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7개
-
하나님의 계획이 우리의 생각과 왜 다를까2025.05.161. 하나님의 계획과 인간의 생각 1.1. 아브라함과 하나님의 명령 아브라함은 소돔과 고모라의 운명을 놓고 하나님과 당차게 협상을 벌였다. 그러나 그가 자신의 아들 이삭을 바치라는 하나님의 명령에는 일언반구의 이의도 없이 순종했다. 이는 자신이 알고 있던 하나님의 성품과 약속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브라함이 이삭을 희생제물로 바치려 한 이유는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철저히 신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약속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이삭의 죽음이 그 약속을 어긋나게 ...2025.05.16
-
복음과 율법 요약정리2025.05.141. 복음과 율법 요약정리 1.1. 바울서신 독서 과제 #2 리뷰 필자는 이번 독서과제를 통해 "새 관점"의 기원과 역사에 대해서 처음으로 상세히 접하게 되었다. 최근에 『칭의, 균형 있게 이해하기』(박재은 지음/부흥과 개혁사)를 읽으며, 잘못된 칭의론과 개혁주의 입장에서의 칭의론을 바로 이해하는 과정에서 간략하게 "새 관점"에 대해 접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이번 책을 통하여 좀 더 자세하게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그런데 솔직하게 말하면 정독으로 한 번 읽으며, 모든 내용이 정확하게 이해되지는 않았다. 심지어 샌더스와...2025.05.14
-
성경이야기와 구원드라마 요약2024.09.251. 구원의 보장과 탈락 1.1. 들어가는 말 이 주제는 교단마다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교단의 분열에는 정치적 문제가 포함되어 있지만, 조직신학적 측면에서 보면 구원론에 관한 갈등이 가장 첨예하지 않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구원의 보장과 탈락, 모두 가능한 이야기다. 무슨 말인가? 나는 내 구원이 탈락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지금 나는 구원의 확신과 안정감을 갖고 있다. 이 주제는 사전 설명을 필요로 한다. 구원이라는 주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종말론과 아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님 나라의 개념과도 연...2024.09.25
-
신약의 배경사 서평 (김희성2025.05.021. 서론 1.1. 「신약의 배경사」 저자와 출간 배경 김희성 교수가 2006년 대한기독교서회에서 펴낸 「신약의 배경사」 저서는 신약성서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구약 성경의 시대적 차이와 관계를 이해해야 하며, 중간사를 포함한 신약의 배경사를 이해해야만 신약성서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는 저자의 견해에서 출간되었다. 저자는 신약의 배경사가 너무나 광범위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고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하며, 본서를 통해 사람들이 신약의 배경사와 초기 종말론에 대한 이해를 갖도록 하고 신약성경을 바르게 이해하...2025.05.02
-
카톨릭 교부들의 황금기2025.07.031. 토마스 아퀴나스의 생애와 사상 1.1. 들어가며 13세기는 중세 기독교의 황금시대로 불린다. 이 시기에 교황의 권력이 확대되면서 생활 곳곳에 교회의 영향력이 늘어났고, 새로운 수도회들이 교육에 헌신하면서 신앙의 시대를 열어갔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유입되면서 이성 중시의 철학적 전통이 확대되었고, 계시와 이성, 종교권위와 세속권위, 플라톤 철학과 아리스토텔레스 사상 간의 간극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성과 신앙의 조화를 추구하며 사상적 체계를 정립하였다. 1.2. 토마스 아퀴나스의 생애 토마스...2025.07.03
-
박형룡 교회론 요약과 비교 연구2025.07.031. 박형룡 교회론 요약과 비교 연구 1.1. 성경적 교회의 명칭과 사적 고찰 구약에서는 '카할'과 '에다'라는 두 명사가 교회를 가리킨다. 카할은 집회 혹은 회중을 의미하며, 에다는 지정된 처소에서 모이거나 지정된 때와 처소에 함께 모이는 것을 의미한다. 카할은 백성들의 집단적인 자격을 제시하며, 에다는 일정한 목적을 위해 모인 이스라엘 백성의 총회 혹은 국민의 대표자들을 의미한다. 신약에서도 70인역에서 나오는 두 말, '엑클레시아'와 '쉬나고게'가 교회로 사용되었다. 쉬나고게는 유대인의 종교적 집회나 공예배를 위한 건물을...2025.07.03
-
신약신학 요약, 토마스 슈라이너2025.06.101. 서론 본 보고서는 토마스 R. 슈라이너의 저서 『간추린 신약신학』을 바탕으로 신약성경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주요 신학적 주제들을 살펴본다. 저자는 신약에 대한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신약성경의 다양한 주제와 메시지를 신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와 중요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신약신학의 근간이 되는 하나님 중심성, 그리스도 중심성, 성령의 역할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아울러 인간의 죄 문제와 구원, 믿음과 순종, 율법과 구원사 등 신약신학에서 핵심을 이루는 주제들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탐구할 것...2025.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