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1개
-
직류 공급전압 400V 부하저항 40 시뮬레이션 파형 확인2024.11.011. 강압형 컨버터 설계 및 PSIM 시뮬레이션 1.1. 강압형 컨버터 설계 1.1.1. 스위칭 주파수 및 맥동 전압 계산 직류 공급전압 Vs = 400 [V], 부하저항 R = 40 [옴], 듀티비 D = 0.4, 인덕터 L = 0.5 [mH], 커패시터 C = 1 [uF]인 강압형 컨버터가 정상상태에서 인덕터가 연 속동작 전류모드(CCM)가 되기 위해서는 스위칭 주파수가 40 kHz가 되어야 한다. 강압형 컨버터의 출력 전압 Vo는 Vo = D × Vs = 0.4 × 400 V = 160 V이다. 이때 부하전류 I0는 I...2024.11.01
-
boost converter 제작2024.10.031. 전력전자 설계 실습 결과 1.1. Boost Converter 동작 실험 1.1.1. 실험 목적 Boost 컨버터의 원리 및 구조를 이해하고, 간단한 Boost 컨버터를 제작하여 직류 전압을 승압시킬 수 있음을 실험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Boost 컨버터는 입력전압보다 높은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는 승압형 DC-DC 컨버터의 하나로, 주로 입력전압보다 높은 출력 전압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Boost 컨버터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로 Boost 컨버터를 제작하여 입력전압을 승압시킬 수 있음을 ...2024.10.03
-
기초전자실험 PSpice 커패시터 보고서2024.11.201. 커패시터의 특성 1.1. 커패시터의 구조 및 원리 커패시터는 전하를 저장하는 수동 전자 부품이다. 커패시터의 구조는 유전체를 가운데 두고 양쪽에 전극이 놓여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유전체는 절연체 역할을 하며, 전극은 도체 역할을 한다. 커패시터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극 사이에 전하가 쌓이게 된다. 즉, 한 전극에는 양(+)전하가, 다른 전극에는 음(-)전하가 축적된다. 이렇게 전하가 축적되는 양을 커패시턴스(Capacitance)라고 하며, 단위는 패럿(Farad, F)이다.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C는 전극의 면...2024.11.20
-
boost converter 제작2024.11.161. 전력전자 설계 실습 및 프로젝트 1.1. Boost Converter 실험 1.1.1. 실험 목적 Boost 컨버터의 실험 목적은 Boost 컨버터의 원리 및 구조를 이해하고, 간단한 Boost 컨버터를 제작하여 직류 전압을 승압시킬 수 있음을 실험하는 것이다. Boost 컨버터는 입력전압보다 높은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는 승압형 DC-DC 컨버터로, 주로 입력전압보다 높은 출력전압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본 실험을 통해 Boost 컨버터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로 제작하여 입력전압을 승압시키는 과정을 확인하고자 ...2024.11.16
-
rlc소자특성2024.10.161. R, L, C 소자의 특성 1.1. R, L, C 소자의 기능과 작용 저항(R)은 옴의 법칙(V=IR)에 따라 전압과는 비례, 전류와는 반비례하는 특성을 가진다. 교류 회로에서 저항에 정현파 전류가 흐르면 전압은 동일한 주파수와 위상의 정현파가 된다. 저항의 실효값은 V=IR로 표현되어 직류에서와 동일한 옴의 법칙이 성립한다. 인덕터(L)는 전류의 변화에 비례하는 전압강하(v=Ldi/dt)를 가진다. 교류 회로에서 인덕터에 정현파 전류가 흐르면 전압은 전류보다 90도 위상이 앞선 정현파가 된다. 인덕터의 실효값은 V=ωLI...2024.10.16
-
금오공대 신소재2024.12.161. 일반물리학실험 2 커패시터 실험 1.1. 실험 목적 저항과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회로에서 커패시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시간적인 변화를 관측하고 회로의 시간상수를 구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즉, 커패시터의 충전 및 방전 과정에서 회로의 시간상수를 실험적으로 구하고 이론적인 계산값과 비교하여 옴의 법칙이 잘 성립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1.2. 관련 이론 그림 29.1과 같이 커패시터와 저항으로 이루어진 회로에서 커패시터가 충전되는 동안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적용해보면 ε - iR - q/C = 0이 ...2024.12.16
-
중앙대학교 전압제어 발진기 설계 실습 예비보고서2024.10.131.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1.1. 실습 목적 전압제어 발진기(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를 설계하고 전압을 이용한 발진 주파수의 제어를 실험으로 확인하는 것이 이번 실습의 목적이다. 구체적으로는 Op-Amp를 이용한 적분기 구조의 Relaxation 타입 전압제어 발진기를 구현하고, 입력 전압 변화에 따른 출력 주파수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압으로 발진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는 VCO의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 회로 설계에 필요한 설계 기법을 익히는 것이 이번 실습...2024.10.13
-
기초회로실험 커패시터2024.10.161. 커패시터의 기본 원리 1.1. 커패시터의 구조 및 동작 원리 도체 두 개가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갈라져 마주보는 형태가 되면 커패시터가 만들어진다. 이 두 도체 사이에 전압이 가해지면 도체에는 전하(electric charge)가 모이게 된다. 이렇게 전하를 저장하는 능력이 커패시터의 기본 성질이다. 이러한 성질을 가진 커패시터는 직류와 교류회로 모두에서 사용된다. 커패시터의 도체를 판(plate)이라고 하는데, 널찍하고 평평한 모양을 하고 있다. 두 개의 도체판 사이에 들어가는 절연체를 유전체(dielectric)라고 한...2024.10.16
-
반파정류회로랑 정류회로에 대한 보고서2024.10.061. 반파 및 전파 정류회로 1.1. 반파 정류회로 반파 정류회로는 교류전압의 파형 중 음의 값을 갖는 부분을 제거해주는 회로이다. 이를 통해 직류 전압을 얻을 수 있다. 반파 정류회로에서는 교류 전압의 양의 반주기 동안에만 전압이 출력되고 나머지 음의 반주기 동안에는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반파 정류회로의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양의 반주기만을 나타낸다. 반파 정류회로는 다이오드와 부하 저항으로 구성된다.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가 걸리면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 바이어스가 걸리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2024.10.06
-
벅컨버터2025.06.111. 벅 컨버터의 개요 1.1. 벅 컨버터의 정의 및 특징 벅 컨버터는 입력 전압에 대해 출력 전압을 낮춰서 사용하기 위한 회로로, 강압형 컨버터 또는 스텝다운 컨버터라고도 불린다. 벅 컨버터는 스위칭 소자가 빠른 주파수로 스위칭하며, LC 필터를 거쳐 출력된다. 다이오드는 스위치 소자가 빠르게 on/off되었을 때 인덕터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 전류가 빠져나갈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빠른 주파수로 동작하기 때문에 쇼트키 다이오드나 Fast recovery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벅 컨버터는 일반 선형 전원회로와는 다르게 다이...2025.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