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성인간호학_기흉 - 1. 질환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간호계획 8개) 2. 폐허탈과 관련된 급성 통증(간호계획 7개) 3.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간호계획9개) /간호진단3개 /2025.01.221. 질환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대상자가 나타내는 증상으로는 갑작스런 호흡곤란과 흉통, RR: 27회/min, BP: 100/60mmHg, 왼쪽 가슴의 호흡음 소실이 있다. 기흉 대상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는 갑작스럽고 날카로운 통증, 기침, 힘이 많이 드는 가쁜 숨, 혈압 하강, 약하고 빠른 맥박, 병터 흉부의 과공명음, 불안, 초조, 불안정, 발한, 창백함 또는 청색증, 의식소실, 흉부 압박감 등이 있다. 그 외 기흉 대상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증상과 관련요인으로는 자연기흉(밀폐 기흉), 긴장성 기흉, 개방성 기흉...2025.01.22
-
A+ 소화기계 사전학습2025.05.151. 의학용어 이 섹션에서는 소화기계 관련 의학용어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요 용어로는 AGC(진행성 위암), AGE(급성 위장관염), BCC(기저세포암), CBD(총담관), CPR(심폐소생술), DNR(심폐소생술 거부), DU(십이지장궤양), EIH(내시경적 주입 지혈), ELS(내시경적 경화요법), EMR(내시경적 점막절제술), ERBD(내시경적 역행성 담도배액), ERCP(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 ESD(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 EST(내시경적 괄약근절개술), EVL(식도정맥류 결찰), GERD(위식도역류 질환), ...2025.05.15
-
수술실 도구 사전학습2025.01.111. 수술도구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수술도구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Mosquito, Kelly, Right angle, Long forcep, Fine forcep, Adson tissue, Mayo, Metezenbaum, Cut, Knife, Knife handle, Deaver retractor, Self retractor, Instrument table, Bovie(monopolar), Plate, Bove handpiece, C-Arm X-ray, 무영등, 수술침대, Bipolar, View box, Gas sy...2025.01.11
-
배액관 drainage 학습과제2025.05.011. 배액관의 목적 배액관의 목적은 예방, 치료, 감압 등이 있다. 예방 목적으로는 수술 후 혈종이나 장액종 형성 예방, 오염된 수술이나 장문합 부위 누출 가능성 확인, 수술/시술 후 분비물 양상 관찰 등이 있다. 치료 목적으로는 세균 배출, 이물질/괴사조직 제거를 통한 염증 자극 제거가 있다. 감압 목적으로는 외상 환자의 수술 후 사용, 대표적으로 Chest tube drain이 있다. 2. 배액관의 종류 배액관에는 Open drainage, Closed suction drain, Chest tube drain 등이 있다. Ope...2025.05.01
-
14가지 배액관 종류의 목적, 특징과 간호관리 총정리2025.01.051. 배액관의 종류와 간호관리 배액관의 종류에는 passive drain, penrose drain, sump drain, T-tube, chest tube drainage, PCD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PAD (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PTBD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GBD (percutaneous transhepatic gallblader drainage), ENBD (endoscopic naso...2025.01.05
-
인수인계보고서_급성 충수염2025.05.151. 급성 충수염 환자 임OO는 17세 남성으로 내원 전일 오후 8시경부터 우하복부 통증이 있어 응급실에 내원하였습니다. 검사 결과 급성 충수염 소견이 있어 수술적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습니다. 현재 Laparoscopic appendectomy with drainage 수술을 받고 POD#3일째 입니다. 환자는 기저질환이 없으며, 복통 외에 다른 증상은 없는 상태입니다. 식이는 점진적으로 진행 중이며, 활력징후와 배액관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치료 후 합병증 없으면 퇴원할 예정입니다. 1. 급성 충수염 급성 충수염은 매우...2025.05.15
-
배액관(Drainage)의 유형 및 간호2025.01.121. 배액관의 기본 개념 배액관의 정의, 목적, 상처배액(색깔, 종류, 성분,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Drainage 종류 폐쇄형 배액관(Hemo-Vac, Barovac, jp bag)과 개방형 배액관(Penrose, PCD)의 종류, 적응증, 간호 및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3. Drainage 관리 및 간호 대부분의 배액관은 음압으로 사용하며, 배액관 관리 및 간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4. 실습병동(외과병동)에서 사용하는 Drainage 유형, 적응증, 간호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는 배...2025.01.12
-
KOPS REPORT(배액관 연결 오류)2025.01.131. 배액관 연결 오류 환자안전사고 주요사례에서는 PCD(경피적 농양 배액술)와 PTBD(경피경간 담도 배액술) 시행 후 퇴실한 70대 남자 환자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담당 간호사가 배액관 구분이 없어서 배액 양상으로 추측하여 처방과 반대로 배액 주머니를 연결하여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술실(시술실)에서 의료진이 배액관에 구분 표시를 하고, 배액관의 삽입 위치를 확인하여 적절한 배액 주머니를 연결하는 등의 권고사항이 제시되었습니다. 2. 배액관 관리 방법 배액관 관리 방법으로는 배액주머니가 항상 배액관의...2025.01.13
-
성인실습 담석증 간호진단 5개/간호과정 3개(급성 통증,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감염위험성)2025.01.021. 외과적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수술 후 통증 관리를 위해 활력징후 모니터링, 통증 사정, 진통제 투여, 체위 변경 등의 중재를 제공하였다. 또한 PCA 사용법 교육과 심호흡, 이완요법 등의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통증 감소와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였다. 2. 전신마취 후 기도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호흡수와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suction을 통한 객담 배출, 흡입제 투여, 강화폐활량계 사용법 교육, 수분 섭취 독려 등의 중재를 제공하여 호흡 양상 개선을 도모하였다. 3. 배액관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감염 지...2025.01.02
-
E-tube, T-tube, CVC, perm-cath, PICC, CTD, PCD, HV, JP, EVD2025.04.301. TUBE 삽입과 관리 TUBE는 기체 또는 액체를 실어 나르는 관으로, 금속관(G)과 플라스틱관(Fr)으로 구분됩니다. E-tube는 사면(bevel)과 Murphy eye가 있으며, 기도 내 고정과 흡인 예방을 위한 cuff가 있습니다. E-tube 삽입 길이는 남자 22~24cm, 여자 19~21cm이며, 위치 확인 및 고정이 중요합니다. T-tube는 상부 기도 폐쇄, 호흡 부전, 아나필락틱 쇼크 등의 경우에 사용되며, cuff와 내관 유무에 따라 관리가 달라집니다. 2. CVC (Central Venous Cathete...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