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개
-
성인간호실습 수술실 마취 수술 회복 간호2025.01.171. 마취의 정의와 개념 마취제를 투여하여 중추신경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의식이나 전신적인 감각, 운동 및 반사를 소실시키는 방법. 마취통증의학과 의사가 환자가 수술을 받는 동안 통증, 의식, 움직임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호흡, 혈압 및 전신상태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일련의 진료 과정. 2. 마취 방법 1. 대상자의 활력징후 측정 후 장비 부착 2. 산소마스크 착용 및 수면제 투여 3. 흡입마취제 또는 정맥마취제 지속 투여, 근육기관제 투여, 기계환기 4. 기관내삽관 및 마취기 연결 5. 마취과 의사의 지속적 활력징후 감시 및 마취깊...2025.01.17
-
도수적 기도유지, 인공 기도유지(intubation) 방법 및 주의사항(레포트 A+)2025.05.061. 도수적 기도유지 방법 두부후굴/하악거상법과 하악견인법은 외상환자가 아닌 경우의 도수 기도 유지법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두부후굴/하악거상법은 환자의 이마를 밀어 두부를 후굴시키고 턱을 전방으로 거상시켜 기도를 개방한다. 하악견인법은 양쪽 하악을 전방으로 밀어 올려 기도를 개방한다. 목뼈 손상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하악견인이나 변형된 하악견인을 사용해야 한다. 2. 인공기도기를 이용한 기본기도 유지법 구인두기도기와 비인두기도기는 의식이 없는 환자에서 기도를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구인두기도기는 입을 통해 삽입하여 기도를 유...2025.05.06
-
기관내삽관, intubation (endotracheal intubation) 간호2025.05.051. 기관내삽관 간호 기관내삽관은 응급 상황에서 기도를 확보하는 중요한 술기입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물품 준비, 전산소화, 진정 유도, 신경근 차단, 삽관 시행, 삽관 후 처치 등의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관내삽관 간호 시 주의사항과 기록 방법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2. endotracheal tube 종류 endotracheal tube에는 cuffed, uncuffed, wire tube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사용 대상이 다릅니다. 튜브 크기 선정 시 성별과 연령에 따른 기준도 제시되어 있...2025.05.05
-
[성인간호학실습 A+]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2025.05.101. Emergency cart 약물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 약물의 적응증, 용법, 부작용 등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습니다. 2. Emergency kit 장비와 기구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장비와 기구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ambu bag, airway, laryngoscope, endotracheal tube 등 기도 관리에 필요한 장비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3. 응급환자 분류체계 응급환자를 중증도에 따라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검은색으로 분류하는 triage 체계에 대해 설명...2025.05.10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전문기도 확보와 환기의 이해2025.05.111. 전문기도 확보와 환기 전문기도기의 종류에는 기관내삽관 외에 기관으로 직접 튜브를 넣지 않고 후두에 위치구(extraglottic device)가 있다. 특히 후두마스크기도기, 아이-젤 기도기, 후두기도기 등이 현재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문기도기를 통한 인공호흡은 충분한 훈련과 경험이 있는 보건의료인들에게 권장되지만, 아직까지 전문기도기 사용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증거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성인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할 때 백 마스크 또는 전문기도기 중 어느 방법을 선택해도 된다. 2. 기관내 삽관...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