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4개
-
단위조작실험 A+ 레포트 액체확산계수2025.01.281. 액체 확산계수 실험을 통해 1M NaCl 용액을 증류수에 확산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Fick의 확산 제1법칙을 이용하여 액체 확산계수를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액체 확산계수는 0.002508 cm2/s로 나타났으며, 이론값 0.00251 cm2/s와 비교했을 때 오차율이 16800.2695%로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차의 주요 원인으로는 확산 셀에 묻어 있던 NaCl 용액, 확산 셀 내부의 기포, stirring 오류, 물 유출, 그리고 conductivity probe의 오...2025.01.28
-
고체전해질 결과레포트2025.05.051. 고체전해질(Cu2HgI4) 이번 실험에서는 Cu2HgI4(copper(Ⅰ) tetraiodomercurate(Ⅱ))를 합성하고, 상변화에 따른 색과 전기 전도성의 변화를 관찰했다. Cu2HgI4는 결정격자 결함을 갖고 있는 tetragonal unit cell 구조이며, 67℃에서 붉은색에서 보라색으로 변화한다. 이는 구조 변화에 기인하는데, 낮은 온도에서는 Cu+와 Hg2+층이 분리되어 I-이온층 사이에 싸여있지만 높은 온도에서는 양이온들이 자유롭게 움직이고 사면체 공간에 무작위로 채워져 불규칙한 큐빅 구조로 상변화가 일어난...2025.05.05
-
물리화학실험 edtermination of conductivity coefficent 실험보고서2025.05.051. 전해질 용액의 전기 전도도 측정 이번 실험에서는 KCl, CaCl2, KMnO4 수용액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각 이온의 이동도를 계산하였다. 농도별 당량전도도와 전도도상수를 구하고, 이를 통해 이온의 이동도를 계산하였다. 오차율은 5-10% 정도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강전해질일수록 이온화가 많이 일어나 당량전도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농도가 낮아질수록 이온의 활동면적이 넓어져 당량전도도가 높게 나타났다. 1. 전해질 용액의 전기 전도도 측정 전해질 용액의 전기 전도도 측정은 용액 내 이온의 농도와 이동도를 ...2025.05.05
-
[일반화학실험] A+ 이온과 전기전도도 예비보고서2025.01.231. 전해질과 비전해질 전해질은 전기를 전도할 수 있는 이온들로 이루어진 물질이며, 예시로는 염화나트륨, 황산, 염산 등이 있다. 이에 반해 비전해질은 전기적으로 중성인 물질이며 이온이 존재하지 않거나 전자가 자유롭게 이동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예시로는 물, 에탄올, 설탕 등이 있다. 2. 강전해질과 약전해질 강전해질은 이온들이 빠르게 전기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진 용액을 의미하며, 알칼리, 산, 소금물이 해당된다. 약전해질은 전기적으로 이동하는 이온들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낮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용액...2025.01.23
-
화학실험 예비레포트 6. 이온과 전기전도도2025.05.141. LED LED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하여 p-n 접합을 만들고, 여기에 순방향의 전압을 걸어주어 전자나 정공이 p-n 접합 부분에서 재결합하며 빛을 방출하도록 한 장치이다. LED에서 방출하는 여러 가지의 다양한 색을 얻기 위해서 여러 가지 종류의 많은 반도체가 사용되고, 각각의 반도체에 따라서 LED에서 빛을 방출하기위해서 필요한 최소한의 전압은 서로 다르다. 보통은 붉은색 또는 오렌지색의 LED는 ~2V의 forward voltage를 가지는데, 초록색 또는 푸른색 LED는 ~3.5V의 forward vol...2025.05.14
-
Faraday의 얼음통 실험 보고서2025.01.231. Faraday의 얼음통 실험 이 실험은 마찰판의 전하량과 얼음통의 내부 금속통에 유도된 전하량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마찰판을 얼음통에 접촉하지 않고 넣었다가 꺼냈을 때는 전하량이 0이었지만, 접촉한 후 꺼냈을 때는 전하가 전달되어 전위계에 전압이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처음 마찰판의 전하량)-(얼음통 내부 금속통에 유도된 전하량)=(나중 마찰판의 전하량)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2. 정전기 유도 현상 두 개의 도체 구를 이용한 실험에서 정전기 유도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구A에 1000V의 전압이 걸려있어...2025.01.23
-
전자기적특성평가_면저항 결과보고서2025.01.081. 박막 박막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중요한 재료 중 하나이며, 두께가 나노미터에서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얇은 막을 의미한다. 박막의 특성을 확인할 때 면저항은 가장 적합한 특성평가 방법이다. 실험을 통해 박막의 종류와 전기전도율, 비저항, 면저항의 이론을 이해하고 면저항과 비저항의 차이를 알아볼 수 있다. 2. ITO ITO(Indium Tin Oxide)는 산화인듐과 산화주석의 혼합물로 구성된 투명하고 전도성 있는 박막이다. ITO는 우수한 전기 전도성과 투명성으로 인해 다양한 전자기기와 광전자 응용 분야에 널리 사용되지만, 인...2025.01.08
-
금오공대 신소재 전자재료2 11장 과제2025.01.271. Hagen-Rubens Eq 저주파 영역에서 금속의 전기 전도도와 반사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Hagen-Rubens 방정식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금속의 순도가 증가할수록 전기 전도도가 감소하며, 적외선 영역에서 전도도가 큰 금속일수록 반사도가 크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온도가 증가할수록 전기 전도도와 반사도가 감소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2. plasma frequency 금속의 플라즈마 진동수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마 진동수는 실질적으로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굴절률 n과 소광계수 k로부터 구할 수 있...2025.01.27
-
숭실대 신소재공학실험1) 14주차 고분자 디바이스 결과보고서2025.01.141. 고분자 디바이스 이 보고서는 숭실대학교 신소재공학실험 수업의 14주차 실험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실험의 목적은 O2 Plasma, Spin coater 등의 사용법을 이해하고, UV-vis, 4-point probe 등 장비의 원리를 이해하며, GO와 rGO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실험 방법으로는 PET film을 O2 Plasma 처리, GO 용액을 스핀 코팅, GO를 질소와 하이드라진 환경에서 환원시켜 rGO 제작, 4-Point probe를 통한 면저항 측정, UV-vis를 통한 흡광도 측정 등이 포함됩니다. 실...2025.01.14
-
서울대학교, 화학실험, 만점, A+, 화학전지 결과보고서2025.01.291. 전기전도도 실험을 통해 소금과 설탕의 고체 및 수용액 상태에서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소금은 고체와 수용액 상태에서 모두 전기전도성이 있었지만, 수용액 상태에서 더 강한 전기전도성을 보였다. 반면 설탕은 전기전도성이 매우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금의 경우 이온 결합으로 인해 이온이 쉽게 생성되지만, 설탕은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져 이온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2. 금속의 반응성 구리, 아연, 납 금속을 각각의 금속 용액에 넣어 반응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아연이 가장 강한 반응성을 보였고, 납, 구리 순으로 반응성이 낮...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