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1개
-
분석화학실험 실험 7 Fajans법과 Mohr법을 이용한 염화 이온의 정량 예비2025.05.091. Fajans법 Fajans법은 음이온성 흡착성 지시약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시약은 dichlorofluorescein이다. Ag+ 이온으로 Cl- 이온을 적정하는 경우, 종말점 이전에는 과량의 Cl- 이온이 존재하며 일부 Cl- 이온은 형성된 AgCl 침전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있게 된다. 종말점 직후에는 과량의 Ag+ 이온이 AgCl 침전입자 표면에 흡착하게 되면서 침전물 표면이 양전하를 띠게 된다. 이때 음이온성 dichlorofluorescein이 양전하를 띤 AgCl 침전입자 표면에 흡착하게 되면서 ...2025.05.09
-
KMnO4 수용액의 흡광곡선 및 미지농도 결정 결과2025.05.091. KMnO4의 화학적 성질 및 광분해 화학식 KMnO4는 강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염산과 반응하면 염소를 발생시키고, 황산과 반응하면 폭발한다. 물에 녹으면 진한 보라색을 띤다. 빛에 의해 분해반응이 촉진되기 때문에 화학식 2KMnO4 → K2MnO4 + MnO2(s) + O2와 같이 광분해된다. 2. UV-VIS 기기 사용 시 Cuvette 방향 빛은 cuvette의 투명한 부분을 통해 투과되어 흡광도가 측정되기 때문에, UV-VIS 기기를 사용할 때 cuvette의 불투명한 부분이 앞으로 오게 해야 한다. 3. KMnO4...2025.05.09
-
비타민C 분석 토의2025.01.131. 산화-환원 반응 실험에서는 산화-환원 반응을 기초로 직접 요오드 적정법을 이용하여 비타민 C의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요오드 용액을 표준화한 다음 표준 요오드 용액으로 비타민 C를 정량하여 시판용 비타민 C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2. 요오드 적정법 실험A에서 요오드 용액으로 적정한 결과 요오드 용액의 농도는 0.0026M이었다. 실험B에서 0.0026M의 요오드 용액으로 적정하여 비타민C의 함량을 계산한 결과 100%(이론값 97%)가 나왔다. 오차율은 3.1%로 나타났다. 3. 비타민C 산화 비타민C는 수용액 상태에서 습도와 ...2025.01.13
-
산화환원적정 I2법 결과보고서2025.01.171. 산화-환원 적정: I2법 이번 실험은 아이오딘 적정법을 이용하여 분석물의 함량을 구해보는 실험이다. 표준화와 정량을 하는 것까지 총 4번의 적정을 한다. 녹말 지시약은 종말점이 바로 나타나기 때문에 주의해서 적정해주는 것이 좋다. 이번 적정실험에서도 뷰렛을 적정용액으로 한 번 씻어주지 않아 이에 따른 오차가 좀 발생했을 것이다. 2. Iodometry를 이용한 구리 정량 Iodometry는 간접 아이오딘 적정법으로 구리가 든 시료에 과량의 I-를 첨가하여 아이오딘을 싸이오황산용액으로 적정하게 된다. 처음 시료를 묽힐 때 구리가...2025.01.17
-
[A+ 만점 레포트] 분석화학실험 8. Kastle-Meyer test2025.01.181. Kastle-Meyer test Kastle-Meyer test는 법의학적으로 혈흔을 추정하는 검사이다. 혈흔을 면봉에 묻히기 전에 에탄올을 적셔주는 것은 혈흔을 더 잘 용해하므로 감도와 특이성을 높여 산화-환원 반응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루미놀 반응과 같이 화학 발광(chemiluminescence)을 이용하거나 형광(fluorescence) 현상을 일으켜 확인할 수도 있다. 2. 혈흔 감식 혈흔과 KM reagent의 반응이 가장 빨랐던 이유는 '촉매 작용을 할 수 있는 과산화효소 활성을 지닌 효소류나 일부 금속이...2025.01.18
-
분석화학실험 4. Determination of acidity in vinegar & Ka value of weak acid2025.01.181. 약산의 이온화 정도와 Ka 값 시판 식초(vinegar)는 유기산 및 약 6~7 W/V%의 acetic acid(HOAc)를 함유한다. 약산은 용액 내에서 100% 이온화하지 않는 산을 말하며, 약산의 이온화 정도는 이온화 상수인 Ka 값을 이용하여 알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대표적 약산인 HOAc의 Ka를 Gran's plot을 활용하여 구한다. 2. 식초의 산도 측정 식초 중의 총 산성 성분을 염기 표준용액(0.1 M NaOH)으로 적정하여 % 농도를 구하여 acetic acid의 % 농도로 표기한다. 3. 0.1 M ...2025.01.18
-
분석화학실험 보고서 - EDTA 적정을 이용한 식수의 Ca2+, Mg2+농도 결정2025.01.181. EDTA 적정법 EDTA는 대부분의 금속 이온과 1:1로 안정한 착물을 형성하는 킬레이트제이다. EDTA 적정법은 금속 이온과 EDTA의 반응을 이용하여 금속 이온의 농도를 정량하는 방법이다. 이 실험에서는 EDTA 적정법을 이용하여 식수 중 Ca2+와 Mg2+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2. 금속 이온 지시약 EDTA 적정법에서 종말점 검출을 위해 금속 이온 지시약이 사용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EBT(Eriochrome Black T)가 사용되었는데, EBT는 금속 이온과 결합하면 붉은색을 띠고 EDTA가 첨가되면 푸른색으로 변화...2025.01.18
-
분석화학실험 실험 1 산-염기 표준용액 만들기 및 표준화 예비2025.05.091. 산-염기 표준용액 만들기 및 표준화 실험을 통해 일차 표준물질인 탄산소듐(Na2CO3)을 이용하여 0.10 M HCl 용액을 표준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0.10 M NaOH 용액을 제조 및 표준화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실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적정 오차의 원인과 바탕 적정의 목적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습니다. 1. 산-염기 표준용액 만들기 및 표준화 산-염기 표준용액 만들기 및 표준화는 화학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정확한 농도의 표준용액을 만들고 이를 표준화하는 것은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필수...2025.05.09
-
분석화학실험 실험 2 탄산염과 탄산수소염의 혼합물 분석 결과2025.05.091. 탄산염과 탄산수소염의 혼합물 분석 이번 실험에서는 직접 제조한 HCl과 NaOH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탄산염(Na2CO3)과 탄산수소염(NaHCO3)의 혼합물을 적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험 1에서는 강산-약염기 적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변색범위가 pH 3.8~5.4인 지시약 bromocresol green을 사용하였고, NaCl을 이용하여 바탕적정을 진행하였다. 실험 2에서는 약산-강염기 적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변색범위가 pH 8.3~10.0인 지시약 phenolphthalein을 사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얻은 질량 비율은 2:...2025.05.09
-
분석화학실험 실험 5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결과2025.05.091.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EDTA는 금속과 결합할 때 주로 내줄 수 있는 수소 이온을 모두 잃은 상태인 Y4-로 존재하며, EDTA 적정 반응에서는 Eriochrome Black T 지시약이 사용된다. 지시약의 색은 pH에 의존하므로 pH 10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일정한 pH 영역에서 반응이 진행되도록 한다. 실험에서는 탄산칼슘을 이용해 0.02 M Na2H2Y 표준용액의 농도를 결정하였으며, 오차 원인으로는 부피 측정, pH 미터 오차, 지시약 양, 실험자의 주관적 판단 등이 있다. 1.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