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감속기 설계2024.11.261. 감속기의 설계 1.1. 기어의 잇수 결정 감속비 ε은 기어의 회전비와 잇수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ε = {N_2} over {N_1} * {N_4} over {N_3} = {Z_1} over {Z_2} * {Z_3} over {Z_4}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감속비 ε은 {1} over {12}이고, 피니언의 잇수 Z_1은 24개로 주어졌다. 따라서 기어의 잇수를 다음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먼저, ε = {1} over {4} * {1} over {3}이므로 {Z_1} over {Z_2} = {1} ove...2024.11.26
-
건축기사2024.10.021. 건축계획 1.1. 건축계획 프로세스 건축계획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목표 설정, 정보 자료 수집, 조건 설정, 모델화, 평가, 계획 결정이 그것이다."" 건축물 설계와 시공을 위한 전반적인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건축물의 계획이 이루어진다. 첫째, ""목표 설정 단계에서는 건축물의 기능, 성능, 이미지 등 건축물이 갖추어야 할 요구사항들을 명확히 정의한다."" 이를 통해 건축물의 기본적인 방향성이 설정된다. 둘째, ""정보 자료 수집 단계에서는 건축물 계획을 위한 다양한...2024.10.02
-
모듈 외부설계와 논리설계 비교 분석2024.11.201. 모듈의 외부설계와 논리설계 1.1. 외부설계 1.1.1. 모듈 명칭 모듈 명칭은 다른 모듈이 해당 모듈을 호출할 때 사용되는 고유한 이름이다. 모듈 명칭은 마치 사람의 주민번호와 같은 역할을 하여 다른 모듈이 해당 모듈을 정확하게 식별하여 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모듈 명칭은 변경되어서는 안 되는 기준정보이다. 모듈 명칭을 변경하면 다른 모듈이 해당 모듈을 찾지 못하게 되어 모듈이 호출되지 않는다. 모듈 명칭은 모듈의 역할과 기능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의미 있는 이름으로 지정되어야 한다." 1.1.2. 기능 모듈의 ...2024.11.20
-
모듈 외부설계 논리설계 비교 분석2024.11.201. 모듈의 외부설계와 논리설계 1.1. 모듈의 외부설계 특징 모듈의 외부설계는 다른 모듈이 해당 모듈을 호출할 때 요구되는 모든 정보의 정의를 의미한다. 외부설계는 중심이 되는 소프트웨어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적인 요소가 아닌 다른 모듈과의 인터페이스에 초점을 맞춘다. 외부설계의 주요 요소로는 모듈 명칭, 기능, 파라미터 리스트, 입력/출력, 외부 효과 등이 있다. 첫째, 모듈 명칭은 다른 모듈이 해당 모듈을 호출하는데 사용되는 이름으로, 변경 시 호출되지 않는 기준정보이다. 둘째, 기능은 해당 모듈의 역할을 나타내는 문장으로,...2024.11.20
-
건축산업기사2025.05.011. 서론 1.1. 건축산업기사에 대한 소개 건축산업기사는 건축계획과 건축물 시공의 중요성에 대해 다루는 전문 자격증이다. 건축산업기사는 건축물의 계획 프로세스, 제작 과정, 모듈과 척도조정, 거주후평가 및 동선 등 건축 전반에 걸친 지식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주거건축, 공동주택, 사무소 건축, 은행, 상점, 백화점, 학교, 미술관, 공장 및 창고 건축 등 다양한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에 관한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또한 재료의 표면 마감, 돌 쌓기와 석축 쌓기 등 건축 기술 전반에 걸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건축산업...2025.05.01
-
건축산업기사2025.05.011. 서론 1.1. 건축산업기사 개요 건축산업기사는 건축물의 설계와 시공 전반에 걸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건설기술인이다. 건축계획, 주거건축, 공동주택, 사무소 건축, 은행, 상점 건축, 백화점, 학교, 도서관, 호텔, 병원, 극장 및 영화관, 미술관, 공장 및 창고 등 건축물의 다양한 용도와 특성을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건축물을 계획하고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건축물의 효율성과 쾌적성, 안전성 등을 높일 수 있으며, 건축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건축산업기사는 다양한 건축...2025.05.01
-
Spi2025.09.011. 초음파 이론 1.1. 진폭, 전력, 강도 진폭은 음향변수의 최대치와 평균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음향의 세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전력은 에너지 전달률 또는 일의 수행률을 나타내며, 음원, 매질, 운용자에 따라 달라진다. 강도는 음향 에너지의 집중 정도를 나타내며, 전력을 beam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표현된다. 강도는 전력과 비례하고 진폭의 제곱에 비례하며, beam 면적에 반비례한다. 강도의 종류에는 SPTP, SATP, SPTA, SATA, SPPA, SAPA 등이 있으며,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진다. 또한 데시벨(...2025.09.01