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개
-
약물부작용과 관련된2025.01.301. 약물부작용 개요 1.1. 분만관련 약물의 종류 마약성 무통각제로는 모르핀 황산염(morphine sulfate), 메페리딘(meperidine), 부토르파놀 타르트레이트(butorphanol tatrate), 날부핀(nalbuphine) 등이 있다. 모르핀 황산염은 아편의 주성분으로 강력한 진통효과를 나타내지만 작용발현이 느리고 호흡억제 부작용이 크다. 메페리딘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마약성 진통제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킨다. 부토르파놀 타르트레이트와 날부핀은 마취통각 항진-길항 혼합체로 호흡억제는 적으면서도 진...2025.01.30
-
block종류2025.03.031. 신경 블록의 개요 1.1. 신경 블록의 정의 신경 블록이란 뇌척수신경, 뇌척수신경절, 교감신경절 등에 약물을 적용시켜 신경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사용되는 약물은 국소마취제이며 일시적이고 신경파괴제를 사용하면 그 작용은 장기간 지속된다. 신경 블록은 소량의 약제로 충분한 효과를 올릴 필요가 있어 통증부위의 정확한 판단과 함께 통증부위로의 정확한 주입이 필요하다. 신경블록은 수술실에서 요구되는 무통, 무감각, 무반사를 꼭 필요로 하지 않고 오히려 운동은 남겨두고 지각만을 차단하기도 하고 지각 중에서도 통증의 전달만을 선택적...2025.03.03
-
block종류2025.03.031. Block의 개념과 특성 1.1. Block의 정의 Block이란 뇌척수신경, 뇌척수신경절, 교감신경절 등에 약물을 적용시켜 신경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사용되는 약물은 국소마취제이며 일시적이고 신경파괴제를 사용하면 그 작용은 장기간 지속된다. 신경 블록은 소량의 약제로 충분한 효과를 올릴 필요가 있어 통증부위의 정확한 판단과 함께 통증부위로의 정확한 주입이 필요하다. 신경블록은 수술실에서 요구되는 무통, 무감각, 무반사를 꼭 필요로 하지 않고 오히려 운동은 남겨두고 지각만을 차단하기도 하고 지각 중에서도 통증의 전달만을...2025.03.03
-
마취종류2025.02.151. 마취의 개요 1.1. 마취의 정의 및 목적 마취는 감각을 억제하여 통증을 경감시키고 의식을 소실시키는 것이다. 마취의 목적은 외과적 수술이나 기타 고통스러운 의료 시술을 수행할 때 환자의 고통을 줄이는 것이다. 마취를 통해 환자는 수술 과정에서 심리적 스트레스와 통증을 느끼지 않게 되며, 외과의사는 편안하고 효과적인 시술을 할 수 있다. 마취는 전신마취와 국소마취로 구분되며, 각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마취제와 투여 경로가 사용된다. 마취의 단계와 부작용 관리에 대한 숙련된 의료진의 주의 깊은 관찰과 처치가 필수적이다. 1....2025.02.15
-
수술실 간호사2025.07.24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1.1. 소독간호사(Scrub Nurse)의 역할 1.1.1. 수술 준비 수술 과정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수술에 사용된 기구, 거즈 등을 준비한다. 마스크를 착용하여 외과적 손씻기를 한 뒤 소독된 가운과 장갑을 착용한다. 수술 시 사용할 기구를 수술 준비대에 정리하고 거즈와 바늘, 기구들을 count한다. 봉합사는 수술 부위에 따라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준비한다. 수술 시 사용할 거즈를 순환간호사와 함께 세어 숫자를 확인한다. 수술 의료팀의 가운과 장갑 착용을 돕는다. tube는 소독되고 의료팀이...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