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
-
ABO 및 H 혈액형 시스템과 분비자 상태2025.01.041. ABO 혈액형 시스템 ABO 혈액형 항원은 적혈구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체액에도 존재하는데, 이를 secretor status라고 한다. ABO 혈액형 시스템은 A, B, O 항원과 이에 대한 항체로 구성되며, 이는 유전적으로 결정된다. ABO 부적합 수혈 시 급성 용혈성 수혈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2. H 항원 H 항원은 ABO 항원의 전구체 구조로, L-fucose가 D-galactose에 결합하여 형성된다. H 유전자 산물인 L-fucosyltransferase 효소에 의해 H 항원이 생성된다. Bombay 표현...2025.01.04
-
ABO & Rh Typing과 고찰2025.01.131. ABO & Rh 혈액형 검사 ABO & Rh 혈액형 검사는 환자의 안전을 위해 수혈 전 검사로 반드시 시행한다. ABO 혈액형 검사는 혈구형 검사와 혈청형 검사 두 가지 방법으로 시행되며, Rh 혈액형 검사는 적혈구 표면에 D 항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혈구형 검사만 시행한다. 실험에서는 슬라이드 법과 시험관 법으로 ABO & Rh 혈액형 검사를 진행하였고, 추가로 Lectin A & Lectin H 검사와 Auto control 검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Rh 위음성의 원인, ABO 아형과 Lectin 검사, AB...2025.01.13
-
교차적합시험과 고찰2025.01.131. 교차 시험(Crossmatching) 교차 시험(Crossmatching)은 수혈 전 검사의 마지막 단계로, 수혈될 적혈구와 환자 혈청 간의 적합성을 확인하여 용혈성 수혈 부작용을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다. 교차 시험에는 주교차 시험과 부교차 시험이 있으며, 실온 식염수법, 37°C 알부민법, 항글로불린(AHG) 법의 3단계 과정을 거친다. 각 단계는 온도에 따라 반응하는 항체의 원리를 이용한 검사법이다. 2. ABO & Rh 혈액형 검사 교차 시험을 진행하기 전에 먼저 ABO & Rh 혈액형 검사를 실시하여 혈액형 정보를 확인...2025.01.13
-
혈구세포 관찰 및 혈액형 판정2025.01.031. 혈액의 구성 혈액은 혈장과 혈구로 구성되어 있다. 혈장은 주로 물과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양분, 호르몬, 노폐물 등을 운반한다. 혈구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있으며 각각 산소 운반, 면역 기능, 지혈 작용을 담당한다. 2. 혈액형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항원 차이에 따라 ABO식과 Rh식으로 구분된다. ABO식 혈액형은 A형, B형, AB형, O형으로 나뉘며, Rh식 혈액형은 Rh 양성과 Rh 음성으로 구분된다. 혈액형 판정은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다. 3. 실험 방법 혈구 관찰을 위해 혈액 도말 표본을 만들고...2025.01.03
-
혈구 관찰 및 혈액형 분석 보고서2025.01.031. 혈구 이 실험에서는 적혈구와 백혈구의 특징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적혈구는 가운데가 움푹 들어간 원반 모양이었고, 백혈구 중에서는 단핵구와 호중구가 관찰되었다. 적혈구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백혈구는 외부 침입체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2. 혈액형 이 실험에서는 ABO식 혈액형과 Rh식 혈액형을 판별하였다. 항A혈청, 항B혈청, 항D혈청을 이용하여 혈액형을 판별한 결과, 실험자의 혈액형은 AB형, Rh+형으로 확인되었다.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항원에 따라 구분되며, 수혈 시 혈액형 불일치로 인한 부작...2025.01.03
-
일반생물학실험 REPORT - 혈액의 관찰, 혈액형 판정 및 혈구 수 측정2025.05.101. 혈액 구성 및 특성 혈액은 뼈 속에 있는 골수에서 만들어진 후 우리 몸의 혈관을 통해 온 몸을 끊임없이 순환하며 우리의 생명을 지키고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액은 크게 혈장 성분과 혈구 성분으로 나뉘며, 혈구에는 산소나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적혈구, 식균 작용으로 우리 몸을 방어하는 백혈구,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혈소판 등이 포함되어 있다. 2. 혈액형 판정 사람의 적혈구 막에는 약 30여종의 응집원이 있는데, 이러한 항원들이 혈장에 존재하는 응집소와 반응하면 응집현상을 일으킨다. 혈액형은 적혈구에 존재하는 특정 항원...2025.05.10
-
광선요법2025.01.231. 신생아 황달 검사 1. 혈액형 검사 (ABO 및 Rh 불일치 검사): 산모와 아기 사이의 혈액형 불일치로 인한 신생아 황달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 2. Coombs 검사 (직접 항글로불린 검사): 신생아 적혈구 표면에 항체가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용혈성 빈혈 여부를 판단한다. 3. 혈청 빌리루빈 수치 모니터링: 총 빌리루빈 수치가 높게 측정되었으므로 광선요법 중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4. 간 기능 검사 (LFT): 간 기능 미숙으로 인한 황달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실시한다. 5. 신생아 전혈구 검사 (...2025.01.23
-
생물학 실험2 - 혈구 관찰 및 혈액형 분석2025.05.011. 혈액의 구성성분 혈액은 혈장과 혈구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혈장은 전체 혈액의 55%를 차지하는 액체 성분이며, 혈구 성분은 나머지 45%를 차지한다. 혈구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포함된다. 2. 적혈구 적혈구는 가운데가 오목한 원반 모양이며, 핵이 없고 헤모글로빈이 있어 붉은색을 띤다. 적혈구는 산소 운반 기능을 담당한다. 적혈구 수가 정상보다 적으면 빈혈이 발생한다. 3. 백혈구 백혈구는 핵의 모양과 세포질 내 과립의 유무, 염색성에 따라 구분된다. 백혈구는 몸속에 침입한 세균을 잡아먹는 식균작용을 한다. 세균 감...2025.05.01
-
[아동간호학 레포트] 신생아의 장애와 간호관리2025.05.111. 미숙아 미숙아는 출생 시 체중에 상관없이 재태기간 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를 말한다. 미숙아의 원인은 조산으로, 자궁이 태반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만삭 전에 조기 진통이 일어나 발생하게 된다. 미숙아는 이완된 자세로 사지를 편 채 누워있으며, 신체 크기에 비해 머리가 약간 크고 피하지방이 적거나 거의 없어 체온조절이 불안정하다. 미숙아는 구강수유가 어려울 수 있으며,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폐의 표면활성제가 부족하여 호흡곤란증후군이 자주 발생하고 신경학적 합병증인 뇌실내출혈의 위험이 높다. 미숙아의 퇴원 기준은 체중이 2200g...2025.05.11
-
면역혈액학 11과 정리 레포트 12주차2025.01.101. 전혈 수혈 전혈 수혈과 관련해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로는 순환 과부하, 혈소판 손실, 응고 인자 감소, ABO 혈액형 일치 등이 있다. 전혈은 출혈이 많거나 전체 혈액량의 25% 이상 손실된 경우, 전체 혈액을 교체해야 할 때 사용된다. 재구성된 전혈은 유아 혈액 수혈에 필요한 성분끼리 재조합하여 사용한다. 2. 적혈구 수혈 적혈구는 조직의 산소포화도가 손상된 경우 수혈한다. 수혈용 1 unit 혈액당 적혈구 농도는 헤모글로빈 1g/dL, 헤마토크릿 3% 이상이어야 한다. 백혈구를 제거한 적혈구는 수혈 부작용 예방을 위해 사용...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