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1개
-
산염기지시약 bpb2024.09.251. 산-염기 지시약의 작용 원리 1.1. 지시약의 이온화 평형 지시약의 이온화 평형은 pH에 따른 지시약의 색깔 변화를 설명해주는 중요한 원리이다. 지시약은 보통 약산 또는 약염기의 형태를 띠며, pH에 따라 산성형(HIn)과 염기성형(In-)의 농도비가 달라져 이에 따라 색깔이 변하게 된다. 지시약 HIn은 수소 이온과 염기성 이온 In-의 이온화 평형을 이루고 있다. 이때 지시약의 색깔은 HIn과 In-의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용액에 산(H3O+)을 가하면 H3O+의 농도가 증가하여 평형이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2024.09.25
-
0.10M HCl 수용액의 제조 및2024.09.251. 산-염기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1.1. 산-염기 적정 산-염기 적정은 산성 물질이나 염기성 물질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실시하는 화학 분석법의 한 종류이다. 특정 화학종의 농도를 알고 있는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미지 농도의 용액 속 용질과 완전히 반응시키고 그때 사용된 표준용액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분석물의 농도를 결정한다. 산-염기 적정에서는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을 이용하여 농도를 알지 못하는 염기 용액(또는 산 용액)의 농도를 알고 있는 산 용액(또는 염기 용액)으로 적정한다. 이를 중화 적정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2024.09.25
-
알카리성식품 산성식품 화학반응2024.09.251. 식품의 산도와 알칼리도 실험 1.1. 실험목적 및 원리 이 실험에서는 작열 회화된 쌀눈가루와 건포도의 식품의 산도와 알칼리도를 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식품은 그 자체의 pH와 관계없이 동물이 섭취한 후 최종적으로 남는 무기질의 성분과 양에 따라 체액을 산성 또는 알칼리성으로 만든다." 즉, K, Ca, Na, Mg 등은 물에 녹아 Ca(OH)2, NaOH, KOH, Mg(OH)2와 같은 알칼리성 수산화물을 형성하지만, P, S, Cl 등을 함유하는 것은 H2SO4, H3PO4, HCl과 같은 산성물질을 형성한...2024.09.25
-
생활속의 산염기분석 식초,NaOH용액 표준화2024.09.221. 생활 속의 산-염기 분석 1.1. 실험명 실험명은 "생활 속의 산-염기 분석"이다. 1.2. 실험 목적 산-염기 중화반응을 이용해서 생활 속의 산과 염기의 농도를 알아보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다." 1.3. 이론적 배경 1.3.1. Arrhenius 산-염기 아레니우스는 산(acid)을 "물에 녹아서 수소 이온(H+)을 내놓는 물질"로, 염기(base)를 "물에 녹아서 수산화 이온(OH-)을 내놓는 물질"로 정의하였다. 즉, 아레니우스 산은 수소 이온을 내놓아 수용액을 산성으로 만들고, 아레니우스 염기는 수산화 이온을 내놓아...2024.09.22
-
약산의 분리와 적정2024.09.301. 극성과 비극성 1.1. 극성과 비극성의 정의 분자의 극성과 비극성은 분자 내 원자들 간의 전기음성도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전기음성도가 큰 원자가 작은 원자에게 전자를 끌어당겨 불균등한 전하 분포를 형성하게 되면 그 분자는 극성을 띠게 된다. 반면 분자 내 원자들의 전기음성도가 비슷하여 전하 분포가 균등하다면 그 분자는 비극성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극성 분자로는 물(H2O), 암모니아(NH3), 이산화탄소(CO2) 등이 있으며, 비극성 분자로는 메테인(CH4), 이산화탄소(CO2), 질소(N2) 등이 있다. 이처럼 극성과...2024.09.30
-
생활 속 산 염기 분석 A2024.10.281. 생활 속의 산, 염기 분석 1.1. 이론 1.1.1. 산, 염기의 정의 산은 물 속에서 수소이온(H+)을 내놓는 물질이며, 염기는 물 속에서 수산화이온(OH-)을 내놓는 물질이다. 이러한 Arrhenius의 산, 염기 정의에 따르면, 산은 H+를 내놓는 물질이고 염기는 OH-를 내놓는 물질이다. 예를 들어 아세트산(CH3COOH)은 물에서 H+를 내놓아 산성을 띠며, 수산화나트륨(NaOH)은 물에서 OH-를 내놓아 염기성을 띤다. 한편, Brønsted-Lowry의 산, 염기 정의에 따르면, 산은 H+를 내놓는 물질이고...2024.10.28
-
열역학 실험 중화열 측정2024.10.011. 중화열 측정 실험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강염기 1mol을 강산으로 중화시킬 때 발생되는 열량을 측정하는 데 있다. 즉, 25℃에서 묽은 용액 속에서 강염기 1mol을 강산 1mol로 중화시킬 때 발생하는 57,200 J의 열량을 중화열이라고 하며, 이러한 중화열을 열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실험의 주요 목적이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화공열역학 실험 화공열역학 실험은 화학반응에서 발생하는 열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화학 반응의 에너지 변화를 확인하는 실험이다. 화학 반응에서는 반...2024.10.01
-
산화와 환원 반응2024.11.281. 산화 환원 반응 1.1. 산화와 환원의 개념 산화와 환원의 개념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산화란 원자나 분자가 산소를 얻거나 수소 또는 전자를 잃어 전자가 감소하는 과정을 말한다. 반면 환원은 이와 반대로 원자나 분자가 산소를 잃거나 수소나 전자를 얻어 전자가 증가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이 산화와 환원은 서로 반대되는 개념이지만 항상 동시에 일어나는 상호 작용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이 공기 중에 노출되면 표면이 산화되어 녹이 생기는데, 이때 금속 내부의 전자가 공기 중의 산소 분자로 이동하여...2024.11.28
-
중화열측정2024.09.191. 엔탈피 개요 1.1. 엔탈피의 정의 엔탈피는 계의 내부 에너지와 부피를 차지하여 얻을 수 있는 에너지(부피와 압력의 곱)의 합으로 정의된다. 즉, 엔탈피는 열역학계의 성질로, 계의 내부 에너지와 계가 차지하는 부피와 압력에 의해 결정되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대기압이나 수압과 같이 일정한 압력에 둘러싸인 계를 다룰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상태함수이다. 엔탈피는 기호 H로 나타내며, 국제단위계상에서는 줄이, 영국 열량 단위에서는 칼로리가 엔탈피를 나타내기 위한 단위로 사용된다. 계의 내부 에너지를 직접 구할 수 없기 때문에 계의 ...2024.09.19
-
화상 sbar2024.10.221. 광학기기를 이용한 유동장 측정 1.1. 실험 목적 대표적인 광학 계측 장비 중 하나인 PIV를 이용하여 유속 측정을 통해 유동현상을 이해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많은 공학적 문제에서 유동 현상을 해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유동의 속도계측을 위해 피토관, 열선, 그리고 광학 계측기기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중 광학 계측기기는 유동장 내에 센서를 삽입하지 않아 유동장 방해가 없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실험 배경 많은 공학적 문제에 있어서 유동 현상을 해석...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