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1개
-
RC및 RL회로에서 시간에 따른 전압변화를 미분방정식으로 설명2025.04.021. 서론 1.1. RC 및 RL 회로의 과도응답 이해 기본적인 수동소자인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를 서로 조합하여 RC, RL, LC, RLC 회로를 만들 수 있다. RC, RL 1차 회로를 해석하는 것은 수동소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일반적인 아날로그 회로를 해석하는데 아주 유용하다. 한 개의 인덕터나 한 개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회로를 1차 회로라 하며, 회로방정식은 1차 미분방정식 형태로 표현된다. 정상상태에 있는 회로에 입력신호를 인가하였다고 가정할 때, 인가 순간부터 정상상태로 도달할 때까지의 회로의 응답을 과도응답이라고...2025.04.02
-
반파정류회로2025.03.261. 서론 1.1. 반파정류회로 개요 다이오드를 활용한 반파정류회로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정류 회로이다. 이 회로는 입력된 교류 전압의 양(+)의 반주기만을 출력에 통과시키고 음(-)의 반주기는 차단한다. 따라서 출력 파형은 입력 파형의 양의 반주기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반파정류회로는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교류 전압의 절반만을 사용하므로 효율이 낮고, 출력 전압에 리플 전압이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전파정류회로...2025.03.26
-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42024.09.291.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1.1. 실습 목적 본 실습의 목적은 Wien bridge RC 발진기를 이용하여 신호 발생기를 설계, 제작, 측정하고 그 동작을 확인하는 것이다. Wien bridge 회로는 Op-amp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정확한 저항과 커패시턴스 값 설계를 통해 원하는 주파수에서 발진하도록 한다. 또한 다이오드를 활용한 회로 설계를 통해 발진기의 출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간단한 소자로도 정현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신호 발생기 설계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1.2. 실습 준비 사항 1.2...2024.09.29
-
띠 이론2024.09.271. 반도체 1.1. 도체, 부도체 그리고 반도체 도체, 부도체 그리고 반도체는 전기적 성질에 따라 구분되는 재료들이다. 도체는 전기가 잘 통하는 물체로, 대부분의 금속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은 자유전자에 의해 전기가 전달되며,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반면 부도체는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물질로, 자유전자가 없거나 강하게 속박되어 있어 전기를 전달하지 못한다. 부도체에는 대표적으로 다이아몬드와 같은 물질이 포함된다. 반도체는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는데, 온도에 따라 성질이 변화한다는 특징이 있다....2024.09.27
-
실험 2 전자회로실험 정류회로 예비보고서2024.09.111. 정류 회로 1.1. 반파정류회로 반파정류회로는 가장 기본적인 정류회로로, 단순히 교류전원과 부하 사이에 다이오드를 직렬로 삽입한 형태의 회로이다. 이러한 반파정류회로에서는 다이오드의 특성으로 인해 입력 교류전압의 양의 반주기 동안에만 전류가 흘러서 출력이 나타나게 된다. 구체적으로, 반파정류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변압기의 2차측 단자 a와 b 사이의 입력 전압 v가 양의 구간에서는 다이오드가 도통되어 부하저항 RL 양단(p와 n 사이)에 v와 동일한 파형이 나타난다. 하지만 v가 음의 구간에서는 다이오드에 ...2024.09.11
-
교류 신호의 기본이론2024.10.061. 단순 교류 회로 1.1. 실험 목적 1.1.1. 교류입력 신호에 대한 전압분배 특성 검사 교류입력 신호에 대한 전압분배 특성 검사는 회로에 교류 전압을 가하였을 때 전압이 어떻게 분배되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이다. 이를 통해 교류 회로에서 옴의 법칙과 키르히호프의 법칙이 성립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실험에서는 먼저 함수발생기로부터 1kHz, 2V의 사인파 교류 전압을 입력으로 사용한다. A, B 지점에 멀티미터를 연결하여 VR1(VAB)을 측정하고, B, G 지점에 멀티미터를 연결하여 VR2,3(VBG)를 측정한다. 그 결과...2024.10.06
-
전자회로 핵심부터 개념까지2024.10.041. 전기전자공학개론 1.1. 서론 전기전자공학은 현대 사회에서 더 나은 기술과 편의성을 제공하는 주요 분야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자공학은 전기와 전자의 원리를 기반으로 다양한 전자기기 및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학문으로, 이를 이해하는 것은 현대 기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회로 이론은 전자공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회로를 이해하고 설계하는 데 필수적이다. 본 레포트에서는 회로를 구성하는 핵심 소자 중에서도 수동소자에 주목하여, 저항, 인덕터, 그리고 커패시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이...2024.10.04
-
알기쉬운 회로이론 142024.10.081. 서론 1.1. Thevenin 정리의 중요성 및 필요성 Thevenin의 정리는 전원을 포함한 선형소자들이 직·병렬로 복잡하게 연결된 회로망이 있고 이 회로망의 출력단자에 부하를 연결했을 때 부하에 걸리는 전압과 전류를 이론적으로 또는 실험적으로 쉽게 구할 때 매우 유용하게 적용된다. 실제로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들의 회로는 아주 복잡하고, 다양한 소자들을 활용한다. 따라서 회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KVL이나 KCL뿐만아니라 회로를 조금 더 편리하고 실용적으로 계산할 필요성이 있고, Thevenin정리가 그 방법 중 하...2024.10.08
-
RC회로 사전보고서2024.10.281. 기초회로실험 1.1. RC 미적분 회로 RC 미적분 회로는 저항(R)과 커패시터(C)로 구성된 회로로, 입력 전압 신호를 미분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 커패시터 C를 흐르는 전류 i의 식은 다음과 같다: i = C(dv/dt) 또한 저항 R을 흐르는 전류 i는 옴의 법칙에 따라 다음 식과 같다: i = v/R 이 회로는 직렬 회로이므로 커패시터 C와 저항 R을 흐르는 전류는 동일하다. 따라서 다음 식이 성립된다: C(dv/dt) = v/R 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RC(dv/dt) + v = 0...2024.10.28
-
전력전자공학 psim2024.11.011. 전력전자공학 개요 1.1. PWM 인버터 설계 및 분석 1.1.1. 양극성 PWM (Bipolar PWM) 양극성 PWM (Bipolar PWM)은 PWM 인버터의 대표적인 스위칭 기법 중 하나이다. 이 기법에서는 기준신호와 운송신호를 사용하여 스위치의 온-오프를 결정한다. 기준신호는 정현파의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운송신호는 삼각파의 모양을 가지고 있다. 이 두 신호가 서로 교차하는 범위에서 스위치가 반전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그 결과, 출력전압은 Vref의 범위 내에서 양극성으로 변동하게 된다. 즉, 양의 전...202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