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0개
-
심방2024.10.211. 심방세동 1.1. 정의 심방세동이란, 임상에서 접하는 지속성 부정맥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써 69세 이상 노인들에게서는 5%가 발견된다. 심방세동은 심방의 수축이 소실되어 여러 부위가 무질서하게 뛰는데, 이에 대한 심전도 소견은, 매우 빠르고 불규칙적인 세동파가 분당 35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만들고, 이로 인하여 불규칙한 맥박을 형성하는 질환이다. 심장은 좌우 심방과 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돼 있어 정상적으로는 심방에서 발생한 전기적 자극이 1:1 비율로 심실에 전달된다. 통상 분당 60~100회의 ...2024.10.21
-
요양병원 노인 간호진단2024.10.021. 서론 최근 65세 이상 한국 노인인구 중 치매 환자 수가 2016년 68만 명(유병율 9.99%)을 넘어섰고 2020년에는 84만 명으로, 2050년에는 270만 명을 넘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흔히 노인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인지기능의 저하는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로 인한 진행적, 병적 인지기능장애로 나눌 수 있다"" 잘 알고 있던 사람의 이름을 간혹 잊거나, 둔 물건의 장소를 잘 못 찾는 등의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내용을 잊지 않고 잘 기억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2024.10.02
-
st분절상승급성심근경색 case2025.04.191. 서론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중의 하나이다. 최근 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인해 40~50세에서도 급성 심근경색증이 흔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협심증이 심근경색증으로 진행하거나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어 매해 심장관련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따라서 급성 심근경색증의 원인, 증상, 합병증, 진단, 치료 및 간호 방법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실제 사례에 적용하여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2. 문헌고찰 2.1. 원인...2025.04.19
-
성인간호 심혈관2024.09.051. 심혈관질환의 이해 1.1. 정의 및 개요 심혈관질환은 심장과 혈관 관련 질환의 총칭으로, 이는 세계적으로 사망률과 이환율이 가장 높은 질환군이다. 심혈관질환의 정의는 심장과 혈관 구조의 기능적, 구조적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포괄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심혈관질환에는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부정맥, 말초혈관질환 등이 포함된다. 관상동맥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문제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대표적으로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이 있다. 심부전은 심장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신체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2024.09.05
-
심혈관 질환 환자의 간호 문제 및 중재2024.09.051. 심혈관계 질환의 이해 1.1. 심근경색의 정의 및 병리생리학적 기전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MI)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막히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심장 근육이 손상되거나 괴사하는 심각한 상태를 초래한다"" 심근경색은 주로 관상동맥의 동맥경화증(plaque rupture)으로 인해 발생하며, 동맥 내벽에 형성된 플라크가 파열되면서 혈전이 형성되고, 이 혈전이 관상동맥을 막아 혈류를 차단한다"" 이로 인해 심장 근육은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고, 결국 괴사에 이르게 ...2024.09.05
-
성인 심부전 사례 연구 A 학점2024.12.011. 심부전(Heart Failure) 1.1. 정의 심부전(heart failure)은 심장의 펌프와 채움 기능이 손상된 비정상 상태이다. 심부전은 심장이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임상에서, 모든 심부전이 폐울혈을 동반하지는 않기 때문에 급성 및 만성 심부전이라는 용어가 울혈성 심부전이라는 용어로 대체되기도 하지만 울혈성 심부전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1.2. 원인 심부전(HF)의 가장 흔한 원인은 관상동맥질환과 고혈압이다. 관상동맥질환은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인해 심근혈류 공급이 감소되...2024.12.01
-
성인간호학 심부전 사례연구2024.12.011. 심부전 사례 간호진단 1.1. 간호사정 1.1.1. 일반적 사항 이름/성별/나이 김OO/F/77은 평소 남편과 집에서 지냈으며 허리디스크 통증 때문에 거의 움직이지 못하고 대부분은 안정을 취했다고 한다. 식사 시 기침과 사례가 잘 걸렸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평소 가슴이 벌어진 것처럼 아프고 두근거리는 증상이 자주 있었고, 특히 겨울에 심했다고 한다. 입원 일주일 전부터 숨 쉬기 힘들어지고 부종이 있었으며, 집에서 측정한 혈당이 20으로 저혈당인 적도 있었다고 한다. 이에 응급실을 통해 EICU에 입원하게 되었다. 1.1.2...2024.12.01
-
심근병증 간호진단2025.06.281. 서론 1.1. 심근병증 간호진단 개요 심근병증은 심장 근육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의 수축 및 이완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요 원인으로는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당뇨, 알코올 중독, 유전 등이 있다. 이에 따른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부종, 피로감, 심계항진 등이 나타난다. 심근병증 환자의 간호진단 시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심장 기능 저하에 따른 문제, 증상 및 합병증 관리, 약물 부작용 예방, 환자와 보호자의 교육 및 정서적 지지 등이 있다. 따라서 심근병증 환자 간호에 있어서는...2025.06.28
-
케이스스터디 불안정형 협심증2025.07.161. 서론 1.1. 불안정형 협심증의 정의 불안정형 협심증은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만성적으로 관상동맥이 협착되어 있던 환자에서 갑작스럽게 죽상경화반이 파열되어 혈전이 생겨 관상동맥이 급격하게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어 발생하는 협심증이다. 이로 인해 심근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심근허혈이 발생하고 전형적인 흉통이 나타난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안정형 협심증에 비해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높아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상태이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기존에 안정형 협심증을 앓고 있던 환자에서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2025.07.16
-
심실세동 간호진단2024.10.091. 간호과정 1.1. 심장의 펌프능력장애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심장의 펌프능력장애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는 심부전의 주요 원인이다. 심장이 신체대사 요구에 부응하는 적당한 혈액을 펌프하여 전신으로 보내지 못하여 초래되는 울혈상태를 의미하며, 이를 흔히 울혈성 심부전(CHF)이라고 한다. 이러한 상태는 심장의 제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나타나는 임상증후군이다. 즉, 심부전은 전부하(용적부하: 심실에 채워지는 혈액량)나 후부하(압력부하: 좌심실의 혈액 박출 시 심실벽에 발생하는 저항하는 힘)가 지나치게 증가되므로 심실내 과도한 혈...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