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개
-
4가지 기본형 레지스터의 분류에 속하는 IC들2025.01.241. 4가지 기본형 레지스터의 개념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웨어 장치로, 4가지 기본형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 이 중, 누산기는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레지스터로, 누적값을 저장하면서 새로운 값을 더해주는 역할을 한다. 카운터는 정해진 범위 내에서 숫자를 세는 레지스터로, 주로 시간 측정 등에 사용된다. 쉬프트 레지스터는 입력된 비트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레지스터로, 데이터 비트를 이동시켜 연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변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레...2025.01.24
-
컴퓨터구조_컴퓨터구조 과제12025.01.241. 레지스터 수와 비트 수 결정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를 설계할 때 레지스터의 수와 비트 수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레지스터는 매우 빠르게 작동하는 메모리로, CPU의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이지만, 주기억장치에 비해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레지스터의 수와 비트 수를 결정할 때는 성능과 비용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2. 개발 시간과 노력 레지스터의 수와 비트 수를 결정하는 데 있어 첫 번째로 고려해야 할 요소는 개발 시간과 노력이다. 레지스터는 CPU 내부...2025.01.24
-
CPU의 논리회로 구성에서 연산장치와 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하세요2025.05.141. 연산장치 ALU CPU(Central Processing Unit)는 명령어를 실행하고 계산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 CPU 내에서 산술 논리 장치(ALU)는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ALU는 이진 데이터에 대한 수학적 계산과 논리적 비교를 수행하는 디지털 회로이다. 주요 기능은 산술 연산, 논리 연산, 데이터 비교를 포함한다. ALU는 가산기, 멀티플렉서, 논리 게이트 및 레지스터와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로 구성되며, CU와 밀접하게 상호 작용한다. 2. 제어 장치(CU)...2025.05.14
-
컴퓨터에서 숫자 표현과 중앙처리장치 동작 원리2025.05.111. 보수의 개념 보수(Complement)는 '보충을 해주는 수'라는 의미로 컴퓨터가 뺄셈을 할 때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보수는 2의 보수와 1의 보수로 나뉩니다. 2의 보수는 어떤 수의 1의 보수에 1을 더한 값이며, 1의 보수는 비트를 반전시킨 값입니다. 보수는 컴퓨터에서 음수를 표현하거나 덧셈과 뺄셈 연산 등에서 사용됩니다. 2. 보수체계 사용 이유 보수체계는 컴퓨터에서 수의 표현과 연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컴퓨터는 연산체계에서 덧셈기능만 할 수 있는데, 보수를 이용하면 뺄셈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2025.05.11
-
[A+, 에리카] 2021-1학기 논리설계및실험 Register 실험결과보고서2025.05.011. 레지스터 레지스터는 공동의 clock input과 여러 그룹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진수 데이터를 저장하고 바꾸는 데에 주로 사용됩니다. 레지스터는 특정한 목적으로 외부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이며 데이터를 읽고 쓰는 기능이 매우 빠르고 중앙처리 장치 안에 사용됩니다. 2. 직렬 입력 vs 병렬 입력, 직렬 출력 vs 병렬 출력 직렬 입력 -> 직렬 출력: 데이터를 입력하면 제어 신호와 함께 레지스터를 거쳐 데이터가 출력됩니다. 직렬 입력 -> 병렬 출력: 데이터를 입력하면 제어 신호와 함께 레지스터를 거쳐 ...2025.05.01
-
인텔 프로세서의 내부구조와 레지스터의 종류 및 역할, 최신 인텔 CPU와 AMD CPU 비교2025.01.031. 인텔 프로세서 내부구조 인텔은 1968년에 설립된 미국 반도체 제조 기업으로, 최초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인 4004를 개발했다. 이후 하드웨어와 컴퓨터 구조 발전으로 성능이 100만 배 이상 향상되었다. 인텔 프로세서에는 16비트, 32비트, 64비트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슈퍼 스칼라 구조를 지니는 펜티엄 프로세서가 대표적이다. 2. 레지스터 종류와 역할 인텔 프로세서의 레지스터에는 범용레지스터, 세그먼트 레지스터, EFLAGS 레지스터가 있다. 범용레지스터는 산술 논리 연산, 주소 계산, 메모리 포인터 저장 등의 목적으로 ...2025.01.03
-
레지스터의 역할과 종류2025.01.031. 레지스터의 역할과 특징 레지스터는 메모리의 일종으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 내부에 있는 여러 개의 비트로 이루어진 고속 데이터 기억장치로써, 소량의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용량은 다른 장치에 비해 낮다. 중앙처리장치는 연산을 위해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레지스터에 옮기고, 연산을 하는 중 결과 값을 레지스터에 임시 저장한다. 레지스터는 CPU와 직접 연결되어있어 연산 속도가 가장 빠르며, CPU는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기에 연산을 위해서는 반드시 레지스터를 이용해야 한다. 2. 레지스터의 종류 레지스터의 종류는 그 쓰임...2025.01.03
-
레지스터의 역할과 종류2025.01.101. 레지스터의 역할 레지스터는 CPU에서 단순한 실행 또는 주기억장치로의 내용 이동 등을 망라한 모든 처리 작업을 위해 필요한 단기적인 '기억(메모리)'을 담당한다. 프로세서는 각각의 프로그램마다 '가상 메모리'를 할당하는 '주소 공간'을 편성하고, 이 주소를 매개로 다른 연산 또는 처리를 위한 기관들과 연결한다. 레지스터는 주기억장치보다 용량은 작지만 속도가 월등히 빠르다. 2. 레지스터의 종류 레지스터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범용 레지스터', '세그먼트 레지스터', 'EFLAGS 레지스터', 'EIP 레지스터', 'FPU ...2025.01.10
-
컴퓨터구조 출석수업 만점2025.01.251. 직접주소 직접주소는 명령어의 주소필드에 직접 오퍼랜드의 주소를 저장시키는 방식이다. LDA ADRS ; AC←M[ADRS] 즉 ADRS=700이고M[700]=900이므로 유효주소는 700, AC에 적재되는 값은 900이다. 2. 간접주소 간접주소는 명령어의 주소필드에 유효주소가 저장 되어있는 기억장치 주소를 기억시키는 방식이다. LDA[ADRS] ; AC←M[M[ADRS]] 즉 M[700]=900으로 M[900]이 되고 M[900]=950 이므로 유효주소는 900, AC에 적재되는 값은 950이다. 3. 인덱스주소 인덱스주소는...2025.01.25
-
마이크로프로세서 ATmega 128의 GPIO 구조 설명2025.05.021.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작은 실리콘 칩 위에 수천만 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한 소자로, CPU 기능의 대부분을 칩 하나에 집적한 CPU형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컴퓨터에 필요한 모든 부품을 하나의 반도체 칩에 집적한 단일 칩 마이크로컴퓨터로 구분된다. 2. ATmega 128의 GPIO 구조 ATmega 128은 64핀의 신호선과 7세트의 FP10 내장 IO 신호선을 가지고 있으며, PA7~PA0, PB7~PB0, PC7~PC0, PD7~PD0, PE7~PE0, PF7~PF0, PG4~PG0 등의 GPIO 신호선을 ...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