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생활한문2024.11.051. 한자의 부수와 의미 1.1. 부수의 의미 구분 및 관련 한자 찾기 부수란 복합한자에 구성요소로 들어가는 한자의 기본 단위를 의미한다. 한자의 기본적인 형태와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이러한 부수는 한자의 부호 역할을 하고 있다. 부수의 의미를 구분하고 그에 해당하는 한자를 찾는 것은 한자 학습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첫 번째로, '尸/戶' 부수를 살펴보면 '尸'는 주검, 시체를 뜻하며 '戶'는 문, 집을 뜻한다. 이 부수들이 포함된 한자로는 '屍(주검 시)', '居(살 거)' 등이 있다. 두 번째로, '厂/广' 부수...2024.11.05
-
중앙대 생활한자2024.10.101. 서론 1.1. 문제제기 인간은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두려는 본성이 있다. 우리가 언어생활을 하는데 있어서도 가능한 한, 쉽고 편리한 문자를 생활에 이용하고자 하는 습성이 있다. 우리의 국자(國字)생활에 있어서도 한자보다는 한글을 사용하는 것이 힘이 덜 들고 편리한 것처럼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획수가 많고 복잡한 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왜 그런 것일까? 한자와 한문을 반드시 배워서 사용해야 하는 것인가? 한자, 한문 교육을 두고 논란이 매우 뜨겁다. 이는 작금의 일이 아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제기되었던 문제...2024.10.10
-
육서2024.10.181. 한자의 구조와 육서 1.1. 한자의 구조 한자의 구조는 문자학 연구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 한자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한자 문자는 형태와 의미 및 발음을 모두 복합적으로 나타내고 있어 그 구조가 매우 정교하다"" 한자의 구조는 크게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전주(轉注), 가차(假借)의 육서(六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상형문자는 실제 사물의 모양을 형상화한 것으로, 가장 초기의 한자 형성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해와 달을 본뜬 일(日...2024.10.18
-
육서2024.10.181. 서론 중국어라는 언어를 이루고 있는 문자, 즉 한자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고 있는 한자와 독음과 일부 한자에 있어서 차이가 있지만 기조를 같이 하고 있으며 그 형성과 구조의 기원은 동일하다. 한자는 우리의 언어의 상당한 영향을 차지하고 있다. 고유 문자가 없던 우리 조상들은 일찍이 삼국 시대 이전부터 한자를 빌려 문자 생활을 영위해 왔다. 한글 창제 이전은 물론 그 이후에도 한자는 우리 조상들이 그들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고 이해하며 자신의 체험을 기록하는 문자 생활의 도구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의 우리들이 우리 조상들...2024.10.18
-
수호전 문화2024.10.111. 중국 문학의 발전과 특징 1.1. 역사적 통일성과 한자의 영향 중국 문학은 약 3천 년의 역사 동안 일정한 통일성을 유지해왔다는 점에서 그 위대성을 찾을 수 있다. 중국의 문화와 사상은 한자라는 문자에 고스란히 담겨 있으며, 한자는 중국 문학이 발전해 온 과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자는 고대 상형문자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이미지를 표현하기 용이하였고, 이는 중국 문학이 생동감 있는 이미지와 함께 정서를 전달할 수 있게 해주었다. 또한 한자는 성조를 가지고 있어 음률적인 조화를 이루는 방식이 일찍부터 발달할 수 있었다. 이처...2024.10.11
-
당나라시대 동아시아 교류2025.06.01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동북아시아 문화교류의 역사에 관한 연구: 배경 및 목적 동북아시아는 오랜 역사 속에서 다양한 문화교류를 통해 발전해온 지역이다.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형성된 동북아시아 문화권은 지리적 인접성과 역사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독특한 문화적 동질성과 다양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들 국가 간의 교류는 단순한 물자 이동을 넘어 사상, 종교, 예술, 기술 등 다양한 문화 요소의 전파와 수용, 그리고 변용의 과정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동북아시아 지역에...2025.06.01
-
베트남어2025.07.201. 서론 1.1. 베트남어의 특성 베트남어는 한자 문화권에 속하여 약 70 ~ 80%가 한자에서 유래되었다. 따라서 한자를 중심으로 베트남어를 학습하는 것이 한국인이 베트남어를 배우기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베트남어의 구어체 또한 한자에 바탕을 두고 만든 베트남 고유문자 쯔놈(chữ Nôm)으로 표기했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베트남어가 한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쯔놈은 기존 한자로 나타낼 수 없는 베트남 고유어를 표기하기 위해 한국의 이두, 향찰과 비슷하게 음과 훈을 모두 사용하고, 추가로 형성 원리에 따라 만든 새로운 글자이...2025.07.20
-
한문 교과 세특2024.11.101. 한문 수업 활동과 과제 1.1. 한자의 원리와 활용 1.1.1. 한자의 3요소와 부수 한자의 3요소와 부수는 다음과 같다. 한자는 크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한자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획, 둘째, 한자의 뜻을 결정짓는 부수, 셋째, 한자의 발음을 나타내는 성부이다. 먼저 획은 한자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선의 단위로, 한자 1자에는 약 5~20개의 획이 포함되어 있다. 획의 종류에는 가로획, 세로획, 점획, 횡획, 사선획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본 획들이 조합되어 복잡한 한자 모양을 형성한다....2024.11.10
-
생활 속 한자2024.09.031. 한자와 사찰 문화 1.1. 한자의 역할과 중요성 우리나라는 고대부터 중국의 문자인 한자를 채용해 왔으며, 한자는 우리의 역사의 일부이자 문화, 예술, 산업 등의 발전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어왔다. 오늘날에도 한자는 우리 생활에 여전히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한자는 문장을 압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고 고사성어나 사자성어를 활용해 간결하면서도 의미 있는 문장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한자로 이루어진 동음이의어를 구분함으로써 그 뜻을 정확히 알 수 있게 해준다. 더불어 우리나라, 중국, 일본, 베트남 등 한자문...2024.09.03
-
한자 문화권의 특징2025.04.281. 한자 문화권의 특징 한자는 은의 갑골문자에 뿌리를 두고 한대에 와서 완성되었다. 한자는 언어가 다르고 아직 문자를 갖지 못한 주변국가에 전파되어 동아시아 세계의 한자문화권을 형성하고 나아가 중국의 사상과 학술의 전파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유교와 불교와 율령체제 역시 한자를 매개로 동아시아 각국으로 전파되어 나갔다. 그러나 한자는 동아시아 체제의 다른 기본 요소들과는 달리 일반대중이 접근하기 어려운 귀족층의 문자라는 성격으로 인해 당대까지는 중국만이 아니라 각국이 모두 계층 간의 심각한 문화의 차별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한자...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