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개
-
병동 감염관리2025.05.031. 손위생 손위생을 수행해야 하는 시점과 올바른 손위생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물과 비누를 이용한 손씻기는 40~60초 시행하며, 알코올 제제를 이용한 손씻기는 20~30초 시행합니다. 눈에 보이는 이물질이 있는 경우 물과 비누로, 없는 경우 알코올 제제로 손을 씻습니다. 2. 격리주의 지침 감염위험성에 따른 역(보호)격리가 필요한 대상에 대해 설명합니다. 격리주의 지침에 따라 적절한 격리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3. 다제내성균 종류 및 치료 방법 VRSA, VRE, MRSA, MRPA, MRAB, CRE 등 다양한 다제내성균의...2025.05.03
-
손씻기 QI 활동 결과보고서2025.05.061. 손 위생 수행률 향상 QI 활동을 통해 손 위생 수행률 향상을 목표로 하였음. 1분기 74.5%, 2분기 87.7%, 3분기 92.3%로 점차 증가하였으나 목표치 95%에는 미치지 못하였음. 4분기에는 58.1%로 감소하여 지속적인 개선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손 위생은 감염 전파를 차단하는 비용 효과적인 방법이므로 환자 안전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1. 손 위생 수행률 향상 손 위생은 감염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손 위생 수행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2025.05.06
-
병원 혈액 검사 해석 (외과계중환자실 간호사가 작성한)2025.01.201. 일반진단 검사 CBC검사 항목의 정상치와 그에 따른 의미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WBC, MPV, MCHC, Seg.Neutro, Lymphocyte, Monocyte, Eosinophil, Basophil, RBC, Hb, Platelet, Hct 등의 항목과 정상범위, 증가 및 감소 시 의미를 자세히 기술하고 있습니다. 2. ABGA 검사 ABGA 검사 항목의 정상치와 그에 따른 의미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pH, pCO2, pO2, BE, HCO3, O2 Sat 등의 항목과 정상범위, 증가 및 감소 시 의미를 자세히 기술하고...2025.01.20
-
다제내성균에 대해2025.05.151. 다제내성균이란? 다제내성균(multidrug-resistant organisms 또는 multidrug-resistant bacteria)은 슈퍼박테리아(super-bacteria)라고도 불리며 여러 종류의 항생제(antibiotic)에 대한 내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이 균에 감염되었을 때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거의 없는 세균입니다. 항생제 사용이 증가하면서 세균들이 이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되어 다제내성균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2. 다제내성균의 발생 원인 미생물로 인해 감염 증상이 나타나면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하게 되...2025.05.15
-
항생제 내성균, 항생제 내성균 관리방안, 다제내성균 지정감염병의 종류, 항생제 내성균 법정 감염병 지정2025.05.101. 항생제 내성균(다제 내성균, 슈퍼 박테리아) 항생제를 자주 사용하다 보면 병원균이 항생제에 스스로 저항할 수 있는 힘을 기르게 되어 점점 더 내성이 강해지고, 이 때문에 더 강력한 항생제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다 결국은 어떤 강력한 항생제에도 저항할 수 있는 박테리아가 생겨나기도 하는데, 이를 말한다. 항생제 내성균은 교사와 어린이 간에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옮겨 다니고 있어 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2. 항생제 내성균 관리방안 가장 기본적인 대책은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손위생,...2025.05.10
-
감염관리실_감염관리 위험평가 개선 활동 보고서(Risk Assessment 개선 활동)_병원2025.01.191. 손위생 수행률 증진 00년도 손위생 수행률 75%에서 90%로(4주기 인증 기준 90%) 상승하였습니다. 정기적인 손 위생 교육 실시, 손위생 모니터링 및 결과 분석·피드백 공유, 손위생 챌린지 이벤트 개최 및 우수 수행자 포상 등의 개선 활동을 추진하였습니다. 2. 다제내성균 원내 발생 감소 00년도 다제내성균 발생건수 3건(CRE :1건, MRSA 2건)에서 0건으로 감소하였습니다. 접촉주의 관리 프로세스 개선 및 교육, 정기적 감염 발생 조사, 제한 항생제 리스트 결정 및 항생제 사용 모니터링 등의 개선 활동을 추진하였습...2025.01.19
-
감염관리 PPT2025.05.091. 손위생의 개념 및 방법 손위생의 개념과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손위생은 가장 중요한 감염 예방 방법으로, 올바른 손씻기와 물 없이 적용하는 손소독 방법을 익히고 실천해야 한다. 2. 표준주의 방법 표준주의는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는 기본적인 감염 예방 조치로,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손상된 피부와 점막을 오염원으로 간주하고 이에 따른 예방 조치를 취한다. 3. 주요 다제내성균 다제내성균은 한 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미생물로, VRSA, VRE, MRSA, MRPA, MRAB, CRE 등이 대표적이...2025.05.09
-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및 간호2025.01.041.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몇 안 되는 세균입니다. 국가에서 지정한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RE), 다제내성 녹농균(MRPA),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RAB) 등 6 가지입니다. 이러한 다제내성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 격리, 무균술 적용, 손 위생 실시, 보호구 착용, 의료기구 소독 등의 감염관...2025.01.04
-
약물내성과 전염병보고서 (법정감염병, 다제내성균)2025.01.271. 약물내성 약물내성(drug tolerance)은 약물에 대한 반응이 감소되어서 동일한 약효를 얻기 위해 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것으로 내성 또는 저항성이라고 한다. 약물의 흡수와 대사가 변하는 경우나 생체 세포의 저항성이 증대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알균 (MRSA),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 포도알균 (VRSA), 다제 내성 녹농균 (MRPA), 다제 내성 아시네토 박터균 (MRAB),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VRE), 카바페넴 내성 장세균 (CRE) 등 다양한 약물내성균이 존재하며, 이들은 접촉을 통해 ...2025.01.27
-
다제내성균의 정의와 종류2025.05.091. 다제내성균 다제내성균은 한 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미생물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에는 MRSA, VRE, ESBL, CRPA, CRAB, CRE 등이 있다. 이러한 다제내성균은 의료관련 감염의 주요 원인균이 되었으며, 환자의 사망률, 재원일수, 비용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감염관리의 중요한 목표가 되고 있다. 다제내성균의 출현을 억제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예방지침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2. MRSA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는 메티실린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