕터 정답모음2025.01.171. 활력징후: 고막체온 고막 체온 측정 방법, 고막 체온에 영향을 주는 요인, 고체온증의 증상과 징후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활력징후: 상지 혈압 혈압 측정 방법, 혈압 관리를 위한 교정 가능한 위험 요소, 혈압 측정 시 고려사항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3. 활력징후: 액와체온 액와체온 측정 방법, 체온 측정 시 고려사항, 체온 측정 부위 선택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4. 활력징후: 요골맥박 요골맥박 측정 방법, 맥박 사정 시 주의사항, 맥박 측정 부위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5. 활력징후: 호흡...2025.01.17
-
요양병원 인증관련 질문 및 확인사항 내용2025.04.261. 통증관리 OOO 환자의 통증평가도구는 의식이 있는 경우 VAS, FPS를 사용하고 의식이 없는 경우 FLACC를 사용하였다. 초기평가 결과는 VAS: 0점, FLACC: 0점이었다. 이 환자에게 통증완화를 위해 비약물요법과 필요시 약물요법을 제공하였다. 중증도(VAS:4점, FPS: 3점, FLACC: 4점 이상)일 경우 약물요법 및 비약물요법을 제공하고, 참을 수 없는 통증 시 약물요법을 제공하였다. 통증 재평가는 VAS 4점 이상, FPS 3점 이상, FLACC 4점 이상일 경우 약물요법 등의 중재를 하며, 경구약은 투약 ...2025.04.26
-
저널리뷰 - 섬망2025.05.041. 외상중환자실 환자의 섬망 발생 위험요인 외상중환자실 환자의 섬망 발생률이 높고, 섬망이 간호의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국내 외상중환자실 환자의 섬망 발생률을 확인하고, 섬망 발생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섬망군은 34.8%, 비섬망군은 65.2%로 나타났으며, Hemoglobin 수치, 손상중증도, 중환자실 재원기간, 진정제 투여와 신체보호대 적용 여부가 유의한 섬망 발생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외상중환자실 간호사는 섬망 고위험군 환자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과 예방적 중...2025.05.04
-
안전한 신체보호대 사용(요양병원)2025.05.071. 신체보호대의 정의 신체보호대는 상해로부터 본인이나 다른 사람을 보호하기 위하여 환자의 전신 혹은 일부분의 움직임을 제한할 때 사용되는 수동적 방법이나 물리적 장치 및 기구를 의미합니다. 신체보호대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로는 환자의 의식상태가 치료에 협조 불가능한 경우, 낙상이나 의료진 폭행 방지, 혼돈이나 지남력 상실 증상이 있어 자신이나 타인에게 위해를 가할 위험이 있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2. 신체보호대의 종류 신체보호대의 종류에는 장갑보호대, 손목/발목 보호대, 흉부 억제대, 조끼 보호대 등이 있습니다. 신체 억제대는 응...2025.05.07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환자 안전(낙상/욕창/투약안전/신체보호대/자살,자해예방)2025.05.111. 낙상 예방 낙상의 정의, 위험요인, 평가 도구, 고위험군 분류, 일반적인 낙상 예방 활동, 낙상 고위험군의 예방 활동, 소아의 낙상 예방 활동, 낙상 발생 가능 장소 및 부서별 예방활동, 낙상 예방 활동의 관리, 환자 및 보호자의 낙상 예방 교육, 낙상 사고 발생 시 대처방법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2. 욕창 예방 마찰, 전단력 최소화 또는 제거, 압력 최소화, 습기 관리, 영양관리, 기록, 환자와 가족 교육 등 욕창 예방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3. 투약 안전 관리 투약 시 일반적인 유의사항, 투약 절차 중...2025.05.11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신체보호대 사용2025.05.111. 신체보호대 사용 신체보호대의 목적은 낙상 방지, 자발적 발관(extubation) 방지, 각종 line이나 튜브 제거 방지, 인공호흡기, 체외순환기 등 장비의 유지, 약물 복용이나 활동의 제한으로 심하게 불안정한 환자의 안전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신체보호대 적용 기준은 섬망, 의식 혼탁 등 신경학적,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환자, 절대 안정을 요하는 환자, 이동 시 침대 밖으로 나올 위험이 있는 환자입니다. 신체보호대 사용 시 환자의 권리를 존중하고, 빠르게 풀 수 있거나 즉시 자를 수 있어야 하며, 2시간마다 확인하고 관절가동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