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8개
-
총신대2025.04.021. 총신대 총신대는 한국에 위치한 개신교 신학교로, 주요 교육 분야는 신학과 기독교 교육이다. 총신대는 1911년 시작된 역사를 갖고 있으며, 현재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의 대학교이다. 학부과정에서는 신학, 기독교교육학, 선교학 등을 전공할 수 있으며, 대학원에서는 신학, 기독교상담학, 기독교교육학, 선교학 등의 학위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총신대는 한국 신학교육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많은 목회자와 기독교 교육자를 배출해왔다. 또한 총신대는 개혁신학의 전통을 계승하며, 건전한 기독교 신앙과 윤리관을 가진 인재 양성을 ...2025.04.02
-
구약주석방법론2025.03.041. 구약 주석 방법론의 정의와 필요성 1.1. 주석(exegesis)이란 무엇인가 주석(exegesis)이란 성경 본문의 원 저자가 최초의 수신자에게 전하려고 한 본문의 의미를 안으로부터 밖으로 이끌어내는 것이다. 주석은 성경 본문에 대한 유익한 해석에 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본문에 대한 철저한 분석적인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는 풍부한 지식을 소유하고 있어야 하며, 역사적-문화적인 주석을 위해 역사적 지식이 필요하고, 문예적인 분석, 본문의 장르 분석, 원문 분석, 사전적 분석, 청중 분석 등 주석을 위한 다리 놓기를 위해...2025.03.04
-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전망 요약 및 상담 이론2024.10.141. 저자소개 게리 콜린스(Gary R. Collins)는 1934년 10월 22일 생으로, 캐나다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맥매스터(McMaster)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리고 영국의 런던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958년 콜린스는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에서 심리학 석사(M.A)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메릴랜드(Maryland) 대학교에서 처음으로 학생들을 교수하였다. 그는 미국 퍼듀(Purdue)대학교로 유학하여 임상심리학을 전공하여 1963년에 철학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 그는 포틀랜드 주 오리건에 위치한...2024.10.14
-
조직신학 교회의본질2025.01.031. 디아코니아 교회로 가는 길 1.1. 디아코니아 교회의 이상과 현실 디아코니아 교회의 이상과 현실은 저자가 이 책을 통해 깊이 있게 다루고자 하는 주요한 주제이다. 저자는 교회가 신약성서가 말하는 교회의 모습, 즉 약자와 강자 모두가 서로를 섬기고 도와가며 한 공동체를 이루는 모습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실과 이상의 간극을 좁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교회는 디아코니아, 즉 그리스도의 사랑과 봉사의 정신을 실천하는 본질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현대 교회는 물질주의와 권력지향성, 사회적 소외감 등의 문제에 직면해있어 이상...2025.01.03
-
성경과 기독교2024.10.271. 기독교인도 모르는 기독교 1.1. 예수는 왜 그리스도인가? 오늘날 우리는 많은 그리스도인들에게서 축복을 통해 가난, 질병, 억압, 죽음의 고통으로부터 해방되고자 예수를 믿는 기복신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목사세습, 헌금 강요 등의 교회의 부패 현상으로 이어지며 결국 고장 난 사회 시스템으로 향한다. 이 안에서 기독교는 겉으로는 하나님 나라를 위하는 척 하며 자신의 존재를 과시하고 욕심을 채운다. 또한 이들은 하나님을 자신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하나님을 주술사 또는 우상인 마냥 취급한다. 이러한 행동들에 대해...2024.10.27
-
고백록 5권2024.09.121. 서론 어거스틴의 고백록은 서방교회의 지도자이자 고대 그리스도교 철학의 대부인 저자 아우구스티누스가 397년에 쓰기 시작하여 400년에 세상에 내놓은 책이다. 이 작품은 유아기에서부터 시작하여 그가 죄인으로 살았던 방탕한 시절에서 기독교인으로 회심한 과정을 담고 있으며, 서구 세계에서 쓰여진 최초의 자서전이자 중세기 내내 기독교 작가들에게 영향력 있는 모델이 되었다. 어거스틴은 고백을 통하여 죄인으로서 인간을 성찰하고 하나님에게 구원받는 여정을 이 책에서 고스란히 이야기하고자 했으며, 자신이 하나님의 은혜로 가까이 나아가고 있음...2024.09.12
-
교회2024.09.301. 교회론의 역사와 신학적 전개 1.1. 구약과 신약의 교회 구약성경에서 교회에 해당하는 개념은 '에다(עֵדָה)'와 '카할(קָהָל)'이다. 이 두 단어는 모임, 회합, 회중 등을 의미하며, 하나님께서 특별히 택하신 자들을 불러모으신 모임을 나타낸다. 구약의 공동체는 창조세계 안에서 언약 관계에 있었던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의 역사적 경험을 보여준다. 출애굽 사건을 통해 탄생한 이스라엘 회중은 시내산에서 이루어진 하나님과의 언약 백성이었다. 토라를 따라 생활하며 하나님을 섬기고 예배하는 공동체였다. 이러한 구약의 공동체...2024.09.30
-
새관점 학파의 입장2024.09.201. 바울의 구원론 1.1. 구원의 필요성과 죄(罪) 바울은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구원의 교리를 제시하고 있다. 죄악(罪惡) 속에 사는 인간에게 있어서 구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바울 신학사상에 있어서 죄(罪)의 정의는 인간 진화과정의 결핍, 주위 환경의 영향, 교육, 기타 지상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죄악(罪惡)의 만연과 그 위력 및 도덕적 비열성을 성명할 수 없다. 즉, 선(善)의 반대가 악(惡)이며, 죄(罪)이다. 바울은 죄(罪)에 대한 실체와 본성을 정의하여 그 기준을 만물의 창조주이신 유일하신 하나님께서 정하신 법을 ...2024.09.20
-
설교2024.09.251. 설교와 설교자 1.1. 설교의 쇠퇴와 몰락 설교의 쇠퇴와 몰락은 현대인들의 교육 수준 향상과 대중매체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이 더 이상 설교에 의존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설교가 유일한 지식 및 정보의 창구였지만, 오늘날에는 책을 읽거나 라디오, TV 등을 통해 쉽게 진리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교회 내부적인 요인들도 설교의 쇠퇴를 가져왔다. 첫째, 성경의 권위에 대한 믿음이 사라지고 진리에 대한 신뢰가 약화되었다. 성경의 권위가 상실되면 설교할 수 있는 토대가 무너지게 된다. 둘째,...2024.09.25
-
성경비평학은 과학인가2024.09.291. 대학교의 기원과 현주소 그리고 장래 1.1. 대학의 반기독교적인 기원 우리의 문화권에 있는 대학은 처음부터 이교적인 기관이었다. 아테네의 대학은 그의 이교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529년에 폐쇄되었다. 그런데 중세의 중기에 해당하는 12세기에 대학이 부활한 것은 이방 문화를 학문의 대상으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의도 아래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볼로냐에서 대학이 처음으로 설립된 것은 시민 법전을 연구하기 위함이었고, 두 번째로 설립된 파리 대학은 이방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책들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렇듯 대학의 기원은 반...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