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9개
-
고위험신생아 간호과정2024.11.231. 고위험 신생아에 대한 간호 1.1. 사례 소개 김** 아기는 재태연령 34주 2일에 출생하였으며, 출생 시 체중은 1,910g이다. 출생 당시 whole body cyanosis, grunting, nasal flaring, chest retraction이 관찰되었으며 간헐절 tachypnea도 관찰되었다. 출생 당시 HR 100BPM 이상이었으나 activity/crying은 약하였다. 이에 출생 1분경에 T-piece resuctitator로 FiO2 30% apply를 실시하였다. 자가호흡이 약하여 transport i...2024.11.23
-
인공호흡기 모드2025.06.101. 인공호흡기의 개요 1.1. 인공호흡기의 유형 1.1.1. 음압 인공호흡기 음압 인공호흡기는 비침습적으로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형태이다. 가슴에 붙이는 철제 호흡보조장치와 흉부전면보호장치물을 연결하여 호기를 보조하는 음압을 생성한다. 병원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음압 인공호흡기는 폐가 확장되면서 흡기가 이루어지고, 호기 시에는 폐가 수동적으로 수축되어 공기가 배출된다. 따라서 기관내관의 삽입이나 기관절개술이 필요하지 않아 비침습적인 특성을 지닌다. 주로 호흡 보조가 필요한 가정 내 환자들에게 적용된다. 음압 인공호...2025.06.10
-
고위험 의료기기2025.05.311. 서론 고위험 의료기기는 환자의 생명유지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중요한 의료기기이다. 따라서 이러한 고위험 의료기기의 체계적인 관리와 안전한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이 보고서에서는 고위험 의료기기의 정의와 함께 이들 의료기기의 예방점검, 안전관리 지침, 주요 기기의 사용 및 관리 방법, 관련 핵심 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위험 의료기기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병원 내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2. 고위험 의료기기의 예방점검 2.1. 의료기기 점검 2.1.1. 예...2025.05.31
-
뇌출혈 발표2025.06.241. 서론 1.1. 뇌내출혈의 정의와 중요성 뇌내출혈은 혈관의 파열로 인한 뇌 안쪽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한다. 뇌내출혈은 전체 뇌졸중의 약 10%를 차지하며, 예후가 매우 좋지 않아 30일 내 사망률이 40~80%에 달한다. 특히 첫 48시간 내 사망하는 경우가 전체 사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따라서 뇌내출혈은 매우 중요한 질환으로 볼 수 있다. 1.2. 뇌내출혈의 원인 및 분류 뇌내출혈은 고혈압, 뇌혈관 기형, 응고장애, 외상, 암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고혈압은 뇌내출혈의 가장 주된 원인이다. 지속적인 고혈압...2025.06.24
-
인투베이션2025.06.221. 인투베이션 1.1. 정의 기관내삽관(Endotracheal intubation)은 기도 유지가 필요하거나 인공 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기관 내로 튜브를 넣어 기도를 확보하는 시술이다. 이를 통해 환기와 산소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기도를 통한 흡인과 약물투여가 가능하다. 1.2. 적응증 기관내삽관(Endotracheal intubation)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기도유지 또는 기도보호가 되지 않을 경우 시행한다. 예를 들어 전신마취, 심정지, 호흡부전, 심한 상부기도폐쇄, 중추신경억제, 두경부 손상, 무호흡/저...2025.06.22
-
인공호흡기 환자 간호2025.07.111. 인공호흡기 개요 1.1. 인공호흡기 정의 인공호흡기는 환자의 호흡 기능이 나빠져 환자의 호흡만으로는 폐 혈액 가스교환이 적절히 유지되지 못할 때 기계장치를 동원하여 인위적으로 호흡시켜주는 것이다. 1.2. 인공호흡기 목적 인공호흡기는 환자의 폐 생리적인 ventilation을 개선하고, 환기와 산소포화도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며, respiratory distress를 완화시켜 심근 부담을 감소시키고 산소 소모를 감소시키며 호흡근 피로를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다. 즉, 폐의 생리적인 기능을 개선하고 환기 능력을 향상시키며 호흡곤란...2025.07.11
-
중환자실 flow sheet2024.09.091. 중환자실의 종류와 구조 1.1. 중환자실의 종류 중환자실의 종류는 크게 진료에 따른 분류, 장기에 따른 분류, 증상에 따른 분류로 나뉜다"" 진료에 따른 분류에는 내과계 중환자실(MICU: Medical ICU), 외과계 중환자실(SICU: Surgical ICU), 소아 중환자실(PICU: Pediatric ICU), 신생아 중환자실(NICU: Neonatal ICU), 산과 중환자실(FICU: Fetal-Maternal ICU)이 있다"" 장기에 따른 분류에는 호흡기계 중환자실(RICU: Respiratory IC...2024.09.09
-
보훈병원 병태생리2024.11.1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기흉이라고 하면 키가 크고 마른 사람에게서 발생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폐질환으로 기흉이 오는 고령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대상자는 할아버지와 같은 질환을 갖고 계시기 때문에 눈 여겨 보고 싶어서 이에 대한 간호의 이해가 필요함을 느꼈다. 그래서 이번 case주제를 pneumothorax로 정하게 되었다. 1.2. 문헌고찰 기흉이란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늑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이다. 기흉은 원인에 따라 외상(外傷) 없이 저절로 발생한...2024.11.15
-
인공호흡기적용환자 간호2024.09.031. 인공호흡기 개요 1.1. 정의 및 원리 기계환기(Mechanical ventilation)란 산소가 풍부한 공기를 기계적으로 환자의 폐 내로 이동시키는 과정으로, 환자가 독립적으로 자발호흡을 시작하는 능력이 생길 때까지 이에 대한 지지 간호가 필요하다. 인공호흡기는 폐 기능 부전으로 인해 호흡이 어려운 환자에게 적용되는 장치로, 환자의 호흡을 보조하거나 인공적으로 호흡을 대체하는 역할을 한다. 환자의 생리적 상태에 따라 기계 환기의 방식이 달라지며,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 기계환기를 선택하여 적용한다. 침습적 기계환기는 기관내...202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