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0개
-
성인간호학 심장 정리2025.06.031. 서론 1.1. 심장과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근육으로 이루어진 기관이며, 주먹 크기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심장은 종격동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은 좌우 중격으로 나뉘어 총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각각 심방과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은 1분 동안 약 72회 박동하며, 1회 박동 시 약 70mL의 혈액을 내보낸다. 따라서 1분 동안 약 5L의 혈액을 순환시킨다. 심장은 심낭에 둘러싸여 있는데, 심낭강 내에는 약 10~20mL의 심낭액이 존재한다. 이 심낭액은 장측심낭과 벽...2025.06.03
-
Oldcart 심근경색2025.05.111. Oldcart 심근경색 Oldcart 심근경색 환자는 76세 여성으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및 심장질환 병력을 가지고 있다. 환자는 3VD로 인한 관상동맥질환 진단을 받았으며, 1998년부터 여러 차례 PCI 시술을 받았다. 2021년 7월에는 뇌출혈로 인한 수술 경험이 있고, 최근 지속적인 흉통 및 호흡곤란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주호소는 흉통과 호흡곤란이다. 입원 시 NRS 8점으로 극심한 통증을 호소했으나 PCI 시술 후 NRS 3점으로 통증이 완화되었다. 그러나 호흡곤란은 지속되고 있다. 환자의 활력징...2025.05.11
-
베타차단제2025.05.071. 베타차단제 1.1. 아드레날린성 제제 에피네프린(epinephrine)은 교감신경계의 중요한 호르몬이자 신경전달물질이다. 에피네프린은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혈관을 수축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응급 상황에서 천식 발작, 과민성 반응 및 심정지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에피네프린의 용량은 성인의 경우 아나필락시스 시 피하로 0.1-0.5mL, 1:1000 용액을 10-15분 간격으로 투여하거나 정맥으로 0.1-0.25mL, 1:1000 용액을 10-15분 간격으로 투여...2025.05.07
-
심근경색 간호목표2025.05.041. 서론 1.1. 심근경색의 정의와 병태생리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MI)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히면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심장 근육이 손상되거나 괴사하는 심각한 상태이다.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의 동맥경화증(plaque rupture)으로 인해 발생하며, 동맥 내벽에 형성된 플라크가 파열되면서 혈전이 형성되고, 이 혈전이 관상동맥을 막아 혈류를 차단한다. 이로 인해 심장 근육은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고, 결국 괴사에 이르게 된다. 심근경색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2025.05.04
-
관상동맥조영술 간호2025.07.281. 관상동맥 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1.1. 관상동맥의 정의와 구조 관상동맥이란 대동맥이 시작되는 부위에서 나와 심장을 둘러싸고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혈관이다. 대동맥의 기시부에서 좌우 두 갈래인 우관상동맥과 좌관상동맥으로 나뉘어지며, 좌관상동맥은 다시 좌전하행동맥과 좌회선동맥으로 갈라진다. 우관상동맥은 우심실과 심실중격의 혈액 공급을 담당하고, 좌전하행동맥은 심실중격과 좌심실전벽, 좌심실측벽의 혈액 공급을 담당하며, 좌회선동맥은 좌심실의 측벽과 하벽의 혈액 공급을 담당한다. 따라서 관상동맥은 심장 ...2025.07.28
-
CAOD 1-VD2025.07.231. 서론 관상동맥폐쇄성질환(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CAOD)은 심근 관류량 유지를 위한 혈액의 요구량과 공급량의 불균형상태이다. 약한 관상혈규로 인해 심근조직으로 가는 산소와 영양소가 결핍되어 협심증(일시적 심근허혈)과 심근경색(지속적 허혈로 인한 심근세포 손상)이 발생한다. CAOD는 천천히 진행되는 만성질환으로, 유전적 소인, 성별, 식이, 생활습관, 흡연 등의 위험요인과 관련이 있다. 관상동맥에 죽상경화성 병변이 발생하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폐쇄되면 심근에 공급되는 혈액이 감소하여 협심증...2025.07.23
-
불안정한 협심증2025.05.241. 불안정한 협심증 문헌고찰 1.1. 심장의 구조와 특징 1.1.1. 심장의 구조 심장은 크기가 12cm이며 무게는 약 300g 정도이다. 심장은 좌측 제 3~5늑골 사이의 종격동(mediastinum)에 있는 근육기관이며 신체의 중심선에서 좌측으로 치우쳐 있다. 심장은 심내막(endocardium), 심근(myocardium), 심외막 (epicardium) 등 3층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심낭 속에 보호되어 있다. 해부학적으로 심방의 근육층은 비교적 얇으나 심실 근육층은 두껍다. 특히 심장수축으로 혈액을 전신에 박...2025.05.24
-
순환계 건강문제와 간호 정리2025.05.131. 순환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1.1. 순환기계 건강사정 순환기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증상을 사정하고 신체검진과 임상진단검사를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 순환기계 증상에는 흉통, 호흡곤란, 심계항진, 실신 등이 있으며, 이를 PQRST 기법을 통해 구체적으로 사정한다. 신체검진에서는 활력징후, 피부색, 경정맥압, 말초맥박, 심음, 부종 등을 확인한다. 임상진단검사로는 심장 표지자 검사, 침습적 혈역학 감시, 초음파검사, 심도자술 등이 실시된다. 심근효소검사는 심근 손상의 정도와 시기를 평가하며, 혈압, 중심정맥...2025.05.13
-
성인간호학 순환계 정리2025.05.131. 순환계 건강문제와 간호 1.1. 순환기계 건강사정 순환기계의 건강상태를 사정하는 것은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을 확인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순환기계 증상을 파악하고 신체검진 및 임상검사를 통해 순환기계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먼저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을 파악한다. 흉통, 호흡곤란, 심계항진, 실신 등 순환기계와 관련된 증상을 확인하고 그 양상과 지속기간을 자세히 조사한다. 특히 흉통의 경우 PQRST법을 이용하여 발생 시기, 지속시간, 양상, 부위, 완화요인 등을 자세히 사정한다. 호흡곤란의 경우 발생 시...2025.05.13
-
MI 심근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과정2025.04.151. 서론 1.1. 심근경색의 정의 및 중요성 심근경색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히면서 심장 근육의 일부가 괴사되는 심각한 상태이다. 심장은 크게 3개의 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데, 이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 수축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게 되면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게 된다. 심근경색은 협심증과 달리 심장 근육을 먹여 살리는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완전히 막혀 심장 근육이 괴사하는 질환으로, 발생 직후 병원에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