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9개
-
전자회로실험 과탑 A+ 예비 보고서 (실험 21 차동 증폭기 심화 실험)2025.01.291. 차동 증폭기 이 실험에서는 능동 부하를 사용한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를 구성하여, 전압 이득과 CMRR을 측정하고자 한다. 주요 동작 원리는 입력 트랜지스터(M1, M2)가 차동 입력 신호를 증폭하고, 전류 거울(M3, M4)이 정전류원을 구성하며, 부하 트랜지스터(M5, M6)가 능동 부하로 작동하여 높은 출력 저항과 전압 이득을 제공한다. 이 회로는 높은 선형성과 잡음 억제 특성으로 고성능 아날로그 설계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2. 공통 모드 제거비(CMRR) 차동 증폭기의 공통 모드 제...2025.01.29
-
중앙대학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결과 보고서2025.01.041. Wien bridge oscillator 구현 이번 실험실습에서는 신호발생기를 소자의 값을 조절하여 원하는 주파수에서 발진시키고, 이때의 발진주파수와 출력파형의 최대치를 관찰하였습니다. 그 결과 4-4-2의 회로의 경우 출력파형이 완벽한 사인파가 아니었지만, Gain 값과 발진주파수 모두 설계값과 비슷하였고, 4-4-3의 회로의 경우 4-4-2의 회로에서 다이오드를 추가하여 왜곡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Gain 값과 발진주파수 모두 설계값과의 오차가 감소하였습니다. 2. 안정된 Wien bridge oscill...2025.01.04
-
중앙대학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예비 보고서2025.01.041. Wien bridge RC 발진기 Wien bridge RC 발진기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신호 발생기입니다. 이 실습에서는 Wien bridge RC 발진기를 설계하고 제작하여 동작을 확인하였습니다. 발진 주파수 1.63 kHz에서 발진하도록 회로를 설계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출력 파형과 FFT 분석을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출력 신호를 안정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습니다. 1. Wien bridge RC 발진기 Wien bridge RC 발진기는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발진기로,...2025.01.04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결과) - 카운터 설계 A+2025.01.291. 동기 8진 카운터 설계 실험 조 (김민정, 김보민, 조선, 최수빈)은 동기 8진 카운터 회로를 설계하였습니다. 회로 구성은 그림 11-1과 같이 3개의 플립플롭을 사용하여 구현하였고, 출력 Q1, Q2, Q3에 LED를 연결하였습니다. 버튼 스위치를 통해 카운터를 동작시키고, 채터링 방지 회로를 추가하여 첫 번째 플립플롭의 CLK 단자에 연결하였습니다. 버튼을 누르면서 카운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였고, 채터링 방지 회로를 거치지 않고 버튼 스위치 출력을 연결했을 때의 결과와 비교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동기 8진 카운터...2025.01.29
-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예비)설계실습 4. 신호발생기 A+2025.01.291. Wien bridge 회로 설계 주어진 Wien bridge 회로에서 V+와 V-의 관계식을 구하고, 1.63 kHz에서 발진하는 Wien bridge 회로를 설계하였습니다. 발진 조건을 만족하는 R1, R2 값을 계산하여 회로를 구현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출력 파형과 FFT plot을 확인하였습니다. 2. Wien bridge oscillator 안정화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Wien bridge oscillator를 안정화하는 회로를 설계하였습니다. 대신호에서 다이오드 하나가 Forward bias되어 피드백 저항과 Op ...2025.01.29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결과보고서4 신호발생기2025.05.151. Wien bridge oscillator 이번 실험에서는 Wien bridge oscillator를 구현하고 op amp의 gain 값을 변화시켜가며 출력파형과 frequency를 확인하였다. 발진주파수와 그때의 파형을 확인하였고, 추가적으로 저항과 다이오드를 병렬 연결하여 파형의 안정화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대체로 계획서에서 목표한 바와 가까운 값이 도출되었으나, 출력전압의 최댓값과 frequency 값이 약 10% 정도 낮게 나왔다. 이는 op amp 내부 저항 등의 문제로 인해 이론상 15V보다 낮은 13~14V가 출...2025.05.15
-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예비)설계실습 5. 전압제어발진기 A+2025.01.291. 슈미츠 회로의 특성 실험에 사용될 IC(UA741)의 데이터시트를 참조하여 중요한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주요 특성으로는 공급전압 범위, 입력전압 범위, 입력 오프셋 전압, 이득대역폭 곱, 출력전압 스윙 범위, 입력 저항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실험 설계를 해야 합니다. 2. 슈미츠 트리거 회로 설계 P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해 Vdd=+5V, Vth=2.5V인 슈미츠 트리거 회로를 설계하였습니다. 저항 R1과 R2의 값을 계산하여 회로를 구현하였고, DC sweep 시뮬레이션 결과 Vth가 2.5V인...2025.01.29
-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 실습 실습2_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_예비보고서2025.01.211.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의 동작 원리와 회로 모듈을 이해하여 SMPS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준비물로는 PWM UC3845, MOSFET IRF540, Inductor, Capacitor, 저항, 가변저항, Diode, Inverter 등이 필요하며, 오실로스코프, 브레드보드, 파워서플라이, 함수발생기 등의 장비를 사용합니다. 설계 실습으로는 PWM 제어 회로 설계, Buck Converter 회로 ...2025.01.21
-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 실습 실습4_신호발생기_결과보고서2025.01.211. 신호 발생기 이번 실험에서는 Wien bridge RC 발진기를 이용하여 신호 발생기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가변 저항과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에서 발진하는 회로를 구현하였고, 가변 저항을 조정하여 출력 파형의 왜곡을 관찰하였다. 또한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왜곡을 줄이는 회로를 설계하고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예상한 발진 주파수와 실제 측정된 주파수 사이에 약 8%의 오차가 있었으며, 이는 저항과 커패시터 값의 오차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실험 목적을 달성하였으며, 신호 발생기의 구조와 출력 파형 특성에...2025.01.21
-
중앙대학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예비 보고서2025.01.041. PWM 제어 회로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회로는 출력 전압의 오차분만큼 펄스폭을 조정하여 출력 전압을 안정화 시키는 회로입니다.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한 오차를 검출하여 증폭하는 오차 증폭기(Error Amp)와 검출된 오차 전압과 톱니파를 비교하여 구형파 펄스를 발생시키는 비교기(Comparator) 그리고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Converter의 스위치를 구동하는 구동회로(Driver stage)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Buck Converter Buck Converter는...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