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디지털시스템설계 2주차 과제2025.05.041. Verilog 프로그래밍 이번 과제에서는 Verilog 프로그래밍을 통해 1-Bit Full Adder와 8-to-1 MUX를 구현하는 것이었습니다. 학생은 Verilog 문법을 처음 다루어 어려움이 있었지만, 실습 예제를 복습하면서 모듈, 포트 선언, 벡터 형식 등 Verilog 기본 개념을 익혀나갔습니다. 특히 s[2], s[1], s[0]를 잘못 입력하여 결과가 올바르지 않았던 경험을 통해 Verilog 코드 작성 시 주의해야 할 점을 배웠습니다. 2. 1-Bit Full Adder 이번 과제에서는 1-Bit Full A...2025.05.04
-
디지털 회로 실험 및 설계 - Multiplexer, DeMultiplexer 실험, JK Flip Flop 순차회로 실험 22025.05.161. Multiplexer (MUX) 4-to-1 MUX를 구성하고, S1과 S0의 입력신호에 따른 출력 Y를 실험한 결과, 이론값대로 잘 나왔으며 전압 레벨도 High는 4.36V, Low는 0.16V로 잘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여러 입력 데이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조합 논리회로인 MUX를 잘 활용한 실험 결과였다. 2. Demultiplexer (DEMUX) 1-to-4 DEMUX를 구성하고, S1과 S0, Y의 입력상태에 따라 출력 D0~D3를 실험한 결과, 이론값대로 잘 나왔으며 전압 레벨도 High는 4.45V, Lo...2025.05.16
-
디지털 논리회로 실험 및 설계 4주차 예비보고서2025.04.281. 멀티플렉서와 부호기(encoder)의 차이 부호기는 4개의 입력값 중에 1이 단 1개만 있어야하는 반면에 멀티플렉서는 1의 입력 개수의 제한이 없다. 부호기는 출력값이 입력값()에 대한 그 비트값()이지만, 멀티플렉서는 그 비트값()의 입력값()이 출력값()이다. 2. 4-to-1 Multiplexer 74153, 2-to-1 Multiplexer 74157, 1-of-4 Decocder 74139, 3-INPUT AND 게이트 7411의 datasheet 4-to-1 Multiplexer 74153은 16번pin에는 VCC를...2025.04.28
-
홍익대학교 디지털논리실험및설계 4주차 예비보고서 A+2025.05.041. 멀티플렉서와 부호기(encoder)의 차이 부호기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비트 조합들을 입력으로 주고 그것을 어떤 특정 비트 조합들과 각각 mapping 시켜서 부호화하는 것이고, 멀티플렉서는 데이터 선택기라고도 불리는데 여러 디지털 입력 데이터 중에서 어떤 데이터를 출력할 것인지 데이터 선택 입력의 조합을 통해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IC 동작을 위한 Vcc와 GND 연결 및 Active LOW/HIGH 확인 각각의 IC를 동작하게 하기 위해서 Vcc와 GND를 몇 번 pin에 연결해야 하는지 확인해야 하고, ...2025.05.04
-
인하대 VLSI 설계 5주차 Multiplexer2025.05.031. Multiplexer Multiplexer는 2개의 입력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으로 내보내는 게이트 회로입니다. 입력 신호의 개수에 따라 2:1 Mux, 4:1 Mux, 8:1 Mux 등으로 구분됩니다. 이번 실습에서는 2:1 Mux와 4:1 Mux의 레이아웃 작성, netlist 작성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습니다. 2. 2:1 Multiplexer 2:1 Multiplexer는 2개의 입력 단자(IN1, IN2)와 1개의 출력 단자(OUT), 그리고 선택 신호(SEL)로 구성됩니다. SEL이 0이면 IN1이 출력되고...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