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8개
-
섭취량 배설량 기록2024.10.061. 섭취량(Intake)과 배설량(Output) 1.1. 섭취량(Intake) 정의 섭취량(Intake)이란 인간의 인체 내부로 들어오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구강을 통하거나 정맥주입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음식이나 액체를 말한다. 그 종류로는 식사를 통한 모든 음식과 액체 섭취량, 위관영양, 관세척을 위해 주입되는 수액 량, 정맥주입 수액을 통한 공급액이 대표적이다." 1.2. 배설량(Output) 정의 배설량(Output)이란 인간의 인체 회부로 나가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대소변 활동을 통해 배출되는 것 외에도 구토, 위 흡...2024.10.06
-
약리학 심혈관계2024.10.281. 혈압의 개요 1.1. 혈압과 맥박 1.1.1. 1회 박출량(SV)과 조절 심장이 1회 수축할 때 심실에서 박출되는 혈액량을 1회 박출량(SV)이라고 한다. 1회 박출량은 심근에서 생성되는 근력과 비례하여 증가하는데, 이는 수축 근력이 클수록 1회 박출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심실의 확장기말부피(EDV)가 클수록 수축이 시작할 때 근섬유나 근절의 길이가 길어져서 수축력이 최대치까지 증가하여 1회 박출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관계는 프랭크-스탈링의 법칙으로 설명될 수 있다. 프랭크-스탈링의 법칙에 따르면 1회 박출...2024.10.28
-
약리학 심혈관계약물2024.10.281. 심혈관계 생리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인체 내 중앙에 위치하며, 네 개의 심실과 네 개의 심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의 대동맥과 폐동맥을 통해 혈액을 전신 및 폐 순환으로 내보내며, 심실과 심방의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여 심장 박동을 만들어낸다"" 심장 근육은 다른 골격근과 달리 자동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자율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자동성은 심장 내부의 전도 체계에 의해 조절된다"" 심장의 전도 체계는 동방 결절, 방실 결절, His속, 푸르키녜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동방 결절에서 발생한 전기 ...2024.10.28
-
항히스타민제 수술2024.11.141. 제품 정보 1.1. 항생물질제제 항생물질제제는 세균감염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 주요 적응증은 패혈증, 폐렴, 신우신염 등의 세균성 감염증이다. 대표적인 항생물질제제로는 세프테졸나트륨, 메로페넴, 타조박탐 피페라실린나트륨, 세파졸린나트륨, 세포탁심나트륨, 세포페라존나트륨, 세파제돈나트륨, 암피실린나트륨, 세프트리악손나트륨수화물, 세프타지딤수화물, 세프트리악손나트륨, 반코마이신염산염, 클로라페니콜 등이 있다. 이들 항생물질제제는 주로 정맥주사(IV) 또는 근육주사(IM) 경로로 투여되며, 투여량과 투여기간은 감염 부위와 ...2024.11.14
-
nephrotic syndrome 성인2024.10.221. 서론 ○○○ 병원의 ○○병동은 콩팥·요로계, 항암치료 병동으로 ARF, CRF, UTI 등 다양한 질병을 가진 환자분들과 항암치료를 받는 분들이 계신 병동이다. 많은 환자들 중 ○○○환자는 혈당을 재고, vital을 측정할 때 항상 누워계시고, 화장실을 갈 때를 제외하곤 하루의 대부분을 침대에 누워 생활하시며, 다리를 누르면 누른 자국이 빨리 회복되지 않는 것을 보며 환자 ○○○의 질병에 대하여 궁금하였다. ○○○환자분의 질병은 헨리고리에 장애가 생겨 다량의 단백뇨와 저알부민혈증, 부종, 고지혈증을 일으키는 질병인 Nephro...2024.10.22
-
고칼륨혈증 케이스2024.12.131. 서론 1.1. 고칼륨혈증의 정의 고칼륨혈증이란 혈중 칼륨 농도가 정상(3.5-5.0mEq/L) 이상 과도하게 상승된 상태로 5.0mEq/L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칼륨은 우리 몸에서 근육과 심장, 신경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데 필수적이고, 칼륨의 약 98%가 세포 내에 존재하므로 세포 내에서 세포 외로 소량만 이동해도 커다란 생리학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1.2. 고칼륨혈증의 원인 고칼륨혈증은 칼륨이 신장을 통해 배설되는 과정에 장애가 생겨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칼륨은 신장을 통해 90% 이상 배설되는데, 신장기능 ...2024.12.13
-
항고2024.10.151. 고혈압의 개념 1.1. 고혈압의 정의 고혈압이란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를 말한다. 고혈압은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 신부전 등 전신에 걸쳐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키며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직접적으로 위협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혈압은 증상이 없으므로 혈압을 측정해 보기 전까지는 진단이 되지 않고, 진단이 되더라도 증상이 없으므로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정상혈압은 140/90mmHg 미만이며, 1기 고혈압은 140~159/90~99mmHg, 2기 고혈압은 1...2024.10.15
-
폐부종 케이스2024.10.1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폐부종은 나이와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심장질환 혹은 폐질환과 같은 질환이 대부분 나이가 많은 고령 환자에서 발생하므로 이와 동반하여 폐부종이 고령 환자에서 많이 발생한다. 65세 이상의 노인이 폐부종으로 사망할 가능성은 청년에 비해 3~5배 높다. 이렇듯 폐부종은 쉽게 말해 폐에 물이 차는 것인데, 먼저 폐로 향하는 혈관의 압력이 올라가서 모세혈관을 투과하는 수분의 양이 증가하여 폐포에 물이 차거나, 폐렴과 같이 폐포에 염증반응이 진행하여 폐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어 삼출액...2024.10.15
-
만성신부전케이스2024.10.301. 만성 신부전 1.1. 정의 만성 신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은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신장기능의 손상이다.""만성 신질환은 급성 신질환보다 더 흔하게 발생된다. 신장은 적응력이 높은 장기이기 때문에 신장질환은 네프론이 상당히 상실될 때까지 인지하지 못한다. 만성 신질환 환자는 주로 무증상이기 때문에 만성 신질환은 진단과 치료가 잘 되지 않는다. 만성 신질환 환자의 약 70%는 질환을 인식하지 못한다.""만성 신질환은 신장손상이 있거나 3개월 이상 기간 동안 사구체여과율(GFR)이 60mL/min/...2024.10.30
-
아동 건강 문제 해결 간호 관리 울혈성심부전2024.10.101. 서론 1.1. 정의 울혈성 심부전은 여러 원인으로 인해 심장이 신체조직이나 기관에서 필요한 혈액(특히 산소)을 공급할 수 없는 병태생리학적 상태를 말한다. 심부전은 급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만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심부전은 흔히 다른 심장 질환, 예를 들면 만성 고혈압, 관상동맥 질환, 판막에 이상이 있는 기계적 결함, 만성적인 부정맥 (심방세동이 가장 흔함) 등의 다양한 원인 질환으로 인해서 나타난다. 1.2. 원인 및 병태생리 울혈성 심부전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울혈성 심부전은 많은 심장 질환에 의...202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