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9개
-
엔클렉스 유월드 이화 전과목 총정리2024.10.121. Cardiovascular Disorders 1.1. Arrhythmia 1.1.1. Atrial Fibrillation and Flutter 심방세동과 심방조동은 가장 흔한 심장 부정맥이다. 심방세동은 비정상적이고 무질서한 심방의 수축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심방이 효과적으로 혈액을 펌프질하지 못하게 된다. 심방조동은 심방이 빠르고 규칙적으로 수축하는 것이 특징이다. 심방세동의 주요 증상으로는 불규칙하고 빠른 심장 박동, 호흡 곤란, 흉부 불편감, 어지러움, 피로감 등이 있다. 또한 혈전 생성 위험이 증가하여 뇌졸중의 가...2024.10.12
-
울혈2024.10.121. 울혈성 심부전 1.1. 정의 울혈성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기능이 장애가 발생하여 인체의 대사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상적인 충분한 압력으로 적절한 양의 혈액을 박출하지 못하는 심부전 증상을 말한다. 울혈성 심부전은 대부분 정맥계 울혈로 인한것이며 심근장애, 심실의 수축력장애, 심한 전해질 장애, 리듬장애에 의해 발생된다. 1.2. 발생 원인 1.2.1. 외적 원인 외적 원인에는 심장의 후부하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있다. 고혈압이 대표적인 예로, 고혈압으로 인해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량이 증가하고 심장에 부담이 가중된다. 이외...2024.10.12
-
CAOD2024.10.121. 서론 1.1. 일반정보 실습 병동 ▶ OO대병원 CCU 환자 이름 왕 * * 나이/성별 70/M 입원일 2023-12-23(토) 진단명 #1. CAOD #2. ICMP #3. Traumatic ICH 시술명 Coronary Angiography (CAG, 관상동맥 조영술) 입원 경로/방법 ER / stretcher car 발병일 2023-12-23(토) 발병 시간 07:32 입원 동기 상기 70세 남환, 07:32 헬스장에 가던 중 쓰러진 채로 행인에게 발견되어 119 신고된 분으로 VF 확인되어 CPR 시행 후 ER 내원하...2024.10.12
-
통증과 관련된 수면양상장애 간호과정2024.10.131. 케이스스터디와 실습보고서 1.1. 레이노병의 이론적 고찰 1.1.1. 질병 명 및 정상 해부생리 레이노병(Raynaud's disease) 또는 원발성 레이노병(primary raynaud's)은 정서적 긴장 또는 추위 때문에 생기는 동맥 경련성 장애이다. 레이노 현상(raynaud's phenomenon) 또는 속발성 레이노병(secondary raynaud's)은 다른 질병으로 인해 발생한다. 레이노병은 양측성으로 나타나는데, 레이노 현상과 혼용되어 왔다. 레이노 현상은 일반적으로 손가락과 발가락 피부부위의 작은 동맥을...2024.10.13
-
불안정 협심증 병태생리2024.08.151. 서론 1.1. 협심증과 심근경색의 개요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내경이 좁아져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류와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가역적인 임상 증상이다.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허혈성 심장질환에 속하는 질환으로 그 원인과 증상, 예후가 다르다. 협심증은 관상동맥 내벽의 죽상경화증 또는 혈관 수축으로 인해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근으로의 혈액 공급이 감소되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심근의 산소 공급이 부족하게 되면 흉통을 동반하는 임상증상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경우 운동이나 스트레스 등으로 심근의 산소 요구량이 증가할 때 흉...2024.08.15
-
Vsim Carl Shapiro2024.08.241. 서론 1.1. 심근경색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요 심근경색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요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 대한 간호 실무를 실제와 유사하게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현된 가상 상황이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심근경색 환자의 진단, 평가, 간호중재, 합병증 관리 및 심리적 간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실습을 수행할 수 있다. 시나리오에서는 54세 남성 환자 Carl Shapiro가 급성 심근경색을 진단받고 병원에 내원한 상황을 다룬다. 이를 통해 간호사들은 심근경색의 발생 원인과 위험 요인, 증상 및 징...2024.08.24
-
비판적사고력훈련2024.08.141. 서론 1.1. 심근경색의 정의와 중요성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은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말한다."심근경색은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 상황이다." 심근경색은 심장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어 심각한 합병증과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심근경색은 심장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어 심각한 합병증과 사망을 초래할 수 있기 ...2024.08.14
-
심전도의 이해2024.08.151. 서론 1.1. 심장의 전기적 활동과 전기 전도계 심장의 전기적 활동과 전기 전도계는 심장의 리듬을 조절하고 순환을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먼저, 동방결절(SA node, Sinoatrial node)은 심장의 자연 박동조절기(pacemaker)로서 1분에 60회~100회의 전기적 자극을 주기적, 자율적으로 생성한다. 이 전기 자극은 심방의 흥분과 수축을 유발하여 P파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방실결절(AV node)은 심방과 심실을 연결하는 부위에 위치하며, SA node에서 온 전기 자극을 약 0.1초간 지...2024.08.15
-
협심증 검사2024.08.151. 서론 1.1. 심혈관계 질환의 중요성 심혈관계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건강 문제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통계에 따르면 심혈관계 질환이 전 세계 사망률의 29.2%를 차지하여 가장 큰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심장질환이 41.5명으로 사망원인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심각한 수준이다. 심장과 혈관에 발생하는 이러한 질환들은 대부분 관상동맥 질환과 깊은 관련이 있다.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심장 근육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심근 허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협심증,...2024.08.15
-
심전도2024.09.021. 심전도(EKG) 개요 1.1. 심전도의 정의 심전도(electrocardiogram)는 심장의 활동을 그래프로 기록한 것이다. 심장은 심장벽을 구성하는 근육이 자극전도계의 전기적 자극을 받아 규칙적인 수축, 이완을 하는데, 몸에 전극(electrode)을 붙여 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대한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심전도를 통해 심장의 리듬장애, 심근 손상, 전해질 불균형, 약물의 효과 등을 판단할 수 있다. 1.2. 심전도의 목적 심전도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그래프로 기록하여 심장의 리듬장애, ...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