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인수인계보고서_급성 충수염2025.05.151. 급성 충수염 환자 임OO는 17세 남성으로 내원 전일 오후 8시경부터 우하복부 통증이 있어 응급실에 내원하였습니다. 검사 결과 급성 충수염 소견이 있어 수술적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습니다. 현재 Laparoscopic appendectomy with drainage 수술을 받고 POD#3일째 입니다. 환자는 기저질환이 없으며, 복통 외에 다른 증상은 없는 상태입니다. 식이는 점진적으로 진행 중이며, 활력징후와 배액관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치료 후 합병증 없으면 퇴원할 예정입니다. 1. 급성 충수염 급성 충수염은 매우...2025.05.15
-
복강경 담낭절제술2025.01.151. 복강경 담낭절제술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전신마취 하에 복부에 구멍을 내고 공기를 주입하여 공간을 확보한 후 복강경 기구를 이용하여 담낭을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담낭은 담즙을 농축하고 저장하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으로, 담석증, 담낭염, 담낭용종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담낭절제술이 필요하며, 수술 후 통증, 무기폐, 출혈, 창상감염, 탈장, 설사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상처 부위의 배액을 위해 JP Drain이 삽입되며, 항생제와 진통제 투여, 심호흡 및 조기 보행 등의 간호가 필요합니다...2025.01.15
-
배액관(Drainage)의 유형 및 간호2025.01.121. 배액관의 기본 개념 배액관의 정의, 목적, 상처배액(색깔, 종류, 성분,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Drainage 종류 폐쇄형 배액관(Hemo-Vac, Barovac, jp bag)과 개방형 배액관(Penrose, PCD)의 종류, 적응증, 간호 및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3. Drainage 관리 및 간호 대부분의 배액관은 음압으로 사용하며, 배액관 관리 및 간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4. 실습병동(외과병동)에서 사용하는 Drainage 유형, 적응증, 간호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는 배...2025.01.12
-
위암 절제술 환자의 간호진단 및 중재2025.01.121. 위암 절제술 환자의 간호진단 위암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감염 위험성에 대한 간호진단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관적 자료와 객관적 자료를 통해 감염 위험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간호중재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위암 절제술 후 삽입된 배액관, 유치도뇨관 등의 침습적 처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감염 위험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감염의 징후와 원인 요인들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3. 간호중재 및 근거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활력징후 사정...2025.01.12
-
KOPS REPORT(배액관 연결 오류)2025.01.131. 배액관 연결 오류 환자안전사고 주요사례에서는 PCD(경피적 농양 배액술)와 PTBD(경피경간 담도 배액술) 시행 후 퇴실한 70대 남자 환자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담당 간호사가 배액관 구분이 없어서 배액 양상으로 추측하여 처방과 반대로 배액 주머니를 연결하여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술실(시술실)에서 의료진이 배액관에 구분 표시를 하고, 배액관의 삽입 위치를 확인하여 적절한 배액 주머니를 연결하는 등의 권고사항이 제시되었습니다. 2. 배액관 관리 방법 배액관 관리 방법으로는 배액주머니가 항상 배액관의...2025.01.13
-
성인실습 담석증 간호진단 5개/간호과정 3개(급성 통증,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감염위험성)2025.01.021. 외과적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수술 후 통증 관리를 위해 활력징후 모니터링, 통증 사정, 진통제 투여, 체위 변경 등의 중재를 제공하였다. 또한 PCA 사용법 교육과 심호흡, 이완요법 등의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통증 감소와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였다. 2. 전신마취 후 기도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호흡수와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suction을 통한 객담 배출, 흡입제 투여, 강화폐활량계 사용법 교육, 수분 섭취 독려 등의 중재를 제공하여 호흡 양상 개선을 도모하였다. 3. 배액관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감염 지...2025.01.02
-
E-tube, T-tube, CVC, perm-cath, PICC, CTD, PCD, HV, JP, EVD2025.04.301. TUBE 삽입과 관리 TUBE는 기체 또는 액체를 실어 나르는 관으로, 금속관(G)과 플라스틱관(Fr)으로 구분됩니다. E-tube는 사면(bevel)과 Murphy eye가 있으며, 기도 내 고정과 흡인 예방을 위한 cuff가 있습니다. E-tube 삽입 길이는 남자 22~24cm, 여자 19~21cm이며, 위치 확인 및 고정이 중요합니다. T-tube는 상부 기도 폐쇄, 호흡 부전, 아나필락틱 쇼크 등의 경우에 사용되며, cuff와 내관 유무에 따라 관리가 달라집니다. 2. CVC (Central Venous Cathete...2025.04.30
-
배액 간호 (chest tube, L-tube, Hemobac & JP bag, Rectal tube)2025.04.301. 배액 배액은 간호 분야, 특히 상처 관리 분야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배액의 목적은 감염을 예방하고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몸에서 과도한 수분이나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특히 감염이나 기타 합병증의 위험이 높은 경우, 배액은 수술 후 관리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2. 배액 방법 간호에서 체액을 배출하는 것은 신체의 다른 부분에 축적된 체액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훈련과 기술은 물론 세심한 고려와 준비가 필요한 섬세한 시술이다. 배출의 첫 번째 단계는 탈거해야 하는 오일 유형을 식별하는...2025.04.30
-
배액관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수술 후 신체변화와 관련된 무력감2025.05.041. 배액관 관리와 감염 위험성 대상자의 배액관 관리와 감염 위험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간호를 수행하였다. 체온 측정, 배액관 주변 관찰, 배액물 양상 사정, WBC 수치 확인, 대상자 교육 등을 통해 감염 위험성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였다. 대상자의 체온은 대부분 정상 범위였으나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였고, 배액물에서 특별한 소견이나 악취는 없었으며 양이 점차 감소하였다. WBC 수치는 감소하였지만 감염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는 배액관 관리 교육 내용을 잘 이해하고 실천하였다. 2. 수술 후 신체변화와 관련된 무력감 대상자는...2025.05.04
-
[성인간호실습]소화기계 사전학습2025.05.031. 소화기계 병동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 검사 전∙후 간호 소화기계 병동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 검사에는 위내시경 검사, 장내시경 검사, 직장 및 S자 결장 검사, 상부위장관 촬영술, 복부 초음파, 간동맥 화학색전술,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 간생검, 복수천자, 식도정맥 결찰술 등이 있다. 각 검사의 정의, 목적, 시행 방법 및 검사 전후 간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2. 위장관 점막 절제술 환자 관리 내시경을 통해 위(대장)용종, 위암, 조기 식도암을 제거하는 내시경 점막 절제술(EMR)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검사 전날부...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