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9개
-
Lesson16 실험보고서 (2023)2025.05.101. 혈압 측정 이번 실험에서는 동일한 조건에서 피험자의 오른팔과 왼팔의 동맥 혈압이 어떻게 변하는지, Korotkoff 소리를 어느 때에 들을 수 있는지 확인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수축기압과 이완기압, 맥압 등이 피험자의 자세와 운동 전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혈압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요인들에 대해서도 분석하였습니다. 2. 혈압과 혈류의 관계 실험에서는 혈압, 혈류, 저항의 관계를 설명하는 F=P/R 공식을 바탕으로 심장 주기에 따른 동맥 혈압과 혈류의 변화를 확인하였습니다. 수축기 압력은...2025.05.10
-
내과계중환자실사전학습2025.04.261. ABGA 및 lab 수치 확인 내과계 중환자실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ABGA와 lab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생리적 변화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2. 지속적인 동맥압 측정 내과계 중환자실에서는 환자의 동맥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A-line을 삽입하여 실시간으로 동맥압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A-line 삽입 부위로는 요골동맥, 상완동맥, 대퇴동맥, 족배동맥 등이 사용됩니다. 3. 혈관작용 약물의 평가 내과...2025.04.26
-
A-line, C-line, Mean BP(MBP)2025.01.131. A-line (arterial line) A-line은 지속적인 혈압 측정, 반복적인 동맥혈 채취, 혈관작용 약물의 평가 등을 위해 사용됩니다. 주로 요골동맥, 상완동맥, 대퇴동맥, 족배동맥 등에 삽입됩니다. 요골동맥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대퇴동맥은 천공 합병증 위험이 높습니다. 2. Mean BP (MBP) Mean BP는 (수축기 혈압 + 이완기 혈압*2)/3 공식으로 계산되며, 60mmHg 이상이면 장기로 가는 혈류 유지와 조직 산소화가 잘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C-line (central venous line...2025.01.13
-
성인간호학 혈역학모니터 보고서2025.04.281. 침습적 혈역학 감시 혈역학 감시는 환자의 혈역학 상태를 평가하고, 의료진으로 하여금 심혈관계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 및 중재의 지침을 제공함과 동시에 중재 후 결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침습적 혈역학 감시란 말초동맥, 중심정맥, 폐동맥 등에 침습적인 카테터를 삽입하여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환자의 혈역학 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혈역학 지표로는 심박수, 동맥압,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심박출량 등을 포함한다. 2.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 중심정맥압은 전신순환으로부터 ...2025.04.28
-
성인간호학 심장파트 요점정리2025.11.141. 심장의 구조와 위치 심장은 제3~5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한 근육기관으로, 신체 중심선에서 약간 좌측으로 치우쳐 있습니다. 약 12cm 정도의 자기 주먹만한 크기이며 약 300g의 무게를 가집니다. 심장은 혈액을 펌프질하여 전신에 공급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2. 동맥압과 혈압 혈압은 일반적으로 동맥압을 의미하며, 수축기압은 심장수축기에 혈액 분출 시 최고 압력이고, 확장기압은 심장확장기의 최저 압력입니다. 맥압은 수축기압에서 확장기압을 뺀 값으로 심장 수축력을 나타냅니다. 정상 혈압 범위는 120/80mmHg입니다. 3. ...2025.11.14
-
중환자간호실습 선행학습, 시뮬레이션 시험준비 공부용 자료2025.05.091. ABGA(동맥혈가스분석) ABGA는 동맥혈가스분석(Arterial blood gas study)을 의미합니다. 정상범위는 pH 7.35-7.45, PaCO2 35-45 mmHg, PaO2 80-100 mmHg, HCO3 22-26 mEq/L, SaO2 95-100%입니다. 2. CVP(중심정맥압) CVP는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을 측정하는 것으로, 우심계 기능이나 울혈심부전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중심정맥카테터나 스완간즈카테터를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정상치는 2-8mmHg(5-10cmH2O)입니다...2025.05.09
-
심장과 목혈관 건강사정 및 간호 검진2025.11.161.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심장은 혈액을 순환시키는 순환계의 중추 기관으로, 주기적인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혈액을 온몸에 공급하는 펌프 역할을 한다. 심장은 제2늑간에서 제5늑간에 위치하며, 4개의 방(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으로 구성된다. 심벽은 심낭, 심근층, 심내막의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4개의 판막(삼첨판, 승모판, 대동맥판막, 폐동맥판막)이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다. 2. 심장 전도계와 심전도 심장은 자동능력을 가져 독립적으로 수축한다. 전기 자극은 동방결절(SA)에서 발생하여 방실결절(AV), 히스...2025.11.16
-
중환자실 혈역학적 모니터링 과제2025.01.091. 혈역학적 모니터링 혈역학적 감시(hemodynamic monitoring)는 혈역학적 불안정성을 보이는 중증 환자에서 진단과 치료를 목적으로 혈역학 지표들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심전도(EKG), 비침습적 혈압(NIBP), 산소포화도 측정(pulse oximetry), 시간당 소변 배출량 등의 비침습적 방법과 중심정맥압(CVP), 동맥압(ABP), 폐동맥압(PAP) 등의 침습적 방법이 사용된다. 이를 통해 심폐기능, 혈장량, 관류 상태를 평가하여 중증 환자의 치료에 활용한다. 1. 혈역학적 모니터링 혈역학적 모니터...2025.01.09
-
지주막하출혈(SAH) 환자의 간호진단 및 중재2025.11.161.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SAH)의 정의 및 병태생리 지주막하출혈은 거미막 밑공간에 생기는 출혈로, 가장 흔한 원인은 윌리스 환에 생긴 동맥류의 파열이다. 뇌동맥류는 뇌의 동맥이 주머니처럼 늘어나거나 확장된 것으로, 약 90%가 선천적이며 약 80%는 윌리스 환에 생긴다. 여성에게 더 자주 발생하며 30~60세에 흔하다. 동맥류 파열의 원인은 동맥류 주변 혈관의 퇴행성 변화, 고혈압, 혈액 순환의 압력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으로 보인다. 뇌손상으로 인한 뇌막 혈관의 파열도 원인이 될 수 있으며,...2025.11.16
-
저혈량성 쇼크 사정, 증상, 간호중재2025.05.011. 저혈량성 쇼크 사정 저혈량성 쇼크 환자 사정 시 비침습적 사정과 침습적 사정 방법을 포함합니다. 비침습적 사정에는 전신상태, 호흡, 맥박, 혈압, 체온, 의식상태, 관절운동, 피부점막, 경정맥 팽대, 호흡양상, 통증, 복부/사지 둘레, 심음, 폐활량 측정 등이 있습니다. 침습적 사정에는 중심정맥압, 동맥내압, 폐동맥압, 심박출량 측정 등이 포함됩니다. 2. 저혈량성 쇼크 증상 저혈량성 쇼크의 주요 증상으로는 심혈관계(심박출량 감소, 수축기 혈압 저하, 맥박 증가, 맥압 감소, 체위성 저혈압, 중심정맥압 저하, 말초 저항 증가)...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