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7개
-
핵심이보이는 전자회로 실험 op amp2024.11.111. 연산 증폭기와 포토레지스터 1.1. 연산 증폭기의 구조와 원리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는 DC전류와 연결된 높은 이득(gain)을 갖는 input과 output 전압을 갖춘 증폭기이다. 오늘날에 가장 많이 쓰이는 전자기기 중에 하나인 연산 증폭기는 아날로그 컴퓨터에서 처음 이용되었고 많은 선형, 비선형 및 주파수 종속 회로에서 수학적 연산을 수행한다. 연산 증폭기의 구조는 2개의 입력 단자, 1개의 출력 단자, 2개의 전원 공급 단자로 구성된다. 비반전 입력 단자는 +, 반전 입력 단자는 -로...2024.11.11
-
연산증폭기2024.09.031. 연산증폭기 기본 특성 1.1.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은 연산증폭기의 가장 중요한 성능지표 중 하나이다.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은 입력전압에 대한 출력전압의 비율로 정의되며,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경우 무한대의 전압이득을 가진다. 실제 연산증폭기의 경우 전압이득이 무한대가 아니라 유한한 값을 가지며, 이는 연산증폭기의 설계 및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와 비선형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은 200V/V 정도의 값을 가지며, 최소 50V/V 이상의 전압이득을 가져야 한다....2024.09.03
-
공통소스2025.05.091. 공통소스 트랜지스터 증폭기 1.1. 실험 목적 공통소스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실험 목적은 공통 소스 증폭기의 직류와 교류 전압을 측정하고, 전압 이득, 입력 임피던스, 출력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것이다. 공통 소스 트랜지스터 증폭기는 매우 높은 입력 임피던스와 출력 임피던스를 가지며 큰 전압 이득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증폭기는 전류 이득과 전압 이득 모두를 얻을 수 있으며 BJT의 공통 이미터 증폭기와 유사하다. BJT에 비해 상당히 큰 전류 이득을 가질 수 있다. 실험을 위해 오실로스코프, DMM, 함수발생기, 직류전원...2025.05.09
-
Ce 증폭기의 임피던스2025.06.081. 실험 개요 1.1. CE 증폭기의 정의와 특징 CE 증폭기는 공통 이미터(Common Emitter) 증폭기로 불리며, 전압 증폭, RF 트랜시버, 저잡음 증폭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트랜지스터 증폭기이다. CE 증폭기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입력 임피던스가 낮고 출력 임피던스가 높은 특성을 갖는다. 이를 통해 전압 및 전력 이득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전압, 전류, 전력 이득이 모두 높다. 셋째, 주파수 특성이 좋지 않아 고주파 대역에서 동작하지 않는다. 넷째, 전압 이득이 온도 변화에 ...2025.06.08
-
common emitter amplifier 주파수 특성 레포트써줘2025.05.021. 서론 공통 이미터(common-emitter, CE) 트랜지스터 증폭기 회로는 널리 이용되며, 일반적으로 10에서 수백에 이르는 큰 전압 이득을 얻을 수 있고, 적절한 입력과 출력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이 실험에서는 공통 이미터 증폭기의 교류와 직류 전압을 측정하고, 부하 동작과 무부하 동작 조건에서 전압 이득(Av), 입력 임피던스(Zi), 출력 임피던스(Zo)의 측정값을 구할 것이다. 이를 통해 공통 이미터 증폭기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 2. 실험 목적 공통 이미터 증폭기의 교류와 직류 전압 특성 분석 공통 이...2025.05.02
-
common base의 특성2025.05.261. Common Base 특성 1.1. 컬렉터 공통 증폭회로의 기본 구조 컬렉터 공통 증폭회로의 기본 구조는 트랜지스터의 emitter측에 저항이 연결되어 있고 collector단자는 전원에 직접 연결된 형태이다. 이를 common-collector amplifier 또는 emitter follower라 부르며, 출력은 emitter단자에서 나오게 된다. 트랜지스터의 active상태에서 출력 전압(Vout)과 베이스 전압(VBB)은 항상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이미터 전압강하(VBE)만큼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입력 전압(Vin)의 ...2025.05.26
-
bjt 증폭기 설계2025.05.311. 서론 1.1. 설계 주제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를 이용하여 Multi-Stage Amplifier를 설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Differential Amplifier, CE Amplifier, Frequency Response, Lag Circuit 등의 설계 이론을 바탕으로 전체 설계 과정과 각 단의 설계 과정을 거쳐 최종 회로를 구현한다. 그리고 Differential Amplifier, VDB Amplifier, Emitter Follower, Lag Circuit 등에 대한 고찰...2025.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