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05개
-
세균성 장감염(장염) 사례보고서 (소아과 병동)2025.01.271. 위장관계 해부학적 구조 신생아의 위장관계는 미성숙하며, 출생 후 몇 주가 지나면서 소화 기능이 점차 발달한다. 영아기에는 효소 부족으로 인해 가스로 인한 복부팽만이 흔히 나타나며, 생후 2년이 되면 소화과정이 거의 완성된다. 2. 위장염의 증상 및 병태생리 위장염은 구토와 설사가 동반될 수 있는 위와 장의 염증이다. 주된 원인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또는 기생충 감염이며, 영아와 어린 아동에게 탈수 위험이 높다. 설사의 원인은 장의 흡수력 감소, 흡수 표면적 감소 또는 부교감 신경자극 전달의 변화 등 다양하다. 3. 위장염의 의...2025.01.27
-
병원성 미생물의 근원과 세균 감염 예방 환경인자2025.11.171. 병원성 미생물의 종류와 근원 병원성 미생물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으로 구성되며 인간의 건강에 직접적인 위협을 가한다. 세균은 감염성 질환의 주요 원인이며, 바이러스는 호흡기 감염과 위장관 감염 등을 일으킨다. 곰팡이는 주로 실내에서 발생하여 호흡기 감염과 피부 질환을 유발한다. 급성 중이염균, 대장균 O157:H7, 결핵균 등의 세균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스페르질러스 등의 곰팡이가 인체에 침입하여 심각한 질병을 일으킨다. 2. 세균 감염 예방을 위한 긍정적 환경인자 청결한 환경은 세균과 바이러스의 번식을 억제하는 데...2025.11.17
-
세균 배양배지의 분류, 형태, 사용법2025.11.151. 세균 배양배지의 농도별 분류 세균 배양배지는 농도를 기준으로 고체 배지, 반고체 배지, 액체 배지로 분류된다. 고체 배지는 1.5-2.0% 농도의 한천을 포함하며 세균 격리와 집락 특성 결정에 유용하다. 반고체 배지는 0.5% 이하의 한천 농도로 미세산소균 배양과 세균 운동성 측정에 사용된다. 액체 배지는 겔 성분이 없으며 유기체 번식, 발효 연구, 설탕 발효 테스트 등 다양한 목적에 활용된다. 2. 선택적 및 농축적 배지 선택적 배지는 특정 억제제(항생제, 염료, 화학물질)를 첨가하여 원하지 않는 세균을 억제하고 병원균을 선...2025.11.15
-
바이러스와 세균의 구조적, 기능적 차이점2025.11.151. 바이러스의 구조와 특성 바이러스는 단백질 코팅과 DNA 또는 RNA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스로 생명을 유지할 수 없으며 호스트 세포 내에서만 번식 및 복제될 수 있습니다. 세포보다 훨씬 작아 전자 현미경으로만 관찰 가능합니다. 호스트 세포에 감염되면 유전물질을 이용하여 세포의 기계를 조종하고 복제하여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를 생성합니다. 2. 세균의 구조와 특성 세균은 단일 세포로 이루어진 원핵생물체입니다. 세포벽, 세포막, 세포질, DNA 등의 기본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체적으로 생명을 유지하고 번식할...2025.11.15
-
약 정리 - 항생제, 항균제, 항결핵제, 항바이러스제2025.01.231. 항감염제(anti-infective drug) 신체에 침입한 미생물을 죽이거나 성장을 지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 세균에는 간균(Bacilli), 쌍구균(Diplococci), 연쇄구균(Streptococci), 포도상구균(Staphylococci)이 있다. 2. 항균화학요법의 기본개념 항생작용(antibiosis)은 미생물 상호간에 생존 경쟁의 현상으로 나타나는 상호 길항작용이다. 항생물질, 항생제(antibiotics)는 어떤 생물 또는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물질로서 다른 미생물의 성장 및 발육을 억제 또는 사멸시킨다. ...2025.01.23
-
요로감염 간호진단2025.01.141. 요로감염 이란? 요로감염이란 신장, 요로와 같은 상부요로나 방광 요관과 같은 하부요로에서 세균이 침입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하며 감염의 유형으로는 감염에 따른 분류와 해부학적, 기능적, 기저질환 이상 유무에 따라 구분된다. 이러한 요로감염은 7%의 영아와 아동에서 발병하는 아동기에서 흔한 질환이며 포경수술 받지 않은 3개월 미만 남아와 12개월 이하의 여아는 요로감염의 발생률이 가장 높다. 2. 요로감염 발생원인 요로감염은 대장균이 가장 흔한 병원균이며, 여아가 83%로 남아 50%보다 발병율이 높다. 요로감염과 관련있...2025.01.14
-
병원미생물학: 그람양성균, 항산성균, 장내세균2025.11.121. 그람 양성 막대균 Bacillus anthracis(탄저균), Corynebacterium diphtheriae(디프테리아균), Listeria monocytogenes, Erysipelothrix, Lactobacillus 등이 포함됨. 탄저균은 토양에 서식하며 협막을 형성하고 탄저열 독소를 생성함. 디프테리아균은 목구멍에 서식하며 호흡으로 감염되어 회백색 위막을 형성함. Listeria monocytogenes는 신생아와 면역약화 성인에게 수막염과 패혈증을 일으킴. 대부분 Penicillin에 감수성이며 백신 투여로 예방 ...2025.11.12
-
6개월 남아의 급성 신우신염(UTI) 사례2025.01.151. 요로감염(UTI) 요로감염은 신장, 요관, 방광, 요도와 전립선 등 요로에 세균이 침범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아동기에 호흡기계 다음으로 흔한 질환이고, 영아기에 가장 흔한 세균성 질환이다. 요로계 기형을 동반한 경우가 많으며(15-50%) 치료가 지연되거나 감염이 반복되는 경우 신장 반흔이 생길 수 있다. 이는 고혈압과 신부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 급성 신우신염(APN) 급성 신우신염은 요로감염의 한 종류로, 신장이 염증성 부종으로 커지며, 신우와 신배의 점막은 두꺼워져 있고 울혈이 보인다. 신피질에서는 급성 ...2025.01.15
-
방광염(cystitis)의 정의, 병태생리 및 치료2025.01.161. 방광염(cystitis) 방광염은 방광벽의 염증으로 주로 상행성 세균 감염으로 일어나며,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방광염의 병태생리는 여성의 요도가 짧고 질과 항문이 가까워 세균에 쉽게 오염되기 때문이다. 또한 성관계, 살정제 사용 등으로 인해 방광염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요관의 기계적 압박이나 호르몬 변화로 인한 요정체와 요역류도 병원균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1. 방광염(cystitis) 방광염은 방광 내부의 점막이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배뇨 시 통증, 빈뇨, 긴급성 등이 있습니다. 대부...2025.01.16
-
Staphylococcus aureus 정성시험2025.01.241.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는 Gram-positive 구균으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균 중 하나이다. 이 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인간의 호흡계통 및 피부 등에서 자주 발견된다. 식품 내에서 증식하면서 생성된 장독소(enterotoxin)를 섭취하면 독소형 식중독이 발생한다. S. aureus는 식중독균 중 잠복기가 가장 짧은 것이 특징이며, 보통 섭취 후 1-5시간 후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은 약 7시간 동안 지속된다. 2. TSB(Tryp...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