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6개
-
CPU의 논리회로 구성에서 연산장치와 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하세요2025.05.141. 연산장치 ALU CPU(Central Processing Unit)는 명령어를 실행하고 계산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 CPU 내에서 산술 논리 장치(ALU)는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ALU는 이진 데이터에 대한 수학적 계산과 논리적 비교를 수행하는 디지털 회로이다. 주요 기능은 산술 연산, 논리 연산, 데이터 비교를 포함한다. ALU는 가산기, 멀티플렉서, 논리 게이트 및 레지스터와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로 구성되며, CU와 밀접하게 상호 작용한다. 2. 제어 장치(CU)...2025.05.14
-
시스템프로그래밍 레지스터의 역할과 종류2025.05.091. 레지스터의 종류 레지스터에는 데이터 레지스터, 포인터 레지스터, 인덱스 레지스터, 플래그 레지스터, 세그먼트 레지스터 등이 있다. 데이터 레지스터는 일시적인 결과를 기록하고, 포인터 레지스터는 스택 포인터와 베이스 포인터로 구성되어 스택 조작에 사용된다. 인덱스 레지스터는 데이터의 주소를 저장하고, 플래그 레지스터는 연산 결과의 정보를 저장한다. 세그먼트 레지스터는 세그먼트의 시작 주소를 저장한다. 2. 논리주소와 물리 주소의 관계 8086에서 출력된 주소 데이터는 세그먼트 레지스터 값을 4비트 시프트 한 것에 오프셋 값을 가...2025.05.09
-
방통대 방송대 컴퓨터구조 출석수업과제물 A+2025.01.261. 프로그램 카운터(PC) 프로그램 카운터(PC)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위치를 가리키는 역할을 하며, 명령어가 실행되면 다음 명령어의 위치로 이동하게 됩니다. 주어진 프로그램에서 PC는 550이라는 위치에 있으며, 이 위치가 프로그램의 시작 주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주소 지정 방식 명령어의 내용은 'AC에 적재하라'이며, 이진수로 변환되어 저장되어 있습니다. 주소 지정 방식도 문제에서 나온대로 '직접주소', '즉치주소' 등이 이진수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주소 지정 방식에는 직접 주소 지정, 즉치 주소 지정, 간접 주소...2025.01.26
-
컴퓨터에서 숫자 표현과 중앙처리장치 동작 원리2025.05.111. 보수의 개념 보수(Complement)는 '보충을 해주는 수'라는 의미로 컴퓨터가 뺄셈을 할 때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보수는 2의 보수와 1의 보수로 나뉩니다. 2의 보수는 어떤 수의 1의 보수에 1을 더한 값이며, 1의 보수는 비트를 반전시킨 값입니다. 보수는 컴퓨터에서 음수를 표현하거나 덧셈과 뺄셈 연산 등에서 사용됩니다. 2. 보수체계 사용 이유 보수체계는 컴퓨터에서 수의 표현과 연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컴퓨터는 연산체계에서 덧셈기능만 할 수 있는데, 보수를 이용하면 뺄셈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2025.05.11
-
디지털논리회로 나눗셈기 설계 보고서2025.05.081. 나눗셈기 알고리즘 나눗셈기 알고리즘은 피제수와 제수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뺄셈과 시프트 연산을 통해 구현됩니다. 피제수를 왼쪽으로 이동하고 제수를 빼는 과정을 반복하여 몫과 나머지를 구합니다. 이 과정에서 오버플로우 방지를 위해 피제수의 LSB가 제수의 LSB보다 커야 한다는 조건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레지스터 구성, 시스템 블록 설계, ASMD 차트, 제어기 설계, 데이터패스 설계 등의 과정을 거쳐 나눗셈기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2. 시스템 블록 설계 시스템 블록도에는 클락 신호, 시작 신호, 레지스터 로...2025.05.08
-
[A+, 에리카] 2021-1학기 논리설계및실험 Register 실험결과보고서2025.05.011. 레지스터 레지스터는 공동의 clock input과 여러 그룹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진수 데이터를 저장하고 바꾸는 데에 주로 사용됩니다. 레지스터는 특정한 목적으로 외부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이며 데이터를 읽고 쓰는 기능이 매우 빠르고 중앙처리 장치 안에 사용됩니다. 2. 직렬 입력 vs 병렬 입력, 직렬 출력 vs 병렬 출력 직렬 입력 -> 직렬 출력: 데이터를 입력하면 제어 신호와 함께 레지스터를 거쳐 데이터가 출력됩니다. 직렬 입력 -> 병렬 출력: 데이터를 입력하면 제어 신호와 함께 레지스터를 거쳐 ...2025.05.01
-
컴퓨터구조_컴퓨터구조 과제12025.01.241. 레지스터 수와 비트 수 결정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를 설계할 때 레지스터의 수와 비트 수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레지스터는 매우 빠르게 작동하는 메모리로, CPU의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이지만, 주기억장치에 비해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레지스터의 수와 비트 수를 결정할 때는 성능과 비용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2. 개발 시간과 노력 레지스터의 수와 비트 수를 결정하는 데 있어 첫 번째로 고려해야 할 요소는 개발 시간과 노력이다. 레지스터는 CPU 내부...2025.01.24
-
디지털공학개론(1. 카운터의 응용으로 디지털 시계의 회로도를 완성해 가는 과정 설명/ 2.4가지 기본형 레지스터의 분류에 속하는 IC들 정리)2025.04.271. 디지털 시계의 회로도 구성 디지털 시계의 회로도는 발진회로, 분주회로, 카운터 회로, 디코더 및 드라이브 회로로 구성된다. 발진회로는 안정적인 클록 신호를 제공하며, 분주회로는 1Hz 구형파를 생성한다. 카운터 회로는 분, 초, 시 단위의 시간을 계산하고, 디코더 및 드라이브 회로는 이를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2. 발진회로의 구현 방식 디지털 시계의 발진회로는 3가지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1) 가정용 220V 전원의 60Hz 주파수 사용, 2) CR 발진회로 사용, 3) 수정 발진자(Crystal Oscill...2025.04.27
-
운영체제 컴퓨터 시스템 구성과 동작 레포트 과제제출 시험대비2025.05.021. 레지스터의 명칭 및 기능 IR(색인 레지스터), MAR(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PSR(프로세스 상태 레지스터), MBR(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PC(프로그램 카운터), DR(데이터 레지스터), AC(누산기), MQR(MQ 레지스터, 피승수 몫 레지스터)와 같은 레지스터의 명칭과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캐시 메모리 캐시 메모리의 정의, 위치, 특징, 장단점, 필요성, 동작과정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3. 인터럽트 인터럽트의 정의, 필요성, 동작과정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1. 레지스터의 명칭 ...2025.05.02
-
4가지 기본형 레지스터의 분류에 속하는 IC들2025.01.241. 4가지 기본형 레지스터의 개념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웨어 장치로, 4가지 기본형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 이 중, 누산기는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레지스터로, 누적값을 저장하면서 새로운 값을 더해주는 역할을 한다. 카운터는 정해진 범위 내에서 숫자를 세는 레지스터로, 주로 시간 측정 등에 사용된다. 쉬프트 레지스터는 입력된 비트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레지스터로, 데이터 비트를 이동시켜 연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변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레...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