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칸트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2025.01.211. 칸트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칸트는 인식을 통일하기 위해서 반드시 같은 하나의 사유주체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지각내용을 종합, 통일할 수 있는 유일한 사유주체가 없으면 인간의 인식은 순간순간 지각만 존재하며 과거와 현재, 미래의 지각을 종합하고 통일해서 비교하여 같거나 다르다고 판단을 내릴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인간은 어떠한 대상 인식도, 자기 인식도 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인간은 종합, 통일적 대상 인식과 자기 인식을 가지고 있어 하나의 단일한 사유 주체를 가진다. 이러한 주체는 데카르트의 사유하는 실체가...2025.01.21
-
칸트의 인격론과 도덕철학2025.11.141. 칸트의 현상계와 물자체 칸트는 인식 가능한 세계를 '현상세계'로, 객관적 실재를 '물자체'로 구분한다. 물자체의 존재 여부는 증명 불가능하며, 인간은 현상세계만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인간 인식의 한계를 인정하고, 의식 밖의 존재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는 입장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분은 칸트 철학의 핵심적 기초를 이루며, 인간의 인식 능력과 그 한계를 명확히 한다. 2. 최상의 선과 도덕적 추구 칸트에 따르면 인간은 올바름(도덕적 선)을 추구해야 한다. 최상의 선은 완전성, 무한함, 영원성, 대체 불가능함의 속성을 가지...2025.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