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개
-
PCR 분자 마커에 의한 식물병원균 동정2025.01.141. 미생물 분류 미생물은 지권, 수권, 기권의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풍부한 현존량으로 환경의 항산성 유지와 물질 순환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식물병원체의 감염, 항생물질 생산, 자연 정화 및 식량자원 등 유용‧유해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미생물의 분류는 현미경과 배양적 특성 및 이화학적 특성에 의존하여 현재까지 분류체계가 지속되고 있다. 2. PCR 기술 PCR은 표적 핵산을 증폭하여 검출하는 검사법으로 1988년 Saiki에 의해 온천 지역과 같은 고온에서 생육하는 세균인 Thermus aquotus로부터 열에 안정한 ...2025.01.14
-
미생물 분류학 실험보고서: 16S rRNA를 이용한 미생물 동정2025.11.151. 미생물의 순수배양 및 분리 방법 미생물 순수배양은 한천배지에서 단일 종만 존재하는 상태에서 배양하는 과정입니다. 도말평판법은 백금으로 균을 찍어 평판배지 위에서 지그재그로 연속 도말하여 균의 수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이고, 주입평판법은 희석한 시료를 45℃의 한천배지와 섞어 배양하는 방법입니다. 표면도말법은 희석된 시료를 한천배지에 도말하여 집락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액체배지에서는 희석법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희석된 배지에 접종합니다. 2. 중합효소연쇄반응(PCR)과 16S rRNA 분석 PCR은 특정 표적 유전물질을 증...2025.11.15
-
동물·식물 세포 구조 및 분열 관찰, 미생물 분리를 통한 생물 다양성과 분류 방법 고찰2025.01.291. 동물 및 식물 세포의 구조와 모양 비교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구조와 모양을 비교 관찰하였다. 동물세포인 구강 상피 세포는 불규칙한 모양과 배열을 보였고, 세포질과 핵이 모두 염색되었다. 반면 식물세포인 양파 표피 세포는 규칙적인 배열을 보였고, 핵만 염색되었다. 이는 식물세포의 세포벽이 세포 구조 유지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식물세포가 동물세포보다 크게 관찰된 이유도 세포벽 때문이다. 하지만 세포 소기관들은 광학 현미경으로는 관찰하기 어려워, TEM이나 원심분리 등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2. 체세포 분열과 감수분열 관찰...2025.01.29
-
The great plate count anomaly 실험보고서2025.11.151. The great plate count anomaly Staley와 Konopka가 제시한 용어로, agar media에 군집을 형성하는 자연 환경의 세포 수와 현미경 검사를 통해 셀 수 있는 세포의 규모 차이를 설명한다. 이는 해양 생태계에서 잘 연구된 현상으로, 배양 배지에서 자라는 미생물의 수와 실제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수 사이의 불일치를 나타낸다. 2. 배지의 재료에 따른 분류 천연배지는 화학조성이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은 천연물로 만들어진 배지(감자한천, 오트밀 배지, 볏짚 배지 등)이다. 합성배지는 화학조성이 ...2025.11.15
-
원생생물 분류 및 동정 보고서2025.11.161. 와편모류(Dinoflagellates) Gymnodinium, Dinophysis tirpos, Gonyaulax grindleyl 등의 와편모류는 올리브색, 갈색, 적갈색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포 내 초록색 알갱이를 포함한다. 이들은 찌그러진 사각형 형태이거나 원에 가까운 형태를 보이며, 일부는 뾰족한 부분이 나와있는 특징을 가진다. 현미경 관찰 시 투명한 내부 구조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2. 규조류(Diatoms) Nitzschia fonticola, Thalassiosira lacustris, Coconeis p...2025.11.16
-
미생물학 분류 및 식별 기법2025.11.171. 미생물 분류학(Taxonomy) 미생물 분류학은 식별(identification), 분류(classification), 명명법(nomenclature)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 식별은 유기체의 특징을 나타내는 과정이고, 분류는 비슷하거나 관련 있는 집단끼리 유기체를 배열하는 과정이며, 명명법은 이름을 할당하는 것이다. 3역 6계 체계에서는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바탕으로 bacteria, archaea, eukarya 세 가지 영역으로 모든 유기체를 분류한다. 2. 박테리아 식별 기법 박테리아 식별에는 이분법적 ...2025.11.17
-
식품미생물학: 불완전균류의 특성과 분류2025.11.161. 불완전균류의 정의 및 특성 불완전균류는 유성세대가 나타나지 않는 곰팡이로, 무성 생식기관의 형태가 분류의 주요 지표입니다. 대개는 분생자라는 무성 포자를 형성하여 번식하며, 효모 중에는 출아법에 의해 번식하는 Rhodotorula와 Candida가 이 부류에 속합니다. 무성 생식기관에서 분생자병의 끝이 부풀어 정낭을 이루는 특징을 가집니다. 2. Aspergillus와 Penicillium의 산업적 이용 Aspergillus는 전세계적으로 약 200여 종이 존재하며 건조 식품의 부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oryzae는 ...2025.11.16
-
그람염색 예비레포트2025.05.061. 그람양성균 그람염색법에 의하여 자주색으로 변하는 세균으로, 포도상구균, 폐렴균, 나병균, 디프테리아 균, 파상풍균, 탄저균, 방선균 등이 해당한다. 색소나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높고 대사 작용에 아미노산과 비타민을 필요로 한다. 균체외독소를 방출하는데 이 독소의 독작용은 균종에는 강력하지만 가열하면 쉽게 파괴된다. 2. 그람음성균 그람염색법에 의하여 분홍색으로 변하는 세균으로, 살모넬라균, 이질균, 티푸스균, 대장균, 콜레라균, 페스트균 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트리페닐메탄계나 아크리플라빈 색소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고 계면활...2025.05.06
-
미생물학 시험대비 주요개념 핵심정리2025.01.131. 미생물 미생물은 육안으로는 관찰할 수 없고 현미경을 통해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는 아주 작은 생물군입니다. 미생물에는 바이러스, 세균, 진균, 단세포, 조류, 원생동물 등이 포함됩니다. 미생물학은 이들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미생물로 인한 감염병과 감염경로를 밝히며, 여러 산업에 적용하거나 응용하는 학문입니다. 2. 미생물학의 역사 미생물학의 역사를 보면, 로버트 후크가 복합 현미경을 제작하여 최초로 세포를 발견했고, 레디가 미생물 병인설을 확립했으며, 파스퇴르가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살균법과 백신을 개발했습니다. 또한...2025.01.13
-
프로바이오틱스 그람염색 리포트2025.01.121. 그람염색 그람염색은 세균의 세포벽 구조 차이를 이용하여 세균을 분류하는 기초적인 염색법이다. 그람양성균은 세포벽이 펩티도글리칸으로 구성되어 있어 보라색으로 염색되고, 그람음성균은 지질다당질, 지질단백질 등으로 구성된 외막을 가져 붉은색으로 염색된다. 2. 프로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는 건강에 좋은 효과를 주는 살아있는 균을 말하며, 대부분 유산균들이다. 프로바이오틱스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 장에서 증식하고 정착하여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어야 한다. 3. 그람양성균 그람양성균은 세포벽이 여러 겹의 펩티도글리...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